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포적지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4초

고산지대 산악관광 동기와 제약요인에 대한 국제적 연구 (A Study on the High Altitude Mountain Tourism Motivations and Constraints)

  • 이승구;샤말 레누카
    • 산학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9-156
    • /
    • 2009
  • 산악관광은 관광의 한 분야로서 지속적인 관광수요 창출과 함께 대표적인 관광개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산악관광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급속한 증가 추세에 있고 그 가치와 중요성이 구체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산악관광에 대한 선행 연구나 자료가 매우 빈약하고 그 내용 또한 제한적이다. 특히 고산지대 산악관광에 대한 단순한 여행 행태과 동기만이 제한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고산지대 산악관광의 동기와 제약요인을 규명하고 그 관계성을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은 인구분포와 산악관광의 주목적지를 고려하여 한국과 인도(시킴), 그리고 네팔(카트만두)에서 조사되었다. 관광객의 산악관광 동기와 제약요인에 관련된 설문지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악관광에 대한 한국인의 제약요인이 여타 관광객들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는 분석결과와 함께 구조적인 제약요인이 가장 큰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산악관광 동기는 건강과 즐거움 추구에 있는데 반해 인도인들을 비롯한 다른 국가의 사람들은 지식추구와 모험심에 기인한다는 결론은 도출하였다. 그리고 환경보존의 중요성은 모든 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산악관광의 과제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요령~길림지역 청동도자의 형식과 시공간적 양상 (Classification and regional aspects of the bronze hand knife in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 오강원
    • 고문화
    • /
    • 61호
    • /
    • pp.67-93
    • /
    • 2003
  • 청동기시대 요령$\~$길림지역에서는 비파형동검을 위시한 특징적인 청동기유물이 유행하였는데, 이중 청동도자는 기종의 특징상 청동기화의 진행수위와 관련 유물복합의 경제활동을 짐작케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인식하에 청동도자를 손잡이부의 형태를 제1기준으로 하여 뉴병동도(A형), 식도병동도(B형), 시병동도(C형), 수병동도(D형), 치병동도(E형), 정공병동도(F형), 천공병동도(G형), 환수도도(H형), 구병동도(I형), 영수동도(J형)의 10개형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위의 형중 다른 형에 비해 제작기간이 길거나 속성의 폭이 넓은 수병동도, 치병동도, 천공병동도, 환수동도의 경우, 손잡이부와 손잡이 머리부의 세부적인 차이에 따라 $2\~3$개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요령$\~$길림지역 청동도자의 공반유물은 기술적인 혁신과 시대성을 강하게 피고 있는 유물을 기준으로 할때 전체 5개의 공반단계로 획기된다. 제1단계는 위영자와 고대산류의 유물 및 고식의 청동손칼(DI, EI, G, HI, J)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시간범위는 기원전 $12\~10$세기이다. 제II단계는 비파형동검 관련유물과 I단계 보다 발달된 형식의 청동도자($A\~D$, EII, EIII, I)가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9\~8$세기 중반이다. 제III단계는 비파형동검과 청동검병 및 새로운 형식의 청동도자(EIII, F)가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8세기 후반$\~6$세기 전반이다. 제IV단계는 앞의 유물 외에 후기북방계유물 및 새로운 형식의 청동도자(HIII) 등이 공반하는 단계로서 기원전 6세기 중반$\~5$세기이다. 제V단계는 토착적인 성격의 유물과 전국연계유물 및 일부지역에서 특정형식의 청동도자(EIII, F)가 공반하는 한계로서 기원전 $4\~3$세기이다. 단계별 공간양상은 제I, II단계에는 요서지역에만 배타적으로 분포하다가, 제III단계로부터 요동과 길림 중부지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요서 이외의 지역중 길림 중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V단계에 이르기까지 청동도자의 제작이 제약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아울러 요동의 남부와 동부 및 길림 동부지역에서는 청동도자가 전혀 제작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요서지역을 청동도자 제작의 중심지역으로, 길림 중부지역을 부차적인 유행지역으로, 요동의 남부와 동부 및 길림 동부지역을 불모지역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길림 중부지역은 III식의 치병동도와 정공병동도가 집중적으로 유행하였다는 점에서 해당 형식의 중심지역으로 볼 수 있는데, 이중 III식의 치병동도는 여러 면을 고려하여 볼 때, 대능하유역의 요서 보다는 노합하류역 (영성, 건평 북부)과 연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앙상블 기후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잣나무림 분포 적지 전망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Using an Ensemble of Climate Scenarios)

