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강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31초

비강에서 생긴 신경초종 1예 (A Case of Schwannoma of Nasal Cavity)

  • 김나래;차흥억;김동영;하승연;정동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3-145
    • /
    • 2009
  • 신경초종은 전신의 말이집신경 중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말초신경집 양성종양이다. 이 종양이 비강에서 발생하는 것은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뇌경색으로 입원하고 있던 55세 여자환자에서 다량의 비출혈을 동반한 비강 신경집종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부비강 컴퓨터단층촬영사진상 좌측비강과 비인두를 채우는 비균질한 저음영의 거대 종양이 관찰되었고 뼈의 재형성 역시 관찰되었다. 내시경 생검을 시행하였다. 병리검사상, 난원형의 경계가 좋은 병변이 편평상피로 화생된 비강 점막 아래에서 관찰되었고, 종양은 물결모양의 핵을 가진 방추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방추형의 핵들이 밀집하게 모여있는 Antoni A 부분과 세포의 수가 적으며 허술하게 뭉쳐있는 Antoni B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S-100 단백질 면역염색에 양성이었다. 비강의 신경초종으로 진단하였다. 따라서, 흔하지 않게 접하게 되는 비강 신경초종의 임상양상, 감별진단,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협부를 관통한 비강내 이물 1예 (Nasal Foreign Body Through the Cheek)

  • 서병국;이준희;허남진;박재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2-18
    • /
    • 1983
  • 비강내 이물은 주로 발생하는 연령층이 소아이고, 성인에서는 정신질환이 있거나, 비강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특히 외과적 치료)에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 만성 소모성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볼 수 있다. 비강내 이물은 외비공을 통하여 비강내 위치하는 것이 가장 많으며 그 이외에도 후비공, 관통창 등을 통하여 발생한다. 최근 저자들은 협부를 관통하여 4일간 비강내 체류한 연필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정량적 강수 예측을 위한 레이더 비강수 정보의 자료동화 (Data Assimilation of Radar Non-precipitation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ing)

  • 김유신;민기홍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57-57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관측 영역 내에 강수 에코(echo)가 없는 지역을 비강수 정보라고 정의하고 자료 동화에 활용하였다. 비강수 정보는 레이더로 관측할 수 있는 최대 영역 내에서 강수에 의한 에코가 나타나지 않고 레이더에서 관측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한 강수나 구름 입자가 있거나, 강수 자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레이더 자료를 동화한 연구가 강수에 의한 반사도와 시선속도를 동화하여 모델 내의 강수를 만들어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에코가 없다는 것도 하나의 정보로 고려하고 이를 동화함으로써 모델 내에서 잘못 예측한 강수를 억제하였다. 비강수 정보를 자료동화에 적용시키기 위해 레이더 비강수 정보를 수상체와 상대습도로 변환하는 관측 연산자를 제시하고 이를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모델의 자료동화 시스템인 WRF Data Assimilation system (WRFDA)에 적용하였다. 또한 비강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레이더 자료의 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강수 정보가 모델 내에서 잘못 예측한 강수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일 관측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비강수 정보가 수상체와 습도 그리고 기온을 낮춤으로써 대류가 억제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비강수 정보의 동화 효과를 실제 사례에 적용한 2013년 7월 23일 대류 사례 실험을 통해 9시간 예측을 수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레이더 비강수 정보를 추가로 동화한 실험이 비강수 정보를 제외한 실험보다 Fractional Skill Score (FSS)가 증가하고 False Alarm Ratio (FAR)는 감소하여 모델의 강수 예측성을 향상시켰다.

