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재킷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여성복 브랜드의 연령집단별 상의치수체계 비교분석 및 성인 여성의 연령집단별 치수체계 설정 (Analysis of Women's Jacket Sizing Systems of RTW Brands and Development of Sizing Systems by Age Groups)

  • 백혜윤;송화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056-1068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women's wear brands' sizing systems reflect the body size and shape of their target age customers. This study classified 17 women's wear brands into three target age groups (20-30s, 30-40s, and 40-50s) and surveyed their body sizing systems for jacket items. The distribution of bu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of brands' sizing systems were compared with the size distribution of women in the 7th SizeKorea data. The brands targeting 20-30s fully produced five sizes which are the highest coverage rate, but the brands targeting 30-40s produced three sizes, and the brands targeting 40-50s produced one size. Regarding the body types, 60.0% of 20-30s target brands and 42.9% of 30-40s target brands reflected N type which is the average body type of each age group. However, the rest of the brands, including all 40-50s target brands, reflected A type which covered small portions of women. For each age group, 6 sizes with 24.0-29.0% coverage rates were proposed. With regard to the 88-94 size, three age groups overlapped: the 82-91 size was overlapped between the 20-30s and the 30-40s groups along with the 85-91 and 88-91 sizes that overlapped between the 30-40s and 40-50s groups.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을 활용한 남자 중학생의 브랜드교복 패턴비교 및 체형별 교복 패턴개발 (Comparison of brand-name school uniform patterns for middle school boys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 patterns by students' body shape, using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 신장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3-154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winter jackets and pants patterns reflecting the latest comfortable and active school uniform trends, using middle school boy avatars having various body shapes. Jacket and pants pattern-drawing methods and margins differed.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prototypes were prepared. Then, virtual wear prospective drawings, clothing pressure, and appearance were assessed according to body shape. Jackets were assessed using 25 factors, while pants were assessed using 19. Then, correlations between the jackets and pa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ason why the dart & tuck position and margin were rated low was confirmed. In a virtual wear assessment on jacket patterns by body shap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categories, except for fit and shape at the front bottom, sleeve length on the side, and the center back line. The virtual wear assessment on the pants patterns by body shape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tegories, except for pants length. In jackets, a significant influence was observed around the shoulders and waist in Type 1 and around the belly in Type 2. On the contrary, for pants, a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around the hip and waist in Type 1 and around back crotch in Type 2. Therefore, they should be considered when making of jackets and pants.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jacket and pants patterns should vary depending on body shape.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comparing brand-name school uniforms for middle school girls and school uniforms by body shape.

시니어 남성의 아웃도어 재킷착용실태 및 아웃도어 브랜드 제품치수조사 (Wearing Conditions of Outdoor Jacket for Senior Men and Research for Actual Product Size of Outdoor Brands)

  • 권정호;정희경;이정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26-634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wearing and purchasing conditions of outdoor jackets by senior men who are over 50s, and examines product sizes of outdoor jackets in the market. A total of 134 questionnaires and sizing systems (or product size) of 10 outdoor brands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The results were: a high number of senior men enjoyed hiking as an outdoor activity, with most of them following this activity1-3 times per month and as a preferred personal activity for over 5 years. Most needed outdoor wear suitable for these daily life activities. Outdoor wear satisfaction tends to decrease as people age. The major reason for the dissatisfaction with outdoor wear was price. Senior men aged 50s and 60s emphasize design and color when purchasing outdoor wear; however, men in their 70s considered price a priority. Senior men preferred outdoor brands based on a comfortable fit. An investigation on 10 outdoor brands indicated that they had not designated a specific target customer. A comparison of the product size of outdoor jackets with a similar silhouette indicated some deviations among sizes; however, the age of customers was not considered. The human body tends to shrink in stature and increase in girth as a person ages; consequently, we need to reflect body shape changes and senior's size in outdoor wear.

패션제품 유형에 따른 소비자 상표전환동기 차이 (Consumer Motivation for Brand-Switching According to Types of Fashion Products)

  • 임은진;황춘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91-2001
    • /
    • 2009
  • 본 연구는 상표전환 관련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패션제품 소비자의 상표 전환동기를 품목별로 고찰 비교하였다. 질문서를 이용한 조사연구법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5월~6월이었고, 총 4개 패션품목에 대한 184부의 응답자료가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OVA 및 Duncan test에 의해 이루어졌다. 패션제품의 기능/미적 동기 및 상황적 동기와, 소비자의 사회/정서적 호기심 동기 측면에서의 상표전환동기가 패션제품 품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기능/미적 요인들이 상표전환에 기여하는 정도는 청바지와 재킷의 경우가 구두와 운동화보다 더 높았다. 기능/미적 측면의 동기와 관련된 모든 변수 중 사이즈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패션제품 소비자의 상표전환 관련 마케팅전략에는 제품 사이즈에 대한 관심이 매우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대체로 상황적 요인도 신발보다 의복의 경우에 상표전환동기로 더 많이 작용하였다. 그러나 디스카운트/쿠폰 제공 등의 촉진전략 변수가 상표전환동기로 기여하는 정도는 청바지가 운동화와 구두 및 재킷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판매자의 조언능력이나 품절상황이 상표전환동기로 가장 높게 기여하는 품목은 재킷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의 조언이나 변화에 대한 욕구 및 타 브랜드에 대한 호기심 등의 소비자 특성 관련 변수가 상표전환동기로 기여하는 정도는 신발류의 경우가 의류에서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표전환동기의 차이는 패션제품 품목에 따라 차별화된 상표전환 관련 마케팅전략의 필요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각 제품의 상표전환동기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상표전환의 정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서 보다 다양한 측면의 상표전환동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 패션 위크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shion Style of Female Celebrities in Seoul Fashion Week)

  • 이지연;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84-295
    • /
    • 2019
  • 셀러브리티들은 한 시대의 지배적인 문화를 형성하기도 하며, 새로운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대상이다. 서울 패션 위크에 참석하는 국내 여성 셀러브리티들은 자신만의 패션 미학을 대중들에게 노출함으로써 패션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도 하며, 컬렉션을 개최하는 패션디자이너들의 브랜드 홍보 및 판매를 촉진시키는 결과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울 컬렉션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스타일의 분석을 토대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형의 스트레이트 실루엣, 무채색의 활용, 문양이나 장식이 없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셀러브리티들은 모던하면서도 미니멀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슬림 실루엣과 프린세스 실루엣, 원피스 드레스나 스커트의 착용, 부드러운 소재나 러플의 장식을 통하여 전통적인 여성미를 드러내는 페미닌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원피스 드레스에 재킷을 매치한 형태 또한 다수 나타남에 따라 남성미가 절충된 시크 페미닌 스타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박시 실루엣, 화려한 컬러들이 믹스된 멀티 컬러, 반짝이는 소재와 그래픽이나 레터링의 문양, 다수의 디테일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유행의 선도자로서의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맥시멀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