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임스트레스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불임 남성의 사회적 지지와 불임 스트레스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Infertility Stress in Infertile Men)

  • 박점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07-11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 남성의 사회적 지지와 불임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있는 난임 전문 병원에 불임 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한 120명의 성인 남성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불임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불임 스트레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32, p< .001). 본 연구 결과는 불임 남성이 가지고 있는 불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알려주었다. 따라서 불임 남성의 간호시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고, 불임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 전략이 고려되어야 한다.

불임여성의 불임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 박영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44-259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to describe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and identify its predi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131 infertile women, were in primary or secondary infertility. the were conveniently sampled out from the infertility clinics of K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C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Infertility Stress Scale which consisted of 35 items with four dimensions(cognitive, affective, marital and social stress) from August to November 1994.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c-SAS program.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of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ile,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is 2.78. The Means of the stress in 4 dimensions are 3.81 in the cognitive dimension, 3.05 in the affective dimension, 2.06 in the marital adjustment dimension and 2.41 in the social adjustment dimension. 2. The predictors of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are their educational levels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They explain 14.08% of total variance.

  • PDF

불임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불임 스트레스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Infertility Stress of Infertile Women)

  • 김희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5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infertility stress of infertile women. The subjects for this were 64 infertile women living in S city, Kyung Book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4^{th}$ July and $14^{th}$ August, 1988 using th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1985) and the infertility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et. al.(1995)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social support of the infertile women was 3.80. 2.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infertility stress(r=-.56, p=.001). 3.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support need of social support was a predictor of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explaining 30.9% of total variance. 4.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was marriage satisfaction(t=-3.28, p=.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support is related to the infertility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Therefore, The nurse is recommended to apply supportive intervention in caring for infertile women.

  • PDF

불임 치료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및 태아애착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 김미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3-172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of pregnant women who underwent infertility treatment,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etal attachment. Methods: As a correlation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36 pregnant women who underwent infertility trea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averaged $3.01{\pm}0.60$ (range of scale 1~5), $10.02{\pm}6.51$ (out of a possible 63), and $3.64{\pm}0.55$ (range of scale 1~5), respectively. Level of fetal attachment was higher when mother's age was less than 35, having other children, and having prenatal education experience. Lower score of depression and client's age less than 35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fetal attachment. Conclusion: Infertility is a life-affecting trauma for the individual, and personal and social changes due to infertility cau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even after a successful pregnancy with infertility treatment. Therefore, prenatal managemen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giving consideration to the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in order to promo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women pregnant following infertility treatment.

불임 스트레스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fertility Stress Scale)

  • 김선행;박영주;장성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1-155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tress in infertile couples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Prior to item generation, a basic decision was made to conceptualize stress in infertile couples as including two dimensions and four subdimensions. The dimensions were, intrapersonal stress including cognitive and affective stress, and interpersonal stress including marital and social stress. Initially 95 items were generated from the inter-view data of 31 primary or secondary infertile women and from a literature review. These items were analyzed through the Index of Content Validity(CVI) and 69 items were selected which met 70% or more of the CVI. This preliminary Infertility Stress Scale were analyzed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for construct validity. Fort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item analysis. This procedure was based on the inter-item correlation matrix, a corrected average inter-item correlation coefficient(.30~.70), a corrected item to 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03 or more) and information about the alpha estimate if this item was dropped from the scale. The result of the initial factor analysis including varimax rotation produced eight factors. Five items deleted because of factor complexity(indiscriminate factor loadings). The secondary factor analysis including varimax rotation produced seven factors that coincided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posed for the scale developed. The seven factors were labeled as ‘meaning of children’,‘worthiness’,‘tenacious linking’,‘marital satisfaction’,‘sexual satisfaction’,‘familial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The alpha coefficient relating to internal consistency was .93 for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derived from the Infertility Stress Scale is useful in assessing the stress of infertile couples.

