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형모델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es of Hazard Voltages According to the Buried Depth of Small-sized Model Grounding Electrode (축소형 모델 접지전극의 매설깊이에 따른 위험전압의 분석)

  • Paek, Young-Hwan;Lee, Bok-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4
    • /
    • pp.56-6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ground surface potential profiles and hazard voltages around the metallic structure connected to a small-sized model ground electrode.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draw valid conclusions concerning a general grounding problem from actual field data, scale model tes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touch and stop voltages and surface potential profiles around ground electrode. In this work, a hemispherical vessel with a diameter of 1,100[mm] was employed to simulate uniform soil. As a result, the ground surface potential around the ground electrode was significantly raised In particular the ground surface potential at the just upper point of ground rod was higher than other points. When the buried depth of ground rod is increased, the ground surface potential and step voltage were lowered but the touch voltage was elevated.

Estimation of Topsoil Erosion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강우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표토침식 평가)

  • Kim, Seongwon;Jeong, Anchul;Choi, Mikyoung;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34
    • /
    • 2019
  • 급격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의 발생패턴과 높은 강우강도를 갖는 호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짧은 시간동안 다량의 표토가 손실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강우에 의한 표토손실은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산지유역과 농경지에서 발생할 경우 산림자원의 손실과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영역이 감소하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침식된 표토가 하천으로 유입되면 퇴적으로 인한 통수능력 저하, 하천생태 교란 등의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표토침식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연평균 토양침식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이모형은 기본적으로 연평균 토양침식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어온 모형으로, 적용하고 있는 매개변수도 연평균 개념의 값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모형은 짧은 시간동안에 발생하는 호우사상으로 발생하는 표토침식을 예측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단기호우사상에 의한 표토침식을 예측하기 위해 외부에서 작용하는 침식요인인 강우강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강우입자의 물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강우에너지 산정공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 개발된 분포형 단기표토침식모형에 제안된 식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Flow Safety Assessment by CFD Analysis in One-touch Insertion Type Pipe Joint for Refrigerant (CFD 해석을 이용한 냉매용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조인트의 안전성 평가)

  • Kim Eun-Yonung;Park Dong-sam;Kim, H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03-304
    • /
    • 2022
  • 파이프는 기계, 전자, 전기, 플랜트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응용기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소방, 화학 등 안전 관련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품의 다양화에 따라 배관 분야에서도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존 동관을 스테인리스강으로 변경하는 경우 구조해석이나 유동 해석을 통해 안전성과 유동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자체 개발한 일체형 인서트형 커넥터인 6.35 소켓 모델의 유동 안전성은 CFD 해석을 이용하여 유동유발진동(FIV)평가 과정의 4단계를 통해 진행하였다. 배관계 벽면에 작용하는 압력변동의 진폭은 3,780Pa이하의 수준으로 형성되며, 이는 냉매 배관의 운전압력이나 설계응력과 비교했을 때 매우 작은 수준의 압력으로, 난류에 의한 진동이 배관의 구조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uman-induced global warming and changes in aridity (인간활동에 기인한 지구온난화와 전구 건조도 변화)

