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붕괴위험지역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Configuration Maps on the Military Encampment Mines Applying 3-D LiDAR Systems (3-D LiDAR 시스템 적용 진지갱도의 형상도 구현 방안)

  • Oh, J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21-223
    • /
    • 2015
  • 해방70년을 맞이하는 차원에서 일제강점기 동안에 조선인 강재징용으로 구축된 진지갱도(신주백, 2003)에 대한 구조물의 분포와 활용에 대한 내역을 규명하고(황석규, 2006), 일제에 의하여 자행된 국토훼손의 실상 및 만행을 확인하여 분류하는데 있다. '한반도는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의 군사요새였다'(이완희, 2014)고 제시하였듯이 조사탐사의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며, 진지갱도지역에 대한 3-D LiDAR 기법에 의한 도면작성으로 붕괴위험에 처한 진지동굴의 분포, 형상, 내용 등의 분석으로 문화재적 측면의 보전위한 기록물 구현방안에 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Disaster Risks for Earthquake : Centering on the Cases of Cheongju City (지진에 대한 재해위험도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 청주시 사례 중심으로 -)

  • Jeong, Eui-Dam;Shin, Chang-Ho;Hwang, Hee-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67-73
    • /
    • 2010
  • Relatively high density of population and buildings exists in urban area mainly because of broad job opportunities and conveniences available. In other words, if happened, there might be high possibility of disaster which can not be easily recov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evaluation approach of the risk degree resulted from the disaster, which considers the attributes of urban area. Cheongju-city in Chungcheongbuk-do is selected as sample district to be estimated. The degree of overall risk including fire risk, building collapse risk, evacuation risk and gas explosion risk etc. is analyzed in the designated area. The analysis suggests the highest risk degree in Bukmun-ro district which also shows CBD decline phenomenon. Therefore, it can be not only predicted that this area as old downtown has not been provided with disaster prevention operation and urban renewal project, but also judged that administrative assistances for the disaster are required possibly soon.

The in-situ Assessment of GIS-Based Geotechnical Hazard Map (GIS기반 지반재해위험지도의 현장 적용성 평가)

  • Ryu, Ji Hyeob;Seo, Sang Hoon;Hwang, Ui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35-45
    • /
    • 2013
  • In recent years, increasing damage due to landslides. So the government is to create a geotechnical hazard map.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geotechnical hazard map by using 4 years of landslide cases in Seoul and Busan. And the in-situ aseessment has been carried out in test-bad area with specialists. Study has shown dangerous grade in geotechnical hazard map is more dangerous than the actual. Thus we can utilize geotechnical hazrd map in the purpose of the geotechnical hazard preliminary assessment. However, the in-site inspection and evaluation is required for in order to select the hazard area.

Analysis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The national road cut slope (국도 절토사면 상시계측시스템 현황분석)

  • Shin, Chang-Gun;Kim, Youl;Lee, J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921-929
    • /
    • 2008
  • 도로절토사면을 지속적으로 관리함에도 불구하고 집중호우 시 도로절토사면 붕괴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절토사면 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위해 각종 신공법들이 개발, 도입되고 있으며 IT와 접목된 상시계측시스템도 많은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국토해양부 각 지방국토관리청 산하 국도관리사무소에서 관리중인 절토사면 중 현재 상시계측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는 현장은 총 93개소이며 이들 현장들에 문제가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경보시스템이 작동하여 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작동에 차질이 없도록 정기적인 현장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8년 3월경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시설안전공단, (주)GMG에서 합동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국도 상시계측시스템의 현황 및 특성, 상시계측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국도 사면 중 상시계측 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에 대하여 암종별, 규모별, 지역별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상시계측시스템이 설치된 현장 중 붕괴발생현장 및 붕괴위험 현장에 대하여 붕괴특성분석, 유지관리 사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PDF

Artificial Intelligence Estimation of Network Flows for Seismic Risk Analysis (지진 위험도 분석에서 인공지능모형을 이용한 네트워크 교통량의 예측)

  • Kim, Geun-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3
    • /
    • pp.117-130
    • /
    • 1999
  • Earthquakes damage roadway bridges and structures, resulting in significant impacts on transportation system Performance and regional economy. Seismic risk analysis (SRA) procedures establish retrofit priorities for vulnerable highway bridges. SRA procedures use average daily traffic volumes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bridge. This research develops a cost-effective tr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TAN) procedure for evaluating numerous traffic flow analyses in terms of the additional system cost due to failur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TNA Procedure is the use of an associative memory (AM) approach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eld. A simple seven-zone network is developed and used to evaluate the TNA procedure. A subset of link failure system states is randomly selected to simulate synthetic post-earthquake network flows.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AM model is evaluated. Results from numerous link-failure scenarios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AM models to traffic flow estimation.

