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빔 모델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f Slow wave Instibility of Annular Electron Beam (원통형 전자빔의 지파 불안정성 연구)

  • Kim, Won-So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109_2110
    • /
    • 2009
  • 대전력 마이크로파 발생장치에서 적당한 두께를 갖는 훤통형 전자빔의 모델을 이용하여 플라즈마에 의한 고유 모델및 전자빔과 전자파의 상호작용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하여 해석하는 것을 연구하였으며, 전자빔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연구하였다.

  • PDF

Comparison of Linear-Quadratic Model, Incomplete-Repair Model and Marchese Model in Fractionated Carbon Beam Irradiation (탄소 빔 분할조사 시 Linear-Quadratic모델, Incomplete-Repair모델, Marchese 모델 결과 비교)

  • Choi, Eun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9 no.6
    • /
    • pp.417-420
    • /
    • 2015
  • We obtained Surviving Fraction (SF) after irradiation carbon beam to compare the applicability of the Linear-Quadratic model, Incomplete Repair model, Marchese model. Mathematica software(ver 9.0) used to calcurate parameters and compared result. LQ model could not explain the entire response of fractionated carbon beam irradiation. It becomes necessary to construct models that extend the LQ model of conventional radiotherapy for the carbon beam therapy. By combining both Potentially Lethal Damage Repair (PLDR) and Sublethal Damage Repair (SLDR) a new LQ model can develop that aptly modeled the cellular response to fractionated irradiation.

Bearing Ambiguity Solution of Towed Array Sensor System By Nonlinear Array MUSIC Beamforming (비선형 배열 MUSIC 빔형성에 의한 선배열 센서 시스템의 표적 좌우 분리 기법)

  • 김윤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51-154
    • /
    • 1998
  • 이 논문에서 비선형 배열 MUSIC 빔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예인형 선배열 센서 시스템의 표적 좌우 방위 분리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기법은 배열 운동모델 Water-Pully 모델과 방향센서의 정보를 이용하는 칼만필터를 설계하여 예인함 기동에 따른 배열형상을 추정하고 표적의 좌우방위를 분리하기 위하여 추정된 배열형상에서 MUSIC 빔형성 기법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예인주기와 예인진폭과 같은 예인함 기동형태의 전형적인 빔형성 기법과 MUSIC 빔형성 기법으로 표적의 좌우 방위 분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nalytic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rtially coherent Gaussian Schell-model beams with isotropic cross section and anisotropic degree of coherence function (등방성 빔 단면과 비등방성 공간 부분 코히어런스 특성을 갖는 가우시안 셀 모델 빔의 구현에 대한 해석적 연구)

  • Kim, Hwi;Kim, Tae-Soo;Choi, Kyung-Sik;Lee, Byung-Ho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5 no.3
    • /
    • pp.200-213
    • /
    • 2004
  • The realization of partially coherent Gaussian Schell-model beams with isotropic cross section and anisotropic degree of coherence function is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 optical system is devised to transform diffused light generated by passing the Gaussian beam of the He-Ne laser thorough a rotating holographic diffuser to the partially coherent Gaussian Schell-model beam with isotropic cross section and anisotropic degree of coherence function. Analytic design equations are formulated and design examples are presented.

태양간섭현상 예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Song, Yong-Jun;Lee, Cheong-U;Kim, Il-Hun;Kim, Gap-Se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37.3-37.3
    • /
    • 2009
  • 태양물리연구실에서는 춘 추분기를 전후한 일정 기간 사이에 수분 정도 발생하는 태양간섭 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U 미디어에서 제공해준 3개의 통신위성 PAS-8, TELSTAR-10, MEASAT-1에 대한 2006, 2007년도 춘 추분기의 통신장애 자료와 계산한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2009년도 추분기의 태양간섭 현상 시간을 예측하였다. 태양위치변화 계산은 NASA/JPL에서 발행하는 DE406 역서 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를 높였으며, 지구 타원체 모델을 통해 기지국에서의 정확한 태양 및 위성의 고도, 방위각을 구하였다. 또한 기지국 안테나 이득률을 계산하여 기지국 안테나에서 예상 되는 태양 간섭 시간을 얻어 냈다. 기지국 안테나의 빔 패턴은 안테나의 중심 부근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특수한 감쇄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빔 패턴은 안테나의 이득률과 관련이 있으며, 빔 패턴의 적분을 통해 얻어진 이득률과 태양 디스크가 얼마나 안테나의 범위에 들어오는가에 따라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강도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태양 간섭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본래 안테나 빔 패턴은 개개의 안테나에 따라 다르며 직접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사용한 빔 패턴 모델은 ITU에서 채택된 WARC-79 모델을 이용하였고 모든 위성 기지국 안테나의 빔 패턴은 이 모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빔 패턴 모델을 적용하여 기존의 TU미디어 성수기지국에서의 태양간섭 시간을 다시 계산하였다. 또한 새롭게 KT 용인 위성 관제센터의 자료를 추가하여 태양 간섭시간을 계산하고 예측하였다. 위성데이터는 기존의 PAS-8, TELSTAR-10, MEASAT-1 통신위성과 KT에서 운용하고 있는 무궁화 3호와 무궁화 5호 통신위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계산 방법은 전국 임의의 지역에서 춘 추분기에 발생할 수 있는 태양간섭 시간을 예측하고 적용할 수 있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Optical Energy Transfer Based on Coherent Beam Combination under Turbulent Atmospheric Conditions (대기 외란 상황에서 결맞음 빔결합을 통한 광학 에너지의 전달 방법 수치 모델링)

