• 제목/요약/키워드: 뽕잎차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6초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유수경;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65-1070
    • /
    • 2002
  • YK 209 뽕잎이 STZ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코져 하였다. Sprague Dawley 흰쥐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STZ 유발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대조군(DM group),0.1% 뽕잎 공급군(DM-0.IY group), 0.2% 뽕잎 공급군(DM-0.2Y group) 및 0.4% 뽕잎 공급군 (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였다. 단위체중당 간무게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뽕잎 비공급 당뇨군(DM group)에 비해 뽕잎공급군들은 감소되었다. 간조직중의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뽕잎공급으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GSHpx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은 7.3%저하되었으나, DM-0.1Y,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가는 정상군에 비해 DM군은 144%증가되었으나 DM-0.1Y,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리포푸신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100%증가되었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superoxide radical(O$_2$ )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는 81% 증가되었으나 DM-0.1Y군과 DM-0.4Y군은 정상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YK-209 뽕잎은 항산화계를 강화시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므로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었다.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주민정;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2-448
    • /
    • 2009
  • 뽕잎과 오디를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microwave로 추출하여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과 오디의 전자공여작용의 측정결과 모두 용매별 차이를 보였으며, 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65.22{\sim}81.77%$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는 $20.25{\sim}21.13%$로 20% 내외의 결과를 보였으며 용매별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뽕잎과 오디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뽕잎보다 오디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저해작용, SOD 유사활성 모두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ACE 저해 작용의 경우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의 증가에 따라 그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오디 추출구의 경우 SOD 유사활성,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ACE 저해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어느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전자공여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 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강원도 지방의 뽕밭에서 철늦은 여름 덧거름이 수량 및 가지끝마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ate Summer Fertilizer on the Yield and Cold Damage of Mulberry in Kangwon Province)

  • 김기석;최지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20
    • /
    • 1993
  • 강원도 지방에서의 철늦은 뽕밭 덧거름이 뽕잎 수량과 봄철 가지끝마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관행시비시기인 6월 20일을 대조로 8월 10일과 30일에 덧거름을 주고 수량과 가지끝마름비율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뽕잎수량은 8월 10일 시비구는 가장 높아 관행대비 10~30%, 잎뽕수확구에서는 10~17%의 증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8월 30일구에서는 관행구와 큰 차를 보이지 않았다. 2. 봄철 가지끝마름비율을 비교하면, 관행구가 가장 높아 중간벌채구에서는 13.1%를 보인 반면 다른 구에서는 이보다 낮은 7.7~12.8%를, 잎뽕 수확구에서는 18.3%를 보인 반면 다른 구에서는 이보다 적은 11.0~13.3%를 보여서 덧거름에 의한 가지끝마름비율의 증가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뽕잎차의 제조와 그 품질 특성 (Preparation of Mulberry Leaves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 김동청;인만진;채희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56-59
    • /
    • 2010
  • An optimal manufacturing process was established for the mass-production of mulberry leaves tea. The produced tea contained abundant dietary fibers, $\beta$-carotenes, and calcium. Also the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ves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simply dried mulberry leav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is tea manufacturing process is effective to utilize the useful components of mulberry leaves.

뽕잎차에 의한 음용수중 Cd과 Pb의 제거효과 (Effect of Mulberry Leaf Tea for the Removal on Cd and Pb in drinking water)

  • 김현복;이완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22
    • /
    • 1998
  • To investigate the detoxificative effect of tea, five kinds of tea(mulberry, anaerobic treated mulberry, green, barly tea and corm tea) were selected and determined their dotoxication activities for Cd and Pb in drinking water. The effect of tea on the removal of Cd and Pb wer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contents of teas. Anaerobic treated mulberry leaf tea showed stronger detoxication activity than the others. In drinking water contaminated with Cd, the removal effect of Cd was high 27% by anaerobic treated mulberry leaf tea and 14% by mulberry leaf tea as compared to green tea. Also, in drinking water with Pb, the removal effect of anaerobic treated mulberry leaf tea was the best among five kinds of tea. Pretreatment method on the removal effect of Cd was better than post-treatment method in the treatment method.

