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안정화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Hybrid energy system for fuel consumption reduction of smart green building (스마트그린빌딩 에너지 시스템의 연료소모 절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 An, Boguen;Lee, KyungKyu;Choi, Jaeho;Song, Yu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105-1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젤발전기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스마트 그린 빌딩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빌딩 하이브리드 에너지시스템은 다양한 전력원을 가질 수 있는데 기존의 디젤발전기에 화석연료를 저감할 목적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이나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형태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이 연계 운전될 수 있다. 연료소모를 최소화하고 디젤발전기의 느린 출력응답특성으로 인한 계통 전압 불안정화를 보상하기 위해 응답특성이 빠른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에너지저장장치와 태양광발전원과의 연계운전 기술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Research of stability about aerodynamic levitation using jet (제트를 이용한 구체 부양 안정성 연구)

  • Han, Song-Lee;Yun, Tae-Gyun;Gu, Jun-Mo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305-30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체역학적인 후류 효과를 제어하고 항력을 이용하여 구체를 안정적으로 부양하는 방법을 해석 및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물체를 공중에 부양할 때는 물체가 받는 중력과 제트에 의하여 공급되는 항력이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 때 공기의 흐름의 레이놀즈 수에 따라 공기가 구체를 지나가며 구체후면에 생기는 후류에 의하여 부양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구체의 운동이 제트에 의하여 안정되는 현상은 베르누이 및 코안다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에디슨을 이용하여 레이놀즈 수에 따른 실린더에 작용하는 항력과 후류에 의한 불안정화 힘을 해석적으로 구하였으며 이를 실험적으로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부양 거리, 안정도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고찰 결과 레이놀즈 수가 작을수록 더 안정됨을 확인하였다.

  • PDF

Modeling and simulation of Hybrid energy system for smart green building (스마트 그린 빌딩을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An, Boguen;Lee, KyungKyu;choi, Jaeho;Song, Yu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54-1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젤발전기와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스마트 그린 빌딩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빌딩 하이브리드 에너지시스템은 다양한 전력원을 가질 수 있는데 기존의 디젤발전기에 화석연료를 저감할 목적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이나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형태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이 연계 운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젤발전기의 느린 출력응답특성으로 인한 계통 전압 불안정화를 보상하기 위해 응답특성이 빠른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에너지 저장장치와의 연계운전 기술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Removal of Color and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from biologically treated effluent by coagulation. (응집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 Seo, Tae-Gyeong;Park, Sang-Min;Park, No-Baek;Jeon, 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59-863
    • /
    • 2008
  • 축산폐수, 침출수 등의 고농도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경우 최종 방류수는 강한 색도를 띠며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성 복합체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중간생성물로 색도를 띠는 천연유기물질(NOM)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는 심미적인 불안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공중보건상의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다. 또한, 수자원 이용측면에서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약품투입량 증가와 특히, 소독부산물 생성이라는 잠재적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후속처리가 요구되며, 실제로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막 분리, 고급산화(AOP) 및 화학적 응집 등의 물리-화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화학적 응집은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중합체(Polymer)를 이용하여 콜로이드성 입자와 색도를 띠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전기적 불안정화를 유도함으로서 흡착 및 응집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제거는 대상원수의 성상과 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각각의 제거효율과 최적 운전조건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화학적 응집공정은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지만, 운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적 어려움, 경제적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혐기-호기성 공정에서 방류되는 축산폐수의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화학적 응집에 의한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거동을 고찰하였다. 대상 처리수의 $TCOD_{Cr}$ 농도는 평균 410 mg/L인 반면, $BOD_5$는 7-15 mg/L 범위로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_2(SO_4){\cdot}14H_2O$)과 염화철(ferric chloride)의 무기응집제를 이용하여 자 테스트(jar test)를 수행한 결과, 동일한 응집제 주입량에서 염화철의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철의 경우 각각의 응집제 주입율 5.85mM에서 89%, 7.03mM에서 97.5%의 최대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최종 pH는 4.0-5.6 범위이었다. 한편, 대상 원수 내의 콜로이드성 입자 또는 용존성 유기물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는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 되어 있어 응집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다가의 양이온성 금속염을 흡착시켜 전기적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성 수화물 내에 포획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 때, 금속염 수화종의 전하밀도가 응집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가의 양이온은 전기적 이중층(Double layer) 압축에 의한 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2가 금속염은 색도유발물질과 흡착하여 humate 또는 fulvate 등의 착화합물(complex)을 형성시켜 응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화학적 응집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등의 다가이온 첨가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후속되는 플록형성 및 침전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2차 처리수로부터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Hypoxia and NF-${\kappa}B$; The Relation to Chemoresistance (저산소증과 NF-${\kappa}B$의 항암제내성과의 연관성 고찰)

  • Yoon, Seong-Woo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 /
    • v.15 no.1
    • /
    • pp.119-128
    • /
    • 2010
  • 항암치료는 현재 암환자의 주요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항암제내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약물내성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수송단백질의 과발현, 비독성화발현, 손상유전자의 복구, 세포사멸신호의 변화, STAT-3와 NF-${\kappa}B$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 암세포는 저산소환경에서 발생하며 일반세포에 비해 무산소해당에 상대적 의존도가 높고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인자가 된다. 항암제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한데 저산소환경은 이를 방해하며 또한 유전자의 불안정화로 인해 약물내성이 유도된다. NF-${\kappa}B$는 주요 전사인자 중 하나로서 각종 염증과 암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변화, 증식, 침윤, 전이에 관여한다. 환경적 스트레스 등과 대부분의 항암약제들이 NF-${\kappa}B$를 활성화시키며 임상적으로도 암환자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NF-${\kappa}B$의 발현은 항암제로 인한 암세포의 자멸을 회피하게 만들고 수송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항암제내성을 유도한다. 강황, 적포도, 고추, 건칠 등 다양한 천연물에서 NF-${\kappa}B$를 억제시키는 효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항암제내성을 억제시키고 항암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저산소환경의 개선과 NF-${\kappa}B$의 억제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제내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암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연구목표가 될 수 있다.

