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정상 열선법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비정상열선법에서 열선의 절연코팅이 선형구간의 초기시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ulation Coating on Start Time of Linear Region for Transient Hot-wire Method)

  • 이승현;김현진;김규한;박용준;장석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2호
    • /
    • pp.1147-115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절연된 열선을 이용한 비정상열선법에서 열선의 절연코팅이 선형구간의 초기시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절연된 열선의 온도상승에 관한 해석적 해에서 선형구간의 초기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들을 파악해 보았으며, 이러한 인자들의 영향이 무시할 만큼 작아지는 임계시간(critical time)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보았다. 이론적인 연구 결과, 열선의 반경 및 코팅의 두께가 작을수록 절연코팅의 영향이 빠르게 감소하였고, 또한 절연물질의 열전도도가 크고 열확산계수가 작을수록 절연코팅의 영향이 빠르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절연된 열선을 이용한 비정상열선법에서, 선형구간의 초기시점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비정상열선법을 이용한 나노유체 열전도도 측정 시 자연대류 개시점에 대한 연구 (Onset of Natural Convection in Transient Hot Wire Device for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f Nanofluids)

  • 이승현;김현진;장석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3호
    • /
    • pp.279-28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열선법을 이용한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측정시, 자연대류 개시점을 수치적 방법을 통하여 파악해 보았다. 측정 유체는 부피비 1, 4, 10% 를 갖는 물-기반 알루미나 나노유체이고, 이에 대한 물성치는 기존 이론모델 및 실험적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비정상열선법 장치는 FDM 방식으로 모델링 되었으며, 자연대류의 개시점은 중력장하의 열선의 온도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파악하였다. 자연대류의 개시점은 물의 경우 11.5 초이고, 10% 부피비에서 Maxwell 모델로 열전도도를 예측한 알루미나 나노유체인 경우 41.6 초로 계산되었다. 특히 부피비가 증가할수록 자연대류가 늦게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비정상열선법의 실린더 내부에서 나노유체의 자연대류 개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정상열선법으로 열전도도를 측정할 때, 기본유체의 자연대류 발생시점 이전에 측정이 이루어진다면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측정시 자연대류에 의한 측정오차는 무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분할된 긴 열선과 짧은 열선을 갖는 새로운 비정상열선법 센서개발 (Development of a New Sensor with Divided Multiple Long and Short Wires in Transient Hot-wire Technique)

  • 이신표;이명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5호
    • /
    • pp.510-517
    • /
    • 2004
  • A fine hot-wire is used both as a heating element and a temperature sensor in transient hot-wire method. The traditional sensor system is unnecessarily big so that it takes large fluid volume to measure the thermal conductivity. To dramatically reduce this fluid volume, a new sensor fabrication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are proposed in this article.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and most popular two wire sensor, the new sensor system is made up of divided multiple long and short wires. Through validation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the measured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glycerin are exactly same each other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proposed new method. Also some technical considerations in arranging the multiple wires are briefly discussed.

비정상 열선법을 이용한 이성분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측정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of Binary Nanofluids by the Transient Hot-wire Method)

  • 조창환;설혜연;구준모;강용태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5-169
    • /
    • 2008
  • Binary nanofluids(Binary mixture + nanoparticles) have been extensively paid attention for application in absorption system as a new working fluid. Thermal property evaluation of the new refrigerants is inevitable to apply them for actual 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measu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inary nanofluids by the transient hot-wire method, and to asses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binary nanofluids for absorp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inary nanofluids ($H_2O/LiBrAl_2O_3$)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nanoparticles ($Al_2O_3$) and enhanced up to 27% at 0.1 vol % of the nanoparticles.

  • PDF

나노유체의 열전도율 측정을 위한 새로운 비정상열선법 센서설계와 자료처리방법 (Development of a New Sensor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ransient Hot-wire Technique for Nanofluid)

  • 이신표;이명훈;김민태;오제명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0-215
    • /
    • 2003
  • A fine hot-wire is used both as a heating element and a temperature sensor in transient hot-wire method. The traditional sensor system is unnecessarily big so that it takes large fluid volume to measure the thermal conductivity. To dramatically reduce this fluid volume, a new sensor fabrication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are proposed in this article.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and most popular two wire sensor, the new sensor system is made up of divided multiple long and short wires. Through validation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the measured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glycerin are exactly same each other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proposed new method. Also some technical considerations in arranging the multiple wires are briefly discussed.