진동센서를 이용한 객관적 비강공명 측정장치의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Objective Measuring Device for the Nasal Resonance using the Vibratory Sensor)

  • 박용재;최홍식;김광문;홍원표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4년도 제2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84-84
    • /
    • 1994
  • 사람의 음성은 성대에서 성대음이 발성되어 성도(vocal tract)에서 공명되고 여과(filter)되어 생성된다. 성도로는 후두로부터 하인두강, 중인두강, 구강으로 이어지는 주된 통로와 하인두강, 중인두강, 상인두강, 비강으로 이어지는 보조적인 통로가 있다. 보통의 모음 발성 시에는 구강으로 통하는 통로가 주로 공명강으로 작용되며 비강 통로는 별 작용을 하지 않지만, 'ㄴ, ㅁ, o, ' 등의 비 자음을 발성할 때에는 비강통로가 주 공명강으로 작용된다. (중략)

  • PDF

비대칭 비강 내 공기유동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earch on the Airflow Inside Asymmetric Nasal Cavities)

  • 김성균;박준형;후이쾅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8호
    • /
    • pp.749-754
    • /
    • 2010
  • 비강의 3 가지 생리학적 주요기능은 공기조절, filtering, 후각기능이다. 비강 내 공기유동특성에 대한 지식은 비강 호흡의 생,병리학적 측면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정상 및 변형된 비강 모델 내 유동에 관하여 일정유량 및 주기유동 하에서 다양한 PIV 실험들을 진행해 왔다. 비대칭 비강을 가진 환자들 중에 일부는 고통을 느끼거나 불편함을 호소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환자들도 있다. 이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비중격이 휘어진 비대칭 모델에 대하여 PIV 및 수치해석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비인후과 의사로부터 모델에 관한 CT 데이터를 제공받아 PIV 및 수치해석을 통해 호기 및 흡기시의 RMS 값 및 속도 분포를 얻었다. 모델에 따라 좌우 유량이 크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이 고통을 느끼는 원인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Midazolam의 투여방법에 따른 진정효과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SEDATIVE EFFECTS BETWEEN THREE ROUTES OF ADMINISTRATION WITH MIDAZOLAM)

  • 김령;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3-291
    • /
    • 2000
  •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중 3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어린이 22명으로 남아 8명, 여아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ASA I에 해당되었으며 첫 내원시 Frankl 행동분류로 negative 13명, definitely negative 9명이었다. 동일어린이에 대해 midazolam(Dormicum, 한국로슈)을 근육내 투여 (I군, 0.15mg/kg), 비강내 점적 (II군, 0.20mg/kg), 비강내 분무(III군, 0.20mg/kg)를 순서에 무관하게 내원시마다 투여한 후 투여방법과 치료과정에 따른 진정 효과, 심박동수 및 동맥혈 산소포화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박동수와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모든 치료과정에서 안정적이었으며, 약물의 투여방법과 치료과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수면효과에서는 비강내 분무, 비강내 점적, 근육내 투여의 순서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P<0.0001), 러버댐 장착기와 충전기를 제외한 모든 치료과정 에서 비강내 분무가 가장 효과적 이었다. 3. 울음, 움직임, 전반적 행동평가에서 비강내 점적, 비강내 분무, 근육내 투여의 순서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P<0.0001), 치료의 모든 과정에서 비강내 점적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결핵으로 오인된 비강 종괴로 첫 발현된 유육종증 (Sarcoidosis Initially Presenting as a Nasal Cavity Mass Misdiagnosed as Tuberculosis)

  • 채동렬;임성욱;조계중;임정환;주진영;권용수;오인재;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121-124
    • /
    • 2008
  • 유육종증의 비강 침범은 드물게 발견되며 폐 침범 없이 비강만 단독으로 침범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37세의 여자 환자가 콧물과 비강 폐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비강 종괴의 조직 검사상 일부분에서 괴사를 동반한 비건락성 육아종으로 나와 폐외 결핵으로 생각하고 9개월간 항결핵제의 투약을 하였다. 그러나 항결핵제 투약 완료 후에 결막 종괴 및 많은 수의 흉곽 내 림프절 비대가 새로이 발견되었고, 결막 종괴에서 시행한 조직 검사상 비강 종괴와 동일한 양상의 비건락성 육아종이 발견되었다. 항결핵제 투약에도 불구하고 임상 증상의 호전이 없었고 비강과 결막 조직 검사에서 비건락성 육아종 소견이 동일하게 보여 최종적으로 유육종증으로 진단 할 수 있었다. 혈청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수치는 상승되어 있었다.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 이후 환자의 증상은 점차 개선되었다.