  • PDF

불임시술의 전환이 정맥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version of Infertility Treatment on Semen Quality)

  • 김용진;지병철;서창석;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3호
    • /
    • pp.159-166
    • /
    • 2007
  • 목 적: 불임 부부에서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연속하여 시행한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및 전환하여 시행한 체외수정시술이 정액검사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진단적 목적으로 컴퓨터정액분석기를 이용한 정액검사 (computer-assisted semen analysis (CASA))를 시행한 후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였으나 임신에 실패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후 38예의 환자에서는 두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였고 (Group 1), 15예의 환자에서는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였다 (Group 2). 이들에서 두 번째 불임시술을 위해 채취한 정액의 양 (volume), 정자의 농도 (concentration), 운동성 (motility), 총운동성정자수 (total motile sperm count) 등의 컴퓨터정액분석소견을 이전에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 시행한 정액검사소견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 불임 부부간의 남편 연령, 첫 번째 시술과 두 번째 시술 사이의 시간 간격, 불임의 원인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roup 1에서 첫 번째 시행 시의 정액검사소견의 정상 여부와 관계없이, 정자의 운동성은 첫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보다 두 번째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roup 2에서는 첫 번째 자궁강내 정 자주입술 시보다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농도, 정자의 운동성, 총운동성정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roup 2의 하위그룹 분석에서는 자궁강내 정자주입술 시행 시 정상 정액소견을 보인 경우는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농도와 총운동성정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자궁강내 정 자주입술 시행 시 비정상 정액소견을 보인 경우에는 체외수정시술 시 정자의 운동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자궁강내 정자주입 술 시행 후 임신에 실패하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게 된 환자의 정액검사소견은 자궁강내 정 자주입술을 계속 시행 받은 환자군에 비해 더 악영향을 받는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 착상전 배아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ATF4 유전자의 발현과 존재 부위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ATF4 Gene on Oxidative Stress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

  • 나원흠;강한승;어진원;계명찬;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105-113
    • /
    • 2006
  •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은 세포의 성숙과 발생 과정을 저해하며, 인간의 생식 수관에서 불임의 원인이 된다. 많은 세포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ROS에 대한 세포 내의 보호 기작이 밝혀지고 있다.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4(ATF4)는 세포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비롯한 여러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작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유전자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착상 전 초기 배아의 발생 단계에서 ROS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배아의 발생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와 관련하여 생쥐 초기배아에 산화적 스트레스 요인인 $H_2O_2$(hydrogen peroxide)를 처리한 후 ATF4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추적하였으며, ROS 방어에 관여하는 SOD1 유전자와 apoptosis 유전자인 Bax의 발현 양상을 함께 비교하였다. 또한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하여 착상전 초기배아의 ATF4 단백질 발현 부위를 조사하였다. $H_2O_2$를 0.1 mM 농도로 처리한 2-세포기 배아에서는 처리 8시간 후인 4-세포기 단계부터 발생율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0.5 mM과 1.0 mM 농도에서는 배아의 발생이 진행되지 않았다. RT-PCR결과 SOD1 유전자의 발현은 $H_2O_2$를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처리 1시간째인 2-세포기 배아단계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며, ATF4 유전자 역시 2-세포기 배아단계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Bax 유전자도 통일한 시기에 발현이 증가하였다. ATF4 단백질의 배아 세포 내 발현부위는 스트레스 방어 기작이 주로 일어나는 세포질에서 많이 발현이 되었으며 포배기 배아에서는 내세포괴(inner cell mass)부위 보다는 영양외배엽(trophectoderm)에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2-세포기 배아에서 ATF4 immunoreactivity는 모든 $H_2O_2$농도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착상 전 초기 배아에서 ROS에 의해 ATF4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배아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작에 ATF4가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세포 사멸 유전자의 발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토양수분 스트레스가 보리생육 및 종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il Moisture Stress on the Growth of Barley and Grain Quality)