  • PDF

Assessment of Soil Loss Risk based on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토양손실 위험성 평가)

  • Jeong, Won-Jun;Kwon, Yong-Sung;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4-338
    • /
    • 2011
  • 일반적으로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손실은 붕괴사면과 표면침식, 토사류 붕괴에 의한 운반, 하상의 침식등 자연적인 요인과 도로건설, 산림의 벌채, 단지개발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토양손실의 발생은 농업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목초지를 손상시키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홍수위 상승, 저수지의 저수용량 감소, 고탁수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토양손실 발생의 위험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적절한 관리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전체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토양손실 발생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중 도시화나 농경지 확장 등 인간의 인위적인 개발로 인해 쉽게 변경될 수 있는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토지이용도를 구성하고 있는 총 8가지의 토지이용항목 중 다른 항목들에 비해 분포면적이 매우 작은 녹지, 습지, 나지를 제외한 5가지의 항목(시가화, 논, 밭, 산림, 수역)의 분포면적을 통해 토지 이용특성에 따른 유사발생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유역별 유사발생 위험순위를 평가하였다. 유사발생 위험순위 평가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표준유역들로 구성되어있는 중권역은 내성천, 위천합류점, 합천댐유역, 안동댐유역으로 모두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내성천유역, 위천합류점 유역, 합천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표준유역의 절반 이상이 높은 순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소수의 표준유역이 유역내 최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 PDF

Slope Stability in Logging Area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무인항공기 영상 촬영을 활용한 벌목지역의 비탈면 안정성 평가)

  • Kim, Tae-Wan;Yoo, Hyung-Sik;Park, Seok-In;Ki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7
    • /
    • pp.39-47
    • /
    • 2022
  •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stability of disaster risks, such as schools, apartments, and geotechnical structures located around slopes in urban areas. The research conducted an aerial photography analysis on where the slope of the retaining wall behind 𐩒𐩒 High School in Gwangju collapsed in August 2018 due to heavy rain. In general, the overflow of rainwater has been managed through drainage channels around slopes during the rainy season, and the surface flow of rainfall was limited due to the presence of dense forests in the area. However, when the slope collapsed, a lot of water flowed out of the ground, and the saturated surface layer ground was destroyed. To analyze the cause, the changed terrain of the upper slope area, which could not be directly identified, was photographe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Digital Elevation Model by unmanned aerial vehicle shooting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slope map, calculating the direction of rainfall and the length and width of water-logged areas. The change in the instability of the slope over time due to a 10-day rainfall was also analyz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in Korea National Parks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예측기법의 개발)

  • Ma, Ho-Seop;Jeong, Won-Ok;Park, Ji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3
    • /
    • pp.326-331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s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I)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landslide sediment ($m^3$ ) and environmental factors, factors affecting landslide sediment ($m^3$ ) were high in order of mixed (forest type), < 15 cm(soil depth), 801~1,200 m (altitude), $31{\sim}40^{\circ}$ (slope gradient), 46 cm < (soil depth), 1,201 m < (altitude) and s(aspect). According to the range, it was shown in order of soil depth (0.3784), altitude (0.2876), forest type (0.2409), slope gradient (0.1728) and aspect (0.1681). Th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 was estimated by score table of each category. The extent of prediction score was 0 to 1.2478, and middle score was 0.6239. Class I was over 1.1720, class II was 0.7543 to 0.1719, class III was 0.4989 to 0.7542 and class IV was below 0.4988.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Diagnostic System for Disaster in Decline Areas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9-479
    • /
    • 2021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도시의 재난 대응력 강화가 국내에서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쇠퇴지역은 재난재해 발생 시 인적·물적 피해가 일반 지역 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므로 대응책 마련을 위한 도시재생지역의 정밀한 재난재해의 위험성 분석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 대상지(311개)에 대한 재난재해 유형별 위험성 및 회복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종합진단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재난재해의 범위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준용하여 이에 도시재생사업 시행에 영향을 받아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위험정도가 변화할 가능성이 높은 자연재해 (폭우, 폭염, 폭설, 강풍, 지진)5종과 사회재난 (화재, 붕괴, 폭발) 3종 총 8종으로 정의하였다. 종합진단 기법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위험도 평가 방법을 준용하여 위험요소 (위해성·취약성·노출성)와 대비·대응요소 (회복성)로 구분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재난재해에 특히 취약한 쇠퇴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종합진단지수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 시스템은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신속히 정보를 분석하고 활용에 용이하도록 Web-GIS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종합진단 기법에 의해 산정된 분석결과를 100m × 100m 격자 단위의 등급으로 가시화한다. 분석 결과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최적의 도시재생사업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위한 기초 분석 자료로 연계하여 활용되며, 분석 DB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공유된다.

  • PDF

Rainfall-Runoff Analysis in Nerin Watershed Using Weather Radar an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기상레이더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내린천 유역의 강우-유출 분석)

  • Park, Jung-Sool;Choi, Yun-Seok;Kim, Kyung-Tak;Lee, Seung-Gi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91-295
    • /
    • 200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집중호우의 빈발로 산지하천 유역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산지하천은 급경사지가 주를 이루어 붕괴 위험지역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고 집중호우 발생시에는 산사태, 토석류 등의 2차적인 재해 발생 위험성도 큰 편이다. 산지 하천유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유출현상을 강우 및 기타 수문기상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하는 유출해석과 더불어 호우에 따른 토사유출량의 산정, 하천유역의 지형학적 분석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며 재해발생 위험지역에는 초기단계의 적절한 대응을 위해 센서기술을 기반으로 한 감시체계의 구축이 요구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7월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인제의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기상청 기상레이더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상레이더 자료의 수문학적 활용성과 유역관리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