  • 김재욱;정휘철;전성우;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9-88
    • /
    • 2015
  • Preparations need to be made for Korean pine(Pinus koraiensis) in anticipation of climate change because Korean pine is an endemic species of South Korea and the source of timber and pine nut. Therefor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has been established to conduct an impact assessment on the distribution of Korean pine. Our objective was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Korean pine while taking into account uncertainty and afforestation conditions. We used the 5th forest types map, a forest site map and BIOCLIM variables. The climate scenarios are RCP 4.5 and RCP 8.5 for uncertainty and the climate models are 5 regional climate models (HadGEM3RA, RegCM4, SNURCM, GRIMs, WRF). The base period for this study is 1971 to 2000. The target periods are the mid-21st century (2021-2050) and the end of the 21st century (2071-2100). This study used the MaxEnt model, and 50% of the presences were randomly set as training data. The remaining 50% were used as test data, and 10 cross-validated replicates were run. The selected variables were the annual mean temperature (Bio1), the precipitation of the wettest month (Bio13) and the precipitation of the driest month (Bio14). The test data's ROC curve of Korean pine was 0.689. The distribution of Korean pine in the mid-21st century decreased from 11.9% to 37.8% on RCP 4.5 and RCP 8.5. The area of Korean pine at an artificial plantation occupied from 32.1% to 45.4% on both RCPs. The areas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 declined by 53.9% on RCP 4.5 and by 86.0% on RCP 8.5. The area of Korean pine at an artificial plantation occupied 23.8% on RCP 4.5 and 7.2% on RCP 8.5. Private forests showed more of a decrease than national forests for all subsequent periods. Our results ma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for considering various adaptation options.

기상인자(氣象因子)에 의한 우리나라 삼림수종(森林樹種)의 생육범위(生育範圍) 및 적지적수(適地適樹)에 관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Growth Range and Optimum Site Determination of the Tree Species Using Climatological Factors in Korea)

  • 노의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18
    • /
    • 1983
  • 수종별(樹種別) 생육온도(生育温度) 범위(範圍)를 조사분석(調査分析) 하므로써 조림예정지(造林豫定地)에 대한 올바른 수종(樹種) 선택방법(選擇方法)을 제시(提示)하고자, 30년간(年間)의 일(日) 평균기상자료(平均氣象資料)를 이용(利用)하여, 생육기(生育期)(3~10월(月))의 일(日) 평균기온합계(平均氣温合計), 일(日) 평균상대습도합계(平均相對濕度合計), 일(日) 평균일조시간합계(平均日照時間合計)와 휴면기(休眠期)(11~2월(月))의 일(日) 평균기온합계(平均氣温合計), 일(日) 평균상대습도합계(平均相對濕度合計), 일(日) 평균(平均) 최저기온합계(最低氣温合計)를 조사(調査)하여 우리나라 지도(地圖)에 등지선(等指線)으로 표시(表示)하였다. 조림예정지(造林豫定地)에 대한 생육기(生育期) 일(日) 평균기온합계(平均氣温合計)와 휴면기(休眠期) 일(日) 평균최저기온합계(平均最低氣温合計)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6개(個) 지역(地域)으로 나누어, 각각(各各) 이에 상응(相應)하는 추정식(推定式)을 다중회귀직선식(多重回歸直線式)으로 유도(誘導)하였다. 정대현(鄭臺鉉)과 이우철(李愚喆)의 우리 나라 수목(樹木)의 수직(垂直) 및 수평분포표(水平分布表)를 기준(基準)으로 수종별(樹種別) 생육범위(生育範圍)를 일(日) 평균기온합계(平均氣温合計)와 일(日) 평균최저기온합계치(平均最低氣温合計値)에 의하여 나타냈다.

