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면(不眠)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7초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나타난 불면(不面)의 원인(原因)에 관한 고찰(考察) -관우대(關于對)"황제내경(黃帝內經)" 중기재적불면인원적고찰(中記載的不原眠因原因的考察)-

  • 김인구;김중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8호
    • /
    • pp.57-66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중제출적여불면상관적17편경문적고찰(中提出的與不眠相關的17篇經文的考察), 진행불면원인적연구(進行不眠原因的硏究), 득출여하결논(得出如何結論): 수면화불면(睡眠和不眠), 여인체내위기적활동유관(與人體內衛氣的活動有關). 즉백주위기행어양분(卽白晝衛氣行於陽分), 고능소성(故能蘇醒); 이야만위기행어음분(而夜晩衛氣行於陰分), 칙능입수(則能入睡). 위기능구순리지출입내외, 기력양시유오장적정기제공적(其力量是由五臟的精氣提供的). 인차개괄이언(因此槪括而言), 불면적원인시음허양왕적상태(不眠的原因是陰虛陽旺的狀態). 수연불면불과시일종병증(雖然不眠不過是一種病症), 단기원인시다양적(但其原因是多樣的). 재경문중소견적원인(在經文中所見的原因), 진행개괄여하(進行槪括如下): 양기원성(陽氣元盛), 양명경실조(陽明經失調), 위중불화(胃中不和), 오장수손상(五臟受損傷), 혹인년노오장정기불족(或因年老五臟精氣不足), 인광증혹혼백비양이(因狂症或魂魄飛揚而) 치적다몽등심리장애(致的多夢等心理障碍), 비생리성수사체류(非生理性水邪滯留), 인침자오치이치적음정손상혹수사조장(因針刺誤治而致的陰精損傷或水邪助長).

  • PDF

돌연변이 불면잠$(nm^n)$ 의 불면형질의 발현 (Phenotypic Expression of the Non Molting Gene in The 'Non-molting of Nho' of Bombyx mori)

  • 유현주;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3-99
    • /
    • 1993
  • 새로운 돌연변이 불면잠 nmn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및 생리 생화학적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화 3일째가 되면 정상잠은 흉부가 흰색을 복부는 갈색을 나타내는데 비해 불면잠은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며 부화 7,8일경이 되면 대부분 치사한다. 잠기별 발현비율은 월년란에 비해 인공부화란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 부화날짜별 불면잠의 발현비율은 3일동안 거의 비슷했다. 조직학적 관찰결과 불면잠의 탈피선은 정상잠의 그것에 비해 형태나 크기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정상잠이 면중에 새로운 피부가 형성되는데에 비해 불면잠에서는 신피형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유충혈액중의 총단백질은 정상잠이 불면잠에 비해 훨씬 많았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수종의 단백직 성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인의 불면정도에 따른 우울 및 삶의 질 (Severity of Insomnia,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 박승미;김지윤;장인순;박은준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91-1007
    • /
    • 2008
  • 본 연구는 60세 이상의 노인 463명을 대상으로 불면정도를 평가하고, 그 영향에 따라 우울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불면정도는 입면장애, 수면유지장애, 재입면 장애, 전반적인 수면양상의 네 가지 점수를 합산한 후 점수분포에 따라 정상, 경증, 중증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우울은 변형된 Zung의 우울척도를 이용하고, 삶의 질은 SF-3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2$-test, t-test, ANOVA와 Scheffe 분석,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노인의 75.6%가 불면증상을 호소하였으며, 그 중에서 경증은 65.0%, 중증은 10.6%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면정도는 성별, 결혼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면관련 특성에 해당하는 평균 수면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에 따라 불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수면관련 특성을 통제하여 불면정도가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불면정도가 중증인 경우 우울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의 경우는 불면이 경증인 경우, 불면이 중증인 경우 모두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불면증상을 호소하는 노인들은 불면정도를 고려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이용한 불면 장애 환자 군들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Patients Diagnosed with Insomnia in an Outpatient Department)

