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만형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36초

지역사회 주민의 융복합적 일반적 특성과 생활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1개동을 중심으로 (Effects of Convergence Demographics and Lifestyles of Community Residents on Obesity : focusing on one town in Seoul)

  • 이미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89-195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주민의 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습관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서울의 1개 동의 1개 아파트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4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과 간호사가 비만도를 측정하여 일반적 특성과 흡연, 음주, 운동, 식사에 대해 기술통계와 비만에 미치는 영향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남성이, 직업이 있는 경우가, 나이가 들수록 비만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연령이 1세 증가할 때에 비만이 될 확률이 1.109배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비만과 관련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중요한 시점이다. 비만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주변 환경과 관련이 많다는 점을 인식하여 지역사회 실정에 맞고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비만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약용작물 추출물을 첨가한 다진양념의 비만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Chopped Sauce with Medicinal Plant Extracts)

  • 진종식;전용덕;소주련;;송영재;정흠공;서재빈;손효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6-96
    • /
    • 2018
  • 본 연구는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면서 맛과 향이 증진된 분말형 다진양념(다데기)을 개발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는 약용작물들의 선정 및 그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 등을 첨가군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시료들을 8시간, $80^{\circ}C$ 증류수에서 추출 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마우스 유래 adipocyte (3T3-L1)에 처리하여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시료 처리 배양 5일 후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 추출물을 처리한 모든 군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20% 이상 세포내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오미자 군에서는 30% 이상 감소를 보였다. C57BL/6 생쥐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면서 분말형 다진양념,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뒤 체중증가를 조사한 결과 8주 후 고지방식이와 다데기만을 경구투여한 군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감소경향만을 보였으나 분말형 다진양념과 추출물을 함께 경구투여한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들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분말형 다진양념은 관능검사에서도 고춧가루 특유의 풋내를 감소시켜 향미가 증진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오미자, 진피, 감초, 녹차엽을 첨가한 다양한 항비만 기능성 양념 개발이 기대된다.

  • PDF

비만형 당뇨환자의 웹기반 당뇨 교육 효과 (Effects of Web-based Diabetic Education in Obese Diabetic Patients)

  • 김희승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24-93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web-based diabetic education on plasma glucose and serum lipids in obese people with diabetes. Method: A random allocation design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eing assessed pre- and post-intervention was used. Eighteen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intervention group and 16 to a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input their blood glucose levels weekly for 3 months at http://www.biodang.com by cellular phone or wire Internet. The researcher sentoptimal recommendations to each patient weekly for 3 months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f the cellular phone and wire Internet. Results: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mean decrease of $1.2\%$ in glycosylated haemoglobin ($HbA_{1}c$) level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 in HbA1c levels.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change in 2-hour post prandial blood glucose (2HPPG) for the intervention group, with a mean change of -120.1 mg/dl. The mean chang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web-based intervention using SMS of the cellular phone for 3 months improved $HbA_{1}c$ and 2HPPG, but did not affec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obese type 2 diabetic patient.

개인 맞춤형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Obesity Management System with Individually Adapted Complex Care)

  • 노시철;김주영;김진수;강상식;최흥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3-91
    • /
    • 2012
  •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만은 각종 성인병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켜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까지 갖게 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만 관리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각기 다른 효능으로 비만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지만, 수술 치료의 실패, 치료 중 약물 중독, 우울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투자 등으로 근본적인 비만의 치료 효율이 낮다. 이에 체계적이며 개인의 비만 상태에 따른 유형별 치료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술적인 비만 치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인의 비만 유형별 비만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복합 비만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적외선 치료, 산소 치료, 색 치료, 극초단파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복합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의 신체적 조건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맞춤 치료를 위해 치료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분별로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자동 슬라이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 고기능성 비만 치료기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 비만 관리를 위한 개인보건기록(PHR) 인식도 조사 (Personal Health Records based Obesity Adolescent Management)

  • 이현실;김은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19-221
    • /
    • 2009
  • 청소년 비만관리를 좀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개개인의 비만관리는 물론 건강관리를 위한 Personal Health Record를 제시코자 한다. 연구 참여한 총인원은 267명이었으나 7명의 설문은 응답이 불성실하여 제외한 총 260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비만 관리에 PHR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남성은 108명으로 가장 높게 응답한 반면, 여성은 PHR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28명으로 "보통"이라고 응답한 29보다 낮게 나타났다. PHR 활용을 보통이라고 대답한 그룹은 일반적인 데모그라픽 요인만 분석한 결과 신장과 체중에서 PHR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겠다고 답한 그룹보다 체격이 작은 경향을 나타났다. BMI도 PHR활용도가 보통이라고 한 그룹이 평균 21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그룹 평균 22, 사용하겠다는 그룹 22 보다 낮게 나타났다. 충분한 PHR에 관한 사전 인식도 및 의견 조사를 통해 의료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의 요구 사항을 수렴하고 각국 현실에 적합한 맞춤형 PHR system을 개발하고 효율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규칙적인 운동이 제1형 당뇨병 및 비만 환아의 아디포카인과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gulatory Exercise on Adipokines and Inflammatory Reaction in Type 1 Diabetic and Obese Children)

