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in Korea National Parks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예측기법의 개발

  • Ma, Ho-Seop (Division of Environment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Insti. of Agri. Llife Science)) ;
  • Jeong, Won-O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 Park, Jin-Won (Division of Environment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l Univ.(Insti. of Agri. Llife Science))
  • 마호섭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원옥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 박진원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08.05.06
  • Accepted : 2008.06.13
  • Published : 2008.06.29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s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I)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landslide sediment ($m^3$ ) and environmental factors, factors affecting landslide sediment ($m^3$ ) were high in order of mixed (forest type), < 15 cm(soil depth), 801~1,200 m (altitude), $31{\sim}40^{\circ}$ (slope gradient), 46 cm < (soil depth), 1,201 m < (altitude) and s(aspect). According to the range, it was shown in order of soil depth (0.3784), altitude (0.2876), forest type (0.2409), slope gradient (0.1728) and aspect (0.1681). Th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 was estimated by score table of each category. The extent of prediction score was 0 to 1.2478, and middle score was 0.6239. Class I was over 1.1720, class II was 0.7543 to 0.1719, class III was 0.4989 to 0.7542 and class IV was below 0.4988.

본 연구는 국립공원내 산사태 발생지 453개소를 조사 대상으로 붕괴토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고, 수량화이론(I)을 이용하여 붕괴토사량에 대한 각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통해 예방적인 측면에서 국립공원내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예측기준을 작성하였다. 산사태 발생지 붕괴토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혼효림(임상), 토심 15cm 이하, 해발고 801~1,200m, 경사 $31{\sim}40^{\circ}$, 토심 46cm 이상, 해발고 1,201m 이상, 남(S) 사면 등이었다. 각 인자의 Range를 추정한 결과, 토심(0.3784)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다음으로 해발고(0.2876), 임상(0.2409), 경사(0.1728), 방위(0.1681) 순이었다.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도 판정표를 기준으로 5개 인자의 category별 점수를 계산한 추정치 범위는 0점에서 1.2478점 사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앙값은 0.6239점으로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I등급은 1.1720 이상,II등급은 0.7543~1.1719, III등급은 0.4989~0.7542, IV등급은 0.4988 이하로 예측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공원관리공단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2005. 8월 집중호우 피해조사 보고서
  2. 마호섭. 1990. 지리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한 연구. 경상대 연습림연보 제1호: 13-25
  3. 마호섭. 1992. 지리산지역의 산지붕괴와 토사유출에 관한 연구(II). 경상대 연습림연보 제2호: 17-28
  4. 마호섭. 1994. 산지사면의 붕괴위험도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 방안. 한국임학회지 83(2): 175-190
  5. 마호섭. 2001. 주요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특성과 복구 방향. 국립공원 제 27호: 17-21
  6. 마호섭, 정원옥. 2007.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6(6): 611-619
  7. 박노욱, 지광훈, 장동호. 2004. 통계학적 공간통합 모델을 이용한 태풍 루사로 발생한 강 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4): 69-80
  8. 신은선. 199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보령서천 지역의 산사태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66
  9. 이사로, 지광훈, 박노욱, 신진수. 2001.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4(2): 205-215
  10. 이상희. 2005. GIS를 이용한 천층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수문물리모형의 적용.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01
  11.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 2006.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5): 861-867
  12.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발생 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38-47
  13. 최 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45
  14. 長崎懸斜面對策危險度判定委員會. 1985. 長崎懸斜面對策危險度判定調査資料. pp. 75
  15. Bell, R. and Glade, T. 2004. Multi-hazard analysis in natural risk assessment. In Brebbia C.A., ed., Risk Analysis IV, Southampton, Boston, WIT Press. 196-206
  16. Dyrness, C.T. 1967. Mass soil movement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U.S. Forest Service, Rec. Pap. PNW-Technical Paper. 42: 1-42
  17. Fabbri, A.G., Chung, C.F. and Jang, D.H. 2004. A software approach to spatial predictions of natural hazards and consequent risks, In, Brebbia C.A., ed., Risk Analysis IV, Southampton, Boston, WIT Press. 289-305
  18. Strahler, A.N. 1952. Dynamic Basis of Geo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l, Bulletin. 63: 923-938 https://doi.org/10.1130/0016-7606(1952)63[923:DBOG]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