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점등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32초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Filter Box 개발 및 효과분석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Filter Box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 문영일;강동호;윤선권;박구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5-305
    • /
    • 2011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 또는 계절간 배출량의 변화가 커서 예측의 정량화가 어려워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도시유역의 경우 인구증가와 도시개발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우기시에 오염물질이 빗물과 더불어 하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에 대한 하천 수생태계 보호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우수와 더불어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저감을 위하여 도로 집수구에 차집된 우수를 여러 개의 사층을 통과시켜 여과, 흡착 하는 방법으로 침투 배출시키는 Filter Box를 개발하였고 초기강우와 지속강우에 대한 여과실험을 통하여 배수에 따른 여과 처리 및 비점오염 처리효율을 분석하였다. Filter Box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 분석결과 BOD, T-N, T-P, 중금속 등이 약 70~90%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우수 발생유량 7mm 기준 30분 이내에 여과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Filter Box 시공에 따른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 오염물질의 제거와 더불어 도심지역 지하수위 증가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부유물질 제거효율 및 적용성 분석 (Removal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in Nonpoint Source Reduction Equipment)

  • 장석환;이재경;이해광;오지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5-245
    • /
    • 2018
  •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의 발달로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건기 시 토지 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하천으로 유출되는 등 수질오염의 가중과 불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환경기초시설 등의 건설로 점오염원 관리는 강화되었지만,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부 및 관계부처에서는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는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되는데, 이 중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여 비점오염저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지만,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지관리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필터가 없는 장치형 시설을 고안하여 자연 순환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오염물질을 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리실험을 통해 비점오염원의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상사법칙에 따라 원형대비 1/3축소모형과 2가지의 원형모형에 대해 총 3가지 모형에 대해 환경부에서 고시한 비점오염저감장치 기준을 뛰어넘는 유역면적, 강우강도 및 부유물질의 양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유입수 농도에 대한 유출수의 농도로 계산하였으며, 장치에서 유출 직후 5분 간격으로 채취한 후, 수질공정시험법을 참고하여 부유물질에 대한 실험 중 하나인 유리섬유여과방법을 이용해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장치형 시설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환경부 기준인 부유물질 제거효율 80%이상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형 시설보다 유지관리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민의식연구 (A Study of People's Consciousnes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오형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03-813
    • /
    • 2015
  • 본 연구는 수질오염 및 비점오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을 알아보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 등을 파악함으로써 비점오염 예방과 관리에 있어 일반인들의 참여를 이끌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Onpanel에 가입된 전국 20대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수질오염 인식현황, 비점오염 예방활동, 비점오염 예방을 위한 대책마련,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국민교육 필요성, 홍보 및 캠페인 참여의식,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조직 활성화 방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점오염 관심도는 연령,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더욱 높은 관심도를 보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홍보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점오염에 대한 관심도, 정보, 교육, 저감활동 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육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오염의 관리를 위해서는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비점오염 관련 정보, 교육, 저감활동에 대한 참여경험을 높이는 시민 활동 프로그램의 공급과 쉽고 전달력 강한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오염부하 저감효과 정량화 연구 (The Study on the Quantification of Pollution Load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 정현용;금동혁;유나영;우수민;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3-313
    • /
    • 2021
  • 남·북한강 상류 수계에는 만대지구, 가아지구, 자운지구, 도암호유역, 골지천유역, 대기지구 등 총 6개의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관리대책 및 시행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등의 원인으로 뚜렷한 비점오염 저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개별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명확한 저감효율이 정량화되지 않아 탁수저감 기여도 및 효율성 평가 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별 저감효율 제시가 미흡하였던 시설 중 돌망태, 식생토낭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감효율 평가를 위해 경사도 3%, 사면 폭 4 m, 사면길이 22 m의 시험포를 조성하였다. 강우시 발생하는 유출수를 대조구와 비교하였으며, 영농시기를 고려하여 영농작업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제거효율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SS항목은 80.5%와 73.7%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1.2%, 60.2%, T-N은 70.5%, 64.7%, T-P는 63.7%, 63.1%로 나타났다. TOC는 46.8%, 38.8%로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감효율이 나타났다. 부하량합산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T-N 항목은 78.6%와 70.8%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7.5%, 65.4%, SS는 76.7%, 67.8%, T-P는 68.4%, 63.7%로 나타났다. TOC는 62.7%, 44.6%로 시설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거효율법과 부하량합산법을 이용하여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40%이상의 저감효율이 나타났으며, 돌망태가 식생토낭에 비해 저감효과가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사면의 흙탕물 저감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가 우선되어지나, 탁수저감 기여도 및 저감효율 제시를 위한 정량화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유역 내 오염물질 발생 모의를 위한 모델링의 기초차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광산(저탄장) 지역의 비점오염부하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Unit Loading in the Coal mining)

  • 서지연;신민환;최용훈;신현준;원철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022-1026
    • /
    • 2009
  •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초반부터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하기 시작하였으나 모두 단일강우 또는 제한된 수의 실측자료만을 이용하였다. 각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의 유출특성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강우량의 변화가 큰 지역의 경우, 강우 특성에 따라 특정 기간에 과도하게 오염부하가 산정될 수 있다. 최근 수질오염의 특징은 과거의 대량 발생원인 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에서 도시 강우 유출수나 농경지 등으로부터 대량의 비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비점오염은 점오염과 같이 일정한 출구를 통해 유출되지 않으므로 집중처리에 의한 조절 방법의 적용이 곤란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저탄장) 지역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계절별 비점오염부하 유출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오염부하와 EMC 농도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적인 모니터링 과제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수질분석과 유량을 측정한다면 광산(저탄장) 지역의 비점오염부하 산정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광산(탄광)지역의 계절별 오염부하량 비교 분석 (Comparison of Seasonal Pollutant Loads Estimated at Coal mining Area)