  • PDF

Fractionation of Extracellular Cellulase Pproduced by Cellulomonas and Reaction Mechanisms of the Isolated Enzymes (Cellulomonas가 생산하는 균체의 Cellulase의 분리 및 분리된 효소의 작용기작)

  • Kim Byung Hong;Wimpenny, J.W.T.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23 no.1
    • /
    • pp.25-33
    • /
    • 1985
  • The cell-free cellulolytic enzyme was separated into 3 different enzyme proteins by gel-filtration and ion-exchange chromatography. These fractions were named enzyme A, enzyme B and enzyme C. The mode of action of each of the separated enzymes on crystalline cellulose was examined using infrared spectroscopy and X-ray crystallography. It was concluded that enzyme B is of the $C_1-type$ and reduces the crystallinity of the subatrate by generation an unstable glucopyranose ring structure, whilst enzymes A and C are of the $C_x-type$ and hydrolyse the reaction product of enzyme B to constituent sugars. A reaction scheme for this cellulase system is proposed and discussed.

  • PDF

Ostwald Ripening in Hydrogenated Lecithin-stabilized Oil-in-Water Nano-emulsions (수첨 레시틴으로 안정화된 오일/물 나노에멀젼에서의 Ostwald Ripening)

  • Cho, Wan-Goo;Yang, Hee-Jung;Park, Soo-Nam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4 no.1
    • /
    • pp.9-14
    • /
    • 2008
  • Formation of oil-in-water nano-emulsions has been studied in oil/hydrogenated lecithin/water systems by two shear different instrument. The influence of surfactant concentration on nano-emulsion droplet size and stability has been studied. Droplet size was determin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and nano-emulsion stabil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variation of droplet size as a function of time.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breakdown process of nano-emulsions studied could be attributed to Ostwald ripening. An increase of nano-emulsion instability with increase in surfactant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droplet size in the range of 100~200nm, however, an decrease of instability was found in the droplet size in the range of 300~400nm.

Stabilization of Ascorbic acid with Nonaqueous Emulsification (비수 유화법을 이용한 아스코르빅산의 안정화)

  • Lee, Chung Hee;Shin, Jae Dong;Bae, Su Hyun;Kang, Ki Choon;Pyo, Hyeong B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8 no.4
    • /
    • pp.263-270
    • /
    • 2012
  • Ascorbic acid (Vitamin C) becomes unstable in the aqueous phase by oxygen, light and alkali, etc. The properties are limited in application to cosmetic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destabilization of ascorbic acid in the aqueous phase was tried to understand considering its molecular deformation and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changed the polyols and emulsification technique for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Then we observed the color and concentration change of ascorbic acid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42^{\circ}C$) for 6 weeks and identified the stability using HPLC regularly. As a result, we found that glycerin was the most appropriate polyol for stability of the ascorbic acid. Also the technique of nonaqueous emulsification stabilized ascorbic acid than P/S emulsification. Also, P/S emulsification, glycerin was more stable than propylene glycol. By the results we suggest that ascorbic acid could be stabilized by nonaqueous emulsification method and this data could be applied to stabilization methods for cosmetic products.

Influence of Upstream State on the Interacting Turbulent Boundary Layer (相互作용하는 亂流 境界層에 대한 上流狀態의 影響)

  • 이덕봉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3
    • /
    • pp.277-284
    • /
    • 1986
  • A numerical procedure (integral method) for calculating the interacting turbulent boundary layer is set up. With this method, some free interactions with various upstream conditions are simul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pstream state on the interacting turbulent boundary layer.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numerical simul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ee interaction of upstream unstabilized (or separated) turbulent boundary layer is subcritical regardless of its external Mach number, while free interaction of upstream stabilized turbulent boundary layer has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subcritical, supercritical) according to the external Mach number.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ame Dynamics in Ducted Combustor (덕트형 연소기에서 화염의 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g, Chanyeong;Kim, Taesung;Song, Jinkwan;Yoon, Yo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5
    • /
    • pp.121-131
    • /
    • 2013
  • The characteristics of flame dynamics occurring near the bluff body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a model combustor with V-gutter bluff body. Measurements of chemiluminescence with high speed camera and PIV were performed for visualization of flame structure. Flashback occurs due to the change of pressure gradient in the combustor, and the flashback distance depends on equivalent ratio. Unstable flam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flashback distance and structure. When the flame goes over the bluff body, an unusual flame structure occurs at the front of the bluff body. Re-stabilization takes place as the flame moves downstream of the combustor. This process is supported by a strong vortex structure behind the bluff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