  • 강성훈;신기옥;박소영;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66-107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이 비만과 제1형 당뇨병 어린이들에게 adipokines과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험자들은 비만군(OG, n=9), 제1형 당뇨병군(DG, n=9), 그리고 정상군(NG, n=9) 어린이로 연구하였다. 모든 인자는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BMI), 최대산소섭취량(ml/kg/min), 지질 인자와 adipokines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중, 체지방률, BMI, 최대산소섭취량에서 OG에 비해 DG와 NG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LDL-C와 HDL-C 역시 OG에 비해 DG와 N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게다가 adiponectin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4는 12주 운동 후에 DG와 NG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p<0.05), OG에 비해 DG와 N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에서 모든 그룹은 12주 운동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은 비만과 제1형 당뇨병 어린이에게 신체조성의 변화는 가져오지 못했으나 제1형 당뇨병 어린이의 혈관 염증을 줄여줄 수 있으며, 비만어린이에서는 대사 증후군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기자극이 흰쥐의 피부 비만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ast Cell of Skin in Rats)

  • 이재형;제갈승주;박승택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3호
    • /
    • pp.81-87
    • /
    • 1999
  • 전기자극이 흰쥐 피부의 비만세포 수 및 탈과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12마리를 6마리씩 무작위로 전기자극군과 대조군에 배치하고 전기자극군 흰쥐의 등에 양극전극을 부착한 후 맥동빈도 100pps, 맥동기간 $140{\mu}s$, 전류량 $500{\mu}A$로 60분간 전기작극하였으며 대조근은 전극만 부착하고 전류를 통전시키지 않았다. 전자자극 후 등의 피부를 적출하여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리핀 포매 절편을 제작하여 toluidine blue 및 alcian blue 염색을 하였다. 이 표본을 고배율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현미경에 부착된 CCD 카메라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보낸 다음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만세포 수, 탈과립 비만세포 수, 비만세포의 아종 수, 부위별 비반세포를 계측한 후 비만세포의 밀도, 탈과립 비만세포 비율, 비만세포 종류의 비율, 분포 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자극군의 비만세포 밀도 및 탈과립 비만세포 비율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결합조직 비만세포의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비만세포는 표피에는 존재하지 않고 진피에 분포하며 진피 심부에 유의하게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 피부의 양극 전기자극이 비만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고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비만세포와 관련이 있는 피부질환 및 손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기대된다.

  • PDF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성인여성의 복부비만과 지질대사지표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of Abdominal Obesity and Lipid Profiles by Computed Tomography in Adult Women)

  • 김미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33-39
    • /
    • 2008
  • 복부비만은 2형 당뇨병과 고지혈증,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등의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이며 특히 내장형 복부 비만인 경우 위험도가 더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6년 4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비만 클리닉을 방문한 BMI 23 이상의 성인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복부지방 CT를 실시하여 지질대사지표와의 상관성 및 내장지방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8시간 공복 후 채취한 정맥혈액을 이용하여 Glucose, TC, TG, HDL의 농도를 분석하였고, 안정시의 이완기 혈압과 수축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내장지방량은 TC와 TC/HDL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계적으로는 BMI, TAF, VSR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질대사지표는 TC와 TG, HDL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회기분석모델은 47%의 설명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내장형 고도비만 환자에 대한 한방 체형관리 프로그램의 치료 증례보고 (A Case Study on a Visceral Fat Changes in Obese Patient Treated by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Program)

  • 이윤재;황덕상;김용석;이경섭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7-106
    • /
    • 2007
  • 내장지방형 고도비만 환자에게 단기간의 강남경희 체형관리 프로그램(한약치료, 전기지방분해침, 이침과 적절한 식이조절과 운동요법 등)을 통해 체중감량과 내장지방 감소의 유효한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 결과를 서술한 증례보고를 통하여 한방 치료 방법이 비만환자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추가적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비만과 치주질환간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on Convergence Study)

  • 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71-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과 치주질환간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자는 4,827명이다. 치주질환은 지역사회치주지수로 평가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로 측정하였다. 오즈비는 이분형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층화변수는 흡연과 당뇨이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공변수로 보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비만인 경우에서 치주질환 위험이 1.29배(95% CI=1.11-1.49)로 나타났으며, 비흡연군과 당뇨가 없는군을 동시에 고려한 하위분석에서는 정상에 비해 비만군에서 치주질환 위험이 1.20배(CI=1.02-1.48)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만이 치주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국민의 구강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치주질환 관리하고자 할 때 비만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