개에서 발생한 비강샘암종으로부터 유래한 이차성 두개 내 종양 증례 (Secondary Intracranial Tumor Associated with Nasal Adenocarcinoma in a Dog: Clinical,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Histopathologic Findings)

  • 이정하;윤헌영;임금순;서정향;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6-209
    • /
    • 2013
  • 12세의 중성화 수술을 한 수컷 미니어쳐 슈나우져종견이 급성 경련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좌측 비강 내 종괴와 사상판의 용해가 관찰되었다. 조영 후 자기공명영상 사진에서 좌측 전엽과 전두동에 고신호 감도의 종괴가 확인되었다. 비강 종양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뇌종양으로 가진단되었으며 조직검사상에서 비강샘암종이 뇌에 전이된 소견이 관찰되어 확진되었다. 개에서 발생한 비강샘암종이 침습되어 이차적으로 두개 내 종양이 발생한 증례로써 이차성 뇌종양의 이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idazolam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 발현에 관한 연구 (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MIDAZOLAM)

  • 이정하;김미라;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2-420
    • /
    • 2004
  • 최근 의식하 진정요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Midazolam의 임상적 효과로는 항불안, 진정, 수면, 항경련, 근이완, 기억상실 등이 있는데, 이중 기억상실효과는 주로 선행성 건망증(anterograde amnesia)으로 약물투여 후 약물의 작용이 지속되는 동안에 경험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는 시술 중환자의 협조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시술 후 환자는 시술중의 불편한 과정을 기억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적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Midazolam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 양상을 평가할 목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왕력이 없으며 미국 마취학회 전신상태 평가기준에 따라 1등급으로 판정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위약, 경구용 Midazolam투여 주사용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 후 Snograss와 Vanderwart에 의해 표준화된 260개 그림 시리즈를 이용하여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정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2.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경구투여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3.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선행성 건망증을 보이기 시작하여 경구투여시는 45분, 비강내 투여시는 30분에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4. 약물투여 30분이 지나면서 비강내 투여보다 경구투여에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와 진정정도가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본 결과로 미루어 보아Midazolam을 투여한 후 선행성 건망증은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나타났으며 30분전까지는 비강내 투여에서, 30분이 지나면 경구투여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된 바, 치과치료 시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를 이용한 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국소마취 등의 고통스러운 과정은 최소 약물투여 15분 후 시행하는 것이 향후 치과진료에 대한 환자의 긍정적 자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어린이집 소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보균율에 관한 연구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 김영민;오지은;김소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 국내 어린이집을 다니는 소아를 대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과 이런 보균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9월에서 10월까지 서울 지역에 위치한 7개 어린이집의 소아 중 서면 동의를 받은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인구학적 자료 및 의료기관 관련 위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의 소아들의 비강을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증균 및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 및 분리하였고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메티실린 감수성을 결정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5개월 이었으며 남녀비는 1.1:1.0이었고 최근 1년 이내에 입원력 및 수술력이 있는 환아는 각각 9.2%, 3.6%였고 항생제 사용력은 약 40%에서 확인되었다. 전체 428명의 소아 중 163명에서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은 38.1%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24.5%는 메티실린 내성 균주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비강 내 MRSA 보균이 9.3%의 소아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이 의료기관 관련 위험요소가 없는 소아였다. 결 론:국내 소아의 약 38% 및 9%가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자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분리된 MRSA의 95%가 CA-MRSA 균주였다. 향후 비강내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의 변화 및 CA-MRSA 보균율의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