  • PDF

다류에 존재하는 잔류농약 노출 안전성 평가 (The Exposure Risk Assessment of Residual Pesticides in Tea)

  • 김재관;오문석;김기유;김영수;손미희;배호정;강충원;박용복;윤미혜;이정복;정주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8-35
    • /
    • 2011
  • 안산 및 수원시에서 유통 중인 다류 19품목(감잎차, 국화차, 녹차, 라벤더차, 로즈마리차, 민들레차, 보이차, 뽕잎차, 수국차, 자스민차, 나미향차(찹쌀차), 메밀차, 쑥차, 연화차, 오룡차, 용정차, 장미차, 철관음차, 화과차)을 대상으로 218종의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65건 중 19건에서 15종(bifenthrin, bromopropylate, chlorpyrifos, cyhalothrin, cypermethrin, chlorfenapyr, dicofol, endosulfan, fenpropathrin, fludioxonil, fenvalerate, iprobenfos, isoprothiolane, tetradifon, triazophos)의 농약이 검출돼 23.1%의 검출률을 나타냈다. 검출된 농약의 잔류량은 0.01~1.24 mg/kg으로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나타났으나 보이차(2006 년산) 1건에서 bifenthrin이 기준치(0.3 mg/kg)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농약 15종에 대한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EDI/ADI 값은 0.0001~0.0844%로 나타나 다류에 존재하는 잔류농약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뽕잎과 누에가루 혼합환의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의 혈당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Pills Made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장미진;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11-1617
    • /
    • 2004
  • 본 연구에서 는 뽕잎과 누에가루의 함량 비를 달리 하여 제조한 환의 혈당강하 효과를 in vitro및 동물실험을 통해 검정 하고자 하였다. 실험 동물은 체중 100 g내외 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이용하였으며, 제조환은 식이 내에 0.4%(4 ghg)씩 공급하였다. 실험군은 제조환의 종류에 따라 제조환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 대조군(DM group), 뽕잎 100%로 제조한 군(M group), 뽕잎에 누에가루를 각각 25%(25SM group), 50%(50SM group), 75%(75SM group) 및 100%(100S group)씩 혼합하여 제조한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식수는 자유섭식시켰으며,3주 간 사육한 후 STZ로 당뇨를 유발시켰으며, 9일 만에 희생시켰다 제조된 혼합 환의 DNJ의 함량은 누에가루의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GABA및 rutin의 함량은 뽕잎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함유량이 증가되었다. in uitro에서 소장 점막의 $\alpha$-glucosidase의 활성 저해 효과도 뽕잎 에 누에가루를 50% 이상 혼합시켰을 때 혼합하지 않은 환과 2SSM 환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혈당강하 효과는 DM군과 M군에 비해 누에가루를 혼합한 군에서 더 높았으며 특히 50%, 75% 및 100% 혼합한 군들에서는 유의적 인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소장 점막 maltase 활성은 proximal 부분에서 DM군에 비하여 제조환 공급군 모두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제조환 공급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iddle부분에서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Distal 부분에서는 DM군에 비하여 제조환 공급군에서 감소되었으며, 특히 50SM군,75SM군 및 100S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Sucrase와 lactase의 경우에는 prorimal부분에서 DM군에 비하여 제조환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middle 및 distal부분에서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누에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한 환은 in vitro실험 에서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효과를 증가시켰으며, STZ 유발 당뇨 쥐의 소장 proximal 부분의 이 당류 분해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급속한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뽕잎과 누에가루를 50 : 50의 동량으로 혼합시켰을 때 가장 좋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꾸지뽕잎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Tea)