  • 이상돈;유승호;하지현;전홍준;박두흠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2호
    • /
    • pp.104-110
    • /
    • 2019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을 주소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들 중 불면 장애를 단독으로 진단 받은 환자 군과 불면 장애와 함께 우울 장애 또는 불안 장애를 진단 받은 환자 군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결과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특징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 2006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불면을 주소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들 중 DSM-IV-TR의 불면 장애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것과 동시에 STAI를 시행했던 환자들의 기록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불면 장애를 진단 받은 환자들은 주로 해당 질환만 진단받은 군, 불안 장애를 같이 진단 받은 군, 우울 장애를 함께 진단 받은 군으로 분류되었는데, 각 군들 간의 인구학적 특성 및 STAI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 과 : 해당기간 동안 불면을 주소로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불면 장애를 진단받고, STAI를 시행한 환자는 총 329명이고, 그 중 99명은 우울 장애를, 61명은 불안 장애를 동시에 진단받았다. 세 환자 군들 사이에서 나이, 성비와 같은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며, 공통적으로 50대부터 70대의 환자들의 비율이 불면 장애만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는 71.8% 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들은 각각 77.1%, 73.8%로 높았다. STAI-I의 평균 점수는 불면 장애와 불안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51.85 ± 10.16, 우울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54.18 ± 10.32로 불면 장애를 단독으로 진단 받은 환자 군의 평균인 44.55 ± 8.89 보다 높았으나, 불안 장애 또는 우울 장애를 함께 진단 받은 군들 사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하게 STAI-II의 평균점수는 불면 장애와 불안 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49.98 ± 8.31, 우울 장애를 함께 진단받은 군은 53.19 ± 10.13으로 불면 장애만을 진단받은 환자들의 평균(42.71 ± 8.84) 보다 높았으나, 두 군들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불면을 주소로 방문한 환자들 중 불면 장애 만을 진단받은 환자 군과 우울 장애 또는 불안 장애를 함께 진단 받은 환자 군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유사하지만, STAI-I과 STAI-II 평균은 낮았다. 추후 이를 기반으로 동반질환 등을 포함한 다른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하고, 더 많은 수의 불면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STAI-I와 II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 이다.

누에의 후배자발생 초기에 있어서 돌연변이 불면잠계통간의 형질발현 특성 (Pheontypic Characterization of Non-molting Mutants in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the Silkworm, Bomyx mori.)

  • 노시갑;선희숙;반야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51
    • /
    • 1998
  • 곤충 후배자발생과정(약령기)에 있어서 유전자의 형질발현기구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누에의 유전적 돌연변이 불면잠계통을 재료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nm-d, nm-f, nm-k, nm-i, nm등의 5개 불면잠계통에 대한 불면잠의 발현양상, 생존일수, 치사율, 체액단백질의 농도 및 조성 등을 조사한결과, 불면잠계통들은 대체로 유사한 형질발현을 하였으나 각 계통들의 유전자특유의 형질특성은 인정되었다. 이들 특성을 기초로하여 불면잠계통을 두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치사시기가 빠르고 체액단백질성분의 대부분이 소실되는 약령기퇴화형불면잠과 생존기간이 비교적 길며 체액단백질성분의 감소가 비교적 적은 약령기유지형 불면잠으로 그 특성이 구분되었다.

  • PDF

새로운 돌연변이 불면잠의 유전학적 연구 (Genetical Studies on the Non-molting Allele Mutation in Bombyx mori)

  • 노시갑;토정랑굉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2-74
    • /
    • 1991
  • 보존계통중의 1계통으로부터 1령 유충상태로 면에 들지 못하고 치사하는 유전적 불면잠이 발견되었다. 이 불면잠은 부화 후 3일째부터 발육이 현저히 지연되며 7-8일째까지는 거의 폐사한다. 동일아구의 정상잠에 의한 후대검정으로 이 불면치사형질은 상염색체상의 1열성유전자에 의해 발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관검색의 결과 제11연관군에 속해 있으며 유전자 좌위결정실험에 의해 기존의 nm유전자의 복대립인자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불면잠유전자를 nmn으로 명명하였다.