  • Na, Jeongkyun;Kim, Byungho;Cha, Hyesun;Jeong, Yoonch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1 no.6
    • /
    • pp.274-280
    • /
    • 2020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atmospheric turbulence is numerically modeled and analyzed via a phase-screen model, in regard to long-range optical energy transfer using coherent beam combination. The coherent-beam-combination system consists of three channel beams pointing at a target at a distance of 1-2 km. The phase and propagation direction of each channel beam are assumed to be corrected in an appropriate manner, and the atmospheric turbulence that occurs while the beam propagates through free space is quantified with a phase-screen model. The phase screen is statistically generated and constructed within the range of fluctuations of the structure constant Cn2 from 10-15 to 10-13 [m-2/3]. Particularly, in this discussion the shape, distortion, and combining efficiency of the 3-channel combined beam are calculated at the target plane by varying the structure constant used in the phase-screen model, and the effect of atmospheric turbulence on beam-combination efficiency is analyzed. Analysis with this numerical model verifies that when coherent beam combination is used for long-range optical energy transfer, the received power at the target can be at least three times the power obtainable by incoherent beam combination, even for maximal atmospheric fluctuation within the given range. This numerical model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atmospheric-turbulence conditions and beam-combination methods when simulating long-range optical energy transfer.

Effect of a Multi-phase Screen in a Laser-beam-propagation Model Under Atmospheric Fluctuations (대기 요동 환경에서의 레이저빔 전파 모델에서 다수 위상판의 효과)

  • Jeongkyun Na;Byungho Kim;Changsu Jun;Yoonchan Jeong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5 no.4
    • /
    • pp.143-149
    • /
    • 2024
  • We analyze the effect of atmospheric fluctuation on laser beam propagation, using a single-phase screen model and a multi-phase screen model. When a laser beam (wavelength 1064 nm, radius 10 mm, collimated by 25.4 mm optics) propagates 3 km, atmospheric fluctuation with structure constant Cn2 in the range of 10-17 to 10-14 is generated by the single- and multi-phase screen models. The results of short-term and long-term exposure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beam profile, power in the bucket, and beam radius at the receiver plane. The power in the bucket and beam radius increase as the structure constant increases. When the structure constant is less than 2×10-15, the results of the single- and multi-phase screen models are similar, within a difference of 1.5 %. However, when the structure constant is greater than 2×10-15,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increases, and the multi-phase screen model is appropriate under this condition.

KALIMER원자로건물 지진해석 모델링 및 지진응답해석

  • Yoo, Bong;Lee, Jae-Han;Koo, Kyung-Hoe;Lee, Hyeong-Yeon;Choi, I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903-908
    • /
    • 1998
  • KALIMER 원자로 건물에 대하여 3차원 쉘요소 모델과 단순 빔모델을 작성하고 고유진동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두 모델의 1차 수평방향 고유진동수는 대체로 일치하였다. 단순 빔모델에 대해 원자로건물의 회전 관성모멘트를 해석에 반영한 경우 3차원 모델에는 없는 회전모드가 발생되었다. 지진응답해석은 1940 EL Centro와 인공지진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두 결과는 면진구조물의 경우 비면진구조물과 비교하여 응답가속도가 크게 줄고, 상대변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KSTAR 중성입자빔 소송라인 해석

  • 임기학;권경훈;조승연;김진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7-37
    • /
    • 1999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핵융합 토카막 실험 장치의 플라즈마 가열을 위한 수소 중성입자빔 수송라인 내에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열속 및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빔의 통과율을 해석하였다. 43cm$\times$12cm 크기의 이온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빔의 공간적 분산은 기본적으로는 Gaussian 분산(수직바향으로 1.2$^{\circ}$, 수평방향으로 0.5$^{\circ}$)의 형태를 가지지만 이온 가속 전장의 공간적 불균일로 인해 Gaussian 분산에서 다소 벗어나는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이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정립하였다. 해석에 고려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이온원을 수많은 점원의 집합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점원으로부터 주어진 공간적 분산을 가지는 이온들이 방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방출된 이온은 중성화 과정을 거쳐 40%의 이온만이 중성입자화되며, 중성화되지 않은 60%의 이온들은 bending magnet에서 ion dump로 유도되어 사라지며, 나머지 중성입자들은 직진 운동을 하게 된다. 빔 진행 도중 빔 중앙에서 크게 벗어나는 일부 중성입자들은 여러 겹으로 존재하는 빔 collimator에 의해 단계적으로 제거되며, 일부 중성입자들은 잔류 수소기체에 의한 재이온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정립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이들 collimator에서 제거되는 양 및 재이온화 손실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플라즈마에 입사되는 중성입자 빔을 계산하였다. 한편, 빔 수송라인 설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 오차를 이온원 설치시의 오차와 빔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로 구분하여 이들의 의한 영향도 계산하였다. Gaussian 분산을 가정하였을 경우, 이온원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수직성분의 열속은 9.7kW/cm2로 계산되었다. 이 열속을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 collimator는 빔 라인과 거의 나란하게 설치될 것이다. 빔의 통과율은 약 33%로서 하나의 이온원에서 방출된 7.8MW 중 2.5 MW만이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on-Gaussian 분산의 경우, 최대 열속은 9.1kW/cm2로 다소 낮아졌으나, 빔통과율은 28%정도로 더욱 낮아졌다. 설치상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면, 이온원이 1$^{\circ}$ 정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면 collimaor에 가해지는 최대 열속 및 빔통과율은 약 15kW/cm2, 16.6% 정도로 나타나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의 영향은 이보다 훨씬 작아 5mm 오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최대 열속은 12kW/cm2까지 증가했으나, 빔 통과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