  • 신현준;신민환;서지연;최용훈;원철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028-1032
    • /
    • 2009
  • 비교적 한정되고 정해진 구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점오염이라고 하는 반면, 비점오염은 도시, 농지, 산지, 등 불특정 구역에서 오염물질을 발생시킨다. 점오염에 관한 오염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었던 이전과 달리 최근에는 비점오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해짐에 따라 정부는 비점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유념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오염총량관리제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부는 기존 비점오염원 원단위 부하를 세분화 하여 오염총량제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점오염의 관한 연구 중 광산(탄광)지역의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광산(탄광)지역의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하여 계절별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량을 비교하고, ESTIMATOR 모델 방법으로 T-N과 T-P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광산(탄광)지역의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으로 비점오염부하 산정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통영 바다목장 자원조성을 위한 연구 II. 야간점등과 먹이공급 조건에 따른 볼락의 성장과 위내용물 변화 (Study on Resources Annexation in Tongyeong Marine Ranching II. Change of Growth and Stomach Contents on Night-lights and Feeding Condition of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 윤호섭;최상덕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38-146
    • /
    • 2006
  • 위 내용물 분석을 위하여 경남 통영시 바다목장 해역내 한국해양연구원 가두리 설치 지역에서 2004년 7월부터 8월까지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볼락은 점등, 비점등 총 200개체였다. 점등에 의해 유집된 동물플랑크톤중 볼락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a), 단각류(Amphipoda)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점등구간에서도 역시 요각류(Copepoda), 단각류(Amphipoda)순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점등구간의 경우 비점등구간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먹이생물을 고루 섭이하였으며, 특히 점등에 의해 요각류와 단각류의 출현량이 많아 중간육성 기간중 볼락의 위내용물 중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비점등구에서는 전조사기간중 요각류의 출현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간육성 기간중 점등, 비점등구간에서 먹이공급 조건에 따른 성장관계를 살펴보면 동일한 조건에서 비점등구에 비해 점등구에서 사육한 볼락의 성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점원오염 연구에 관한 고찰

  • 최중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11
    • /
    • 1997
  • 비점원오염은 하천 및 지하수 수질오염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비점원오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기사에서는 비점원오염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현장실험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 실행하고 있는 현장실험방법을 경지단위의 연구, 유역단위의 연구, 그리고 지하수 수질에 관한 연구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비점원오염에 관한 현장연구방법, 연구시 중요사항, 고려하여야 할 사항 등에 관한 자료는 'Gale, J.A., D. E. Line, D. L. Osmond, S. W. Coffey, J. Spooner, J. A. Arnold, T. J. Hoban, and R. C. Winverley. 1993.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Rural Clean Water Project, NCSU Water Quality Group, Biological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Departmen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EPA-841-R-93-005'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 PDF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Pollutant Infiltration Load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 유승환;최진용;남원호;홍은미;최순군;박나영;장정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5-465
    • /
    • 2011
  • 강우가 발생하거나 관개를 함에 따라 농경지의 토양침식물, 잔류 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지표수 뿐 아니라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시설재배 농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설재배 내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시설재배 농업과 관행농업의 비점오염원의 거동 및 지하침투 오염부하를 비교 평가하고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변 영향이 배제되어 시설재배와 관행재배의 비교 평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 단위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먼저 필지 단위와 광역 단위 단위에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수문 및 수질 분석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행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및 강우량, 지하수위, 토양수분, 관개 및 배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논담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설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지하수위, 토양수분 및 관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관개용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향후 본 시험 포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샘플링 실시하여 다양한 항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진 다면 시설재배지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정량화 기술개발을 통해 시설재배지에서의 비점오염에 대한 정량적 자료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농업비점오염총량 추정 기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속국도 휴게시설 비점오염물질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generated at rest facilities on highways on the aquatic ecosystem)

  • 권혁준;김의석;최재석;홍은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4-284
    • /
    • 2021
  • 비점오염원이란 도시, 도로 포장면, 무허가 가축시설, 무단 경작지 등의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오염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주로 강우특성(강수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에 영향을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강우시 비점오염원은 주로 불투수면적에서 오염물질이 주변 하천이나 호수에 유입되어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점오염원 중 도로 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농지나 가축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부유물질 및 유기물) 등과 달리 주로 차량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강우시 토양의 수분포화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 강우강도에 따라 유출이 발생하는 농경지와는 달리 도로 노면 유출수는 누적된 오염물질들이 강우시 한꺼번에 유출되기에 강우 초기 채수 간격을 짧게 하여 수질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횡성군을 관통하는 영동고속국도의 횡성휴게소 불투수 노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알아보기 위해 모니터링 후 수질분석으로 노면 유출수 성분을 알아보고, 오염부하량을 계산하여 유량가중평균농도(EMC, Event Mean Concentration)와 초기세척효과(Mass First Flush effect)을 산정하였다. 이후 타 토지이용에서의 유출 특성과 고속국도 휴게시설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추후 본 연구자료는 고속국도와 주변 편의시설 설계시 주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