  • PDF

회복탄력성을 통한 주관적 불면의 심각도와 자살사고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Suicidal Idea Through Resilience)

  • 정사임;주가원;이상익;신철진;손정우;김시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93-199
    • /
    • 2017
  • 연구목적 불면은 자살사고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어떻게 자살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이에 불면 증상이 회복탄력성과 자살사고와 상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이 불면증상과 자살사고의 매개요소가 될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4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및 관련 검사를 수행하였다. 불면증 심각성 척도, 한국판 코너-데이비드슨 회복탄력성척도, 벡 자살사고 척도 및 벡 무망감 척도를 활용하여 불면증상, 자살사고, 회복탄력성, 무망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각 요소간의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불면증상이 심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았고, 자살사고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망감, 연령, 성별, 동거가족, 가정 내 월수입을 통제하여도 유의하였다. 더불어 입면의 어려움과 유지의 어려움을 겪는 불면증상이 자살사고와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하여 불면증상이 자살사고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복탄력성도 유의하게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회복탄력성이 불면과 자살사고와의 관계에 유의미한 중재자가 됨을 확인하였다. 결 론 수면상태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평가 및 개입이 자살사고를 낮추어 자살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관절염 환자의 불면

  • 임난영
    • 대한근관절건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997년도 제6회 춘계학술대회
    • /
    • pp.147-149
    • /
    • 1997
  • PDF

불면증상을 동반한 건선 환자 치험 2례 (A Case Report on Two Psoriasis Patients with Insomnia)

  • 이기훈;양지은;장규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6-92
    • /
    • 2015
  • 불면을 동반한 건선(乾癬) 환자(患者)에게 불면과 건선(乾癬)의 경중이 비례하는 양상을 보인 환자(患者)에게 불면을 치료(治療)하면 건선(乾癬)이 회복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심혈부족(心血不足)이 불면의 원인(原因)이라고 판단되는 건선(乾癬) 환자(患者)에게 귀비탕(歸脾湯)을 투약해서 불면과 건선(乾癬)이 동시에 회복되는 결과(結果)를 확인했다. 아직 명확한 건선(乾癬) 치료(治療) 지침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건선(乾癬) 자체를 보고 접근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건선(乾癬)과 동반된 기저 질환이 건선(乾癬)의 경중과 비례한다면 동반된 질환을 치료(治療)해서 건선(乾癬)을 치료(治療)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얻었다. 앞으로 건선(乾癬) 환자(患者)가 다른 기저 질환을 동반하고 이러한 질환의 경중이 건선(乾癬)과 비례한다면 이 질환의 치료(治療)를 시도하는 것이 건선(乾癬)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불면(不眠)과 심(心)의 상관성(相關性)에 관한 연구(硏究) -관어불면여심지상관성적연구(關於不眠與心之相關性的硏究)

  • 유희정;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3-178
    • /
    • 2009
  • 隨著文明的發達, 強度越來越大的夜生活使現代人的睡眠經常不能維持身體生理之所需. 可見, 對維持現代人的健康所需的睡眠的重要性, 不可隨便看過. 近來, 西醫學提出, 睡眠對於生命體起著恢複元氣的功能機能. 心臟從人出生到死亡, 始終搏動不已. 這一心臟的搏動, 實際上亦有緩急之差, 人的感情愈是安定, 心搏便愈會緩慢而安寧. 一般人在睡眠時, 其意識也會處於休息狀態, 結果心情得到鎮定, 心搏也變得安定, 從而使心臟也得到相應休息. 人的神志活動的物質基礎爲血, 而血的生成則是在中焦完成的. 肝藏血的功能是與心主血的功能相關的重要機能, 肝藏血是在人睡臥時形成的. 這種與血有關的心, 肝, 脾的相關性在神志活動中亦會有所表現, 而寤寐亦可看做是神志活動的一部分. 所謂睡眠是指意識活動停止的休息狀態, 屬於生命的基本現象, 乃人體生存的不可缺少的一個方面, 而活動狀態則爲相反的概念, 亦即生命的休息狀態. 至於睡眠障礙, 大致可分不眠和嗜眠兩類. 關於心臟與睡眠的相關性, 若心臟采取休息的睡眠時間有所減少, 將引起心臟的過勞, 結果可誘發心臟病的發作. 就象自然界中存在晝夜一樣, 人體也存在著寤寐, 這說明人也是自然的一部分, 只有晝間活動夜晚睡覺, 才是順應於自然的生命規律.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