  • 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5
    • /
    • 1995
  • 토양수분정도가 보리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보리의 가공이용에 적합한 양질의 원맥생산을 위한 토양수분기준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직경 52cm 높이 55cm인 대형 플라스틱 폿트에 사양토를 충진하여 강우차단시설을 갖춘 개폐형 하우스에 완전임의 3반복으로 배치한 뒤 올보리와 강보리 두 품종을 폿트당 40주의 밀도가 되도록 파종하였다. 토양수분장력이 각각 -0.05bar, -0.2bar, 0.5bar, -1.0bar, -5.0bar, -10.0bar에 도달되었을 때 토심 10cm주위가 충분히 젖어 장력이 0으로 될 때까지 관개를 하는 방법으로 토양수분을 조절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장력은 micro tensiometer와 gypsum block을 토실 10cm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분얼기로 부터 황숙기까지 토양수분을 조절 처리하여 재배한 보리의 생육특성 및 종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곁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수분 스트레스가 장력 -1.0bar이하로 될 경우 간장과 절간장이 현저하게 짧아지고 간경이 작아지며 엽폭과 엽장이 크게 짧아지는 경향이였다. 2. 토양수분장력이 -0.5bar이하로 떨어지면 엽면적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나 주간의 지엽 및 제1엽중에 함유된 엽록소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3. 뿌리활력은 토양수분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대체로 떨어지는 경향이였으며, 품종별로는 올보리가 토양수분장력 -0.05bar구에서 뿌리활력이 가장 좋았으나, 조강보리는 장력 -0.05bar에서는 활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반면, 장력 -0.2bar에서 가장 높은 활력을 보여 올보리보다 습해에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토양수분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화분활력저하는 올보리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조강보리는 토양수분장력이 낮아질수록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주간의 불임율은 토양수분장력 -10.0bar이하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5. 이삭무게는 토양수분장력이 -1.0bar이상으로 될 때 올보리가 1.0~2.5g/ear, 조강보리가 0.5~1.7g/ear의 무게분포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장력 -5.0/bar이하로 토양수분스트레스가 심한 처리구에서는 대부분 1.3g/ear이하의 가벼운 이삭이 주종을 이루웠다. 6. 곡립의 무게는 토양수분장력이 1.0bar이상으로 적습 범위일 때 올보리가 31~50mg/kernel, 조강보리가 21~45mg/kernel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나, 토양수분스트레스가 큰 장력 -5.0bar이하에서는 곡립무게가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7. 곡립의 크기는 올보리와 조강보리 공히 2.2~2.6mm범위로 곡립분포를 보였으나, 토양수분스트레스가 심해질수록 이 범위이하의 작은 곡립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토양수분장력 -0.2bar를 관개시점으로 토양수분을 조절해 주었을 때 종실수량이 가장 많았고, 수분장력이 -1.0bar이하로 떨어지면 수량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9. 종실분의 조단백함량, 최고점도(Max. viscosity), 굳음성(Consistency) 및 ${\beta}$-glucan의 함량은 토양수분 장력이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며, 특히 토양수분장력 -5.0bar이하일 때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호화온도(Gelatiantion temp.)는 토양수분장력이 낮아질 수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10. 수분이용효율은 올보리가 토양수분장력 -0.5bar, 조광보리가 토양수분장력 -1.0bar유지구에서 가장 높았고 이 범위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효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 PDF

불임 환자의 스트레스와 기울(氣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stress degree and Qi-stasis of infertile women)

  • 권수경;이은정;최은미;강명자;박종훈;김종우;이희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5-182
    • /
    • 2005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stress degree of infertile women and its correlations with Qi-stasis. Methods : 162 women, enrolled for treatment at oriental hospital, completed Infertility Stress Scale,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Qi-stasis questionnaire. Their demographic features and infertility-related factors were recorded. 137 infertile women and 25 normal subjects were analyzed. Results : 1. 43 infertile women(33.86%) among the sample group were diagnosed as Qi-stasis. 2. There were close score correlations among Infertility Stress Scale,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Qi-stasis(p=.000). 3. Experienc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possibility of spontaneous pregnancy, coitus frequency, whether the spouse is the eldest son or not had the influences on Infertility Stress. Abortion experience had influences on stress response and Qi-stasis. 4. It was revealed that Infertile women(n=137)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Infertility Stress' and subscales such as 'sexu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familial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s well than control group(n=25). Conclusion : The results provide that the stress degree of infertile wome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Qi-stasis and show the possibilities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stresses of infertile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