  • 박범호;백경연;이상일;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1-468
    • /
    • 2008
  • 꾸지뽕잎차 제조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건조생잎(RT), 덖음차(PT) 및 발효차(F)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수분함량은 RT 18.47%, PT 및 FT는 각각 6.23% 및 8.50%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RT 17.77%, PT 20.46%, FT 19.13%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0.05{\sim}0.07%$, 회분함량은 $9.27{\sim}10.74%$, 탄수화물함량은 RT 54.42%, PT 62.52%, FT 61.96%였다. 수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FT>PT>RT순으로 $23.10{\sim}37.38%$였으며 total rolyphenol 함량은 $815.24{\sim}835.16\;mg%$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값은 RT 34.71, PT 20.94, FT 20.85로 PT 및 FT에서 낮았으며, $a^*$값은 PT에서 $b^*$값은 RT에서 높았다. 모든 추ethanol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력, 전자공여능 및 superoxide dismutase유사활성이 증가하였으며 FT의 경우가 PT및 RT에 비하여 높았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FT(1429.93 mg/100 g)>RT(1108.94 mg/100 g)>PT(833.13 mg/100 g)순 이였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RT에서는 L-asparagine, L-valine, PT에서는 L-cystine, L-glutamic acid, FT에서 는 L-proline이 였다. 관능검사 결과 PT와 FT는 RT에서 나타나는 쓴맛과 떫은맛이 감소되었으며 단맛, 구수한 맛이 향상되었고 풍미, 색상 및 종합적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덖음꾸지뽕잎차와 발효꾸지뽕잎차는 맛, 풍미, 기호도 등 관능적 품질은 상호 대등한 반면 덖음차보다 발효차에서 항산화활성이 높고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품질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Rutin 및 GABA 첨식이 누에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Leaf Sprayed with Rutin and GABA on Silkworm Growth)

  • 방해선;이완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8-112
    • /
    • 1996
  • Flavonol glycoside의 일종인 Rutin과 free amino acid의 일종인 GABA(${\gamma}$-aminobutyric acid)가 누에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 뽕잎에 각각 0.1%의 수용액을 분무하여 3령 기잠부터 상족까지 누에를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rutin과 GABA(0.1%를 분무한 뽕잎의 rutin과 GABA 함량은 대조구 86mg/100g FW, 16mg/100g FW에 비해 2, 2.8배 높았다. 2. rutin 및 GABA를 첨식한 뽕잎으로 사육한 누에의 잠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구 25%까지 감소하였으며 5령 5일에 대조구 대비 각각 7%, 15%의 감소를 보여 rutin보다는 GABA가 잠체중 증가에 더 큰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처리간에 식하량, 배분량, 소화량 등은 거의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rutin 처리구에서 소화량이 대조구 대비 6%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rutin 및 GABA 처리는 유충의 경과일수를 연장시켜 상족의 개시가 대조구에 비해 3일 정도 늦었으며, 상족기간도 대조구에 비해 1일이 길었으며, 상족마리수도 대조구 대비 각각 15.4%, 9.1%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녹차잎, 뽕잎, 마테잎 추출물이 S. mutans에 미치는 항균효과 (Anti-bacteria effect of green tea, mulberry, and mate leaves extracts on S. mutans)

  • 김성숙;원지혜;이고은;이루리;이선미;이진희;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47-353
    • /
    • 2017
  • 본 연구는 일상에서 흔히 차로 음용되고 있는 녹차잎, 마테잎, 뽕잎이 치아우식원인균으로 알려진 S. mutans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 mutans를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1%씩 접종하고 $37^{\circ}C$에서 6시간과 10시간동안 배양한 후 흡광도 및 세균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녹차잎, 마테잎, 추출물은 0, 0.5, 1.0, 2.0, 4.0%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S. mutans의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colony의 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2% 추출물을 첨가하고 10시간 후 세균 집락수를 측정하였을 때 녹차잎은 99.0%, 뽕잎은 97.1%, 마테잎에서는 89.6%의 높은 성장억제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