  • PDF

동시에 측정된 두 열선센서의 저항변화 신호를 이용한 나노유체와 기본유체의 열전도율 비교장치 (Apparatus for Comparing Thermal Conductivity of Nanofluids and Base Fluid Using Simultaneously Measured Resistance Variation Signals from Two Hot Wire Sensors)

  • 이신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1호
    • /
    • pp.29-36
    • /
    • 2015
  • 나노유체 개발 초기단계에서 기본유체 대비 제조한 나노유체의 열전도율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그 값을 정확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기본유체와 나노유체의 열전도율을 비정상열선법으로 별도 측정한 후 수치적으로 나누어 비교하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때 두 유체의 열전도율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절대측정방법의 특성상 측정시스템의 관련 수치들이 정확히 사용되지 않으면 개별 열전도율에 나타나는 오차를 피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대상인 두 유체를 동시에 사용하여 열전도율 비를 상대적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 비정상열선법 회로를 변형한 측정회로와 데이터 처리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엔진오일과 글리세린을 이용한 검증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송배전관로 되메움재로 활용하기 위한 국내 순환골재의 다짐 및 열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ompac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Recycled Aggregates for Backfilling Power Transmission Pipeline)

  • 위지혜;홍성연;이대수;박상우;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7호
    • /
    • pp.17-33
    • /
    • 2011
  • 천연 골재자원의 고갈로 인해 송배전관로 되메움재의 대체골재로서 재생 순환골재 이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순환골재를 송매전관로 메움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열적 특성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배전관보 되메움재로 활용하기 위한 폐콘크리트 순환골재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취한 순환골재와 대조군인 일반 강모래를 대상으로 실내다짐시험을 수행한 후, 비정상 열선법과 비정상 탐침법을 이용하여 열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함수비 구간에서 비정상 탐침법을 이용한 열저항 측정값은 탐침관입에 따른 시료교란 효과로 인해 비정상 열선법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었다. 전체 순환골재의 열저항 측정 결과, 대조군인 강모래와 유사하게 함수비 증가에 따른 열저항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존 열전도도(열저항) 예측 모델에 의한 열저항 예측값과 순환골재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순환골재에 열저항 예측에 적합한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생 순환골재를 송배전판로 되메움재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비정상 열선법에 의한 Freon-12와 Freon-22의 고압상태에서의 열전도율측정 (Measurement of Thermal Conductivities of Freon-12 and Freon-22 at High Pressure by Unsteady Hot Wire Method)

  • 이재헌;이택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42-46
    • /
    • 1978
  • Thermal conductivities of Freon-12 and Freon-22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up to 35 MPa with the aid of transient hot wire method. Glycerin was used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equipment.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Freon-12 and Freon-22 at the maximum pressure, 35 MPa, were increased by 25% approximately for those at satufated state.

나노유체 열전도율의 온도의존성 평가를 위한 비정상열선법의 시험방법 (Validation Test for Transient Hot-wire Metho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Nanofluids)

  • 강경민;이신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4호
    • /
    • pp.341-348
    • /
    • 2007
  • One of the controversial research issues on nanofluids i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nanofluids, that is, whether it will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ise. To evaluate precisely the thermal conductivity behavior of nanofluids, a systematic way of validation experiments for the measuring instrument has been highly recommended. In this paper, procedure of the validation test for transient hot-wire method us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base fluids was explained comprehensively and the comparison of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water-$Al_2O_3$ nanofluids is made between the present work and that of Das et al.

열선의 직선시공과 감기시공의 동파방지 효과 비교를 위한 3차원 비정상 수치해석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traight and Twisted Heat Trace Installations Based on Three-dimensional Unsteady Heat Transfer)

  • 최명영;전병진;최형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49-5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동절기 소방배관의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의 직선 시공과 감기 시공의 효과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공법들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3차원 에너지방정식과 비정상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적식의 비정상 해를 구하였다. 수치해석에서 물의 자연대류와 소방 배관의 열전도 방정식이 상호작용을 하므로 복합열전달 해석을 상용코드 ANSYS-FLUENT에서 제공하는 압력-속도 연성기법들 중의 하나인 SIMP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배관 내의 유동장 및 온도분포와 배관 내 물의 최대 및 최소온도 변화를 고찰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배관 단위 길이 당 투입열량이 동일한 경우에 감기 시공과 직선 시공의 동파방지 효과는 거의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열선 손상과 단락 등을 고려하면 직선 시공이 더 나은 시공법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