  • Kim, H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8-108
    • /
    • 2022
  • 기후변화는 전 지구 수문순환과 수자원 분포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하지만 지금까지 관측되어온 지구상의 건조도 변화에 있어서 기후의 자연변동성의 영향과 인간활동에 의한 온난화의 영향을 명시적으로 밝힌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구동형 모델과 물리 모델을 이용해 관측 기반의 전구 수자원 분포를 1902년부터 2014년까지 재구축함으로써 지구의 평균온도가 약 1도 상승해온 지난 세기에 걸쳐 건기의 수자원 분포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보인다. 재구축된 전구 변화 패턴은 인간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등을 고려한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과 흡사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기후의 자연변동성만을 고려한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주로 북아시아, 북미, 유럽 등 중위도 온대지방에서 더욱더 건조한 건기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강수량의 감소보다는 증발산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건조도의 변화는 미래 있어서 또한 인류에 대한 커다란 위협으로 자리한다. 미래 기후에서의 가뭄의 변화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높은 수준의 온난화 (예를들어 RCP-SSP 585)에서의 영향에 국한된다. 다시 말해 인류가 21세기 중반에 달성을 목표로 하는 탄소중립이 가뭄의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한 혹은 중간 수준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해 파리협약에서 목표로 하는 1.5℃와 2℃ 상승에 따라 전 지구의 건조도 분포가 어떻게 변하고 그 변화에 있어서 어떠한 수문기후학적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 밝힌다.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는 건조도의 가속이 +1.5℃와 +2℃사이에 존재하였으나 동아시아에서는 +1.5℃와 +2℃ 모두에서 습윤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적 불균일성은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있어서 과거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책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문에 걸친 미래의 잠재 적응 노력 또한 고려해야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제6차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의 Land Surface, Snow, Soil-moistur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CMIP6/LS3MIP)와 Half a degree Additional warming, Prognosis and Projected Impacts (HAPPI)의 다중 모델 앙상블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했다.

  • PDF

Design of Aperture-coupled Patch Antenna (개구면 결합을 이용한 Patch 안테나에 관한 연구)

  • 이광두;임상헌;최용인;김현진;윤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5-118
    • /
    • 2001
  • 마이크로 스트립을 이용하여 셀룰러(824-894 MHz) 이통통신용 송수신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이때 넓은 대역폭을 얻기 위하여 개구면 결합형(aperture-coupled)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 사용된 기판은 2층의 FR-4 ($\varepsilon$$_{r}$ =4.7) 기판과 공기층을 합한 3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 특성파악을 위한 스트립의 전류분포와 슬롯의 자류분포 해석은 전송선로 모델법을 적용하였고 제작된 안테나는 VSWR 1.5:1 이하의 높은 복사 특성을 얻으므로써 좁은 공간에서 편리하게 설치하여 쓸 수 있는 우수한 안테나임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Meso-Scale Distributed Continuous Hydrologic Model and Application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to Han River Basin (분포형 광역 수문모델 개발 및 한강유역 미래 기후변화 수문영향평가)

  • Kim, Seong-Joon;Park, Geun-Ae;Lee, Yong-Gwan;Ahn, So-R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3
    • /
    • pp.160-1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eso-scale grid-based continuous hydrological model and apply to assess the future watershed hydrology by climate change. The model divides the watershed into rectangular cells, and the cell profile is divided into three layered flow components: a surface layer, a subsurface unsaturated layer, and a saturated layer. Soil water balance is calculated for each grid cell of the watershed, and updated daily time step. Evapotranspiration(ET) is calculated by Penman-Monteith method and the surface and subsurface flow adopts lag coefficients for multiple days contribution and recession curve slope for stream discharge.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9 years(2001-2009) dam inflow data of two watersheds(Chungju Dam and Soyanggang Dam) with 1km spatial resolution. The averag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was 0.57 and 0.71, and the average determination coefficient was 0.65 and 0.72 respectively. For the whole Han river basin, the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river bsain. Five IPCC SRES A1B scenarios of CSIRO MK3, GFDL CM2_1, CONS ECHO-G, MRI CGCM2_3_2, UKMO HADGEMI) showed the results of 7.0%~27.1 increase of runoff and the increase of evapotranspiration with both integrated and distributed model outputs.

Environmental Fate Tracking of Manure-borne NH3-N in Paddy Field Based on a Fugacity Model (Fugacity 모델에 기초한 논토양에서의 액비살포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거동추적)

  • Kim, Mi-Sug;Kwak, Dong-Heu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5 no.3
    • /
    • pp.224-233
    • /
    • 2019
  • Nitrogen components in liquid manure can reduce safety and quality of environment harmfully.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risks of manure, understanding fate of manure in environment is necessary.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applicability of a simplified Level III fugacity model for simulating $NH_3-N$ component to analyze environmental fate and transport of $NH_3-N$ in liquid manure and to provide basi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N in the liquid manure system and for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N. The model simulation conducted for four environmental compartments (air, water, soil, and rice plants) during rice-cropping to trace $NH_3-N$ component and provided applicability of the Level III fugacity model in studying the environmental fate of $NH_3-N$ in manure. Most of $NH_3-N$ was found in water body and in rice plants depending up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per removal processes. For more precise model results, the model is needed to modify with the detailed removal processes in each compartment and to collect proper and accurate information for input parameters. Further study should be about simulations of various N-typed fertilizers to compare with the liquid manure based on a modified and relatively simplified Level III fugacity model.

A Study on Multi-Physics Analysis of High-Resolution Winding Type Resolver and Rotary Transformer (고정밀 권선형 레졸버의 변압부 및 레졸버 연동해석 연구)

  • Shin, Young-Chul;Kim, Ki-Ch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5
    • /
    • pp.146-152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a multi-physics analysis of a high resolution winding type resolver and rotary transformer using FEM (Finite Element Method). The rotary transformer boosts the input voltage to a high voltage which can be input into the rotor windings of the resolver. Through multi-physics models of the transformer and resol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signals for the resolver system with high resolution can be derived. Moreover, the circuit model of the interface part between the transformer and resolver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f the calculation of the input current to the resolver. The winding type resolver is composed of 32x and 1x stator windings for high resolution. Then, the output signals of the stator windings, which make sinusoidal SIN and COS waves with a $90^{\circ}$ phase difference, are verified.

봉다발 온도장 해석을 위한 난류 Prand시 수 모델들의 액체 금속에 대한 비교 연구

  • Huh, Byung-Gil;Chung, Chang-Hyun;Kim, S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61-165
    • /
    • 2001
  • 봉다발 내 온도장 해석을 위해 개발되어진 난류 Prand시 수 모델들을 중심으로 액체금속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VANTACY-II 코드에 사용된 Zeggel & Monir의 모델의 기초가 된 Jischa & Rieke 모델 및 상수형 모델(Pr$_{t}$=0.9)을 비교대상 모델로 선정하여 난류 Prandtl 수의 비등방성과 공간분포 및 분자 Prandtl 수의 영향을 고려한 본 연구모델과 P/D와 Peclet 수를 변화시키며 얻어진 Nusselt 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본 모델이 다른 모델에 비하여 봉다발 내 액체금속의 열전달 거동을 전반적으로 잘 예측하였다.

  • PDF

The Effect of Current Flow on Active Layer by n-GaN Electrode Patterns in GaN-based Vertical Light-Emitting Diodes (수직형 구조 GaN 발광다이오드의 n-GaN 위 전극구조에 따른 활성층 영역에서의 전류분포 전산모사)

  • Lee, Byoung-Gyu;Shin, Young-Chul;Kim, Eun-Hong;Kim, Chul-Min;Lee, Wan-Ho;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326-326
    • /
    • 2008
  • 갈륨 질화물 (GaN) 기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최근 디스플레이, 교동신호등, 휴대폰용 키패드의 광원 등에 널리 사용되는 전자소자로, 차세대 조명용 광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인 수평 구조의 LED에 비해 수직형 구조 LED 는 발광면이 n-GaN 표면 전체이며, 전류 확산 특성이 매우 뛰어남으로 인해 차세대 구조라고 표현되어 진다. 이런 구조에서 활성층 영역에서의 균일한 전류 분포는 전류밀집 현상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전류확산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형 GaN LED 의 전극 패턴에 따른 활성층 영역에서의 전류밀도 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전극 패턴의 크기 및 구조 변화에 따른 활성층 영역에서의 전류분포도를 삼차원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활성층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류 밀도의 크기가 내부양자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활성층 영역에서의 균일한 전류밀도 분포를 갖는 전극구조를 설계하였으며, 각각의 전극구조를 적용한 수직형 GaN LED의 전기/광학적 특성에 대해 전산모사 하였다. 최종적으로, n-GaN 위 전극의 크기 및 구조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균일한 전류분포 및 내부 양자효율 향상을 위한 전극패턴 설계 방침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