  • PDF

觀光資源에 대한 地리的 硏究動向 (Geographical research trends on tourism resources)

  • 권용우;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2-215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지리학 분야에 있어서의 관광자원에 대한 연구동향을 검토함으로써 관광자원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광자원에 대한 지리적 접근은 크게 3 가지 주제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첫째, 관광자원의 유형화와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로 내 용상 관광자원의 개념과 범위, 기준설정을 토대로 한 관광자원 자체의 유형화와 그 지역적 분프특성에 근거한 공간적 유형화로 구분되어 발전하였다. 둘째, 관광현상을 유발시키고 관 광목적지를 결정하는 배경으로서 관광자원에 대한 인지 및 선호, 해석에 대한 행태론적 연 구이다. 셋째, 최근에 활발한 연구를 보이고 있는 관광자원의 개발에 따른 경제적 편익분석 및 문화적, 교육적, 환경적, 심리적 영향과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을 들 수 있다. 종함검토 결 과 관광자원에 대한 지리적 연구는 그 공간적, 내용적 범위가 세분화, 전문화되고 있으며, 연구주제와 방법면에서도 구체적인 자료와 계량적, 분석적 틀을 기초한 실증적인 연구로 발 전해 가고 있다.

  • PDF

경남 거제지역 붉은고로쇠나무림의 토양특성과 식생구조 (Soil Condi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Acer mono for. rubripes Stand in Geoje, Gyeongnam Province)

  • 문현식;노 일;김종갑;권수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5-271
    • /
    • 2004
  • 본 연구는 경남 거제지역 붉은고로쇠나무림의 생육 적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토양특성과 식생구조 등 생태적 환경을 조사하였다 붉은고로쇠나무는 해발 150∼300m의 북사면에 주로 분포하며, 암반노출 도는 80% 이상이었다 붉은고로쇠나무의 토양 pH, 유기물 및 전질소 함량은 각각 5.17, 8.7%, 0.38%로 나타났다 유효인산은 낮은 토양 pH로 인해 15.7ppm으로 나타났다. 전 층위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은 붉은고로쇠나무, 나도밤나무, 느티나무, 때죽나무, 사람주나무, 비목, 참회나무 등 1종이었다. 각 충위별 중요치는 상층에서 붉은고로쇠나무가 가장 높았고, 느티나무, 졸참나무, 합다리나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층과 하층에 있어서는 사람주나무와 나도밤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층위별 종다양도는 상층 0.933, 중층 0.931, 하층 1.638이며 균재도는 상층 0.706, 중충 0.894 그리고 하층 0.959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우리나라의 거제도에만 자생하고 있는 붉은 고로쇠나무의 토양환경과 식생구조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산화탄소중독치료(一酸化炭素中毒治療)에 있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Hyperbaric Oxygen Treatment in Acute CO Poisoning)

  • 윤덕로;조수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153-156
    • /
    • 1983
  • 1950년(年) 이후(以後) 무연탄(無煙炭)으로 만든 연탄(煉炭)을 취사(炊事), 난방용(煖房用)으로 가정(家庭)에서 광범위(廣範圍)하게 사용(使用)하게 되면서 연탄(煉炭)가스내(內)의 일산화탄소(一酸化炭素)로 인(因)한 중독사고(中毒事故)가 빈발(頻發)하여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가 되어왔다. 저자(著者)들의 실태조사(實態調査)(1975년도(年度))에 의(依)하면 서울특별시일원(特別市一圓)에 있어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년간발생(年間發生)은 인구(人口), 10만당(萬當) 경증(輕症) 260명(名), 혼수상태(昏睡狀態)의 중증중독(重症中毒) 45명(名), 사망(死亡) 1명(名)으로 위험인구(危險人口)를 3,000만명(萬名)으로 하였을 때 전국적(全國的)으로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추정발생수(推定發生數)는 년간(年間) 경증(輕症) 78만명(萬名), 중증(重症) 13만(萬) 5천명(千名), 사망(死亡) 3,000명(名)으로 그 피해(被害)의 규모(規模)가 100만을 육박(肉薄)하는 가공(可恐)할 수자(數字)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著者)들은 이러한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를 우선(于先) 실천가능(實踐可能)한 제이차예방(第二次豫防)에 역점(力點)을 두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을 보급(普及)할 목적(目的)으로 일인용고압산소장치(一人用高壓酸素裝置)를 개발(開發)하고 1969년(年) 1월(月)에 서울대학교병원(大學校病院)에 고압산소치료실(高壓酸素治療室)을 개설(開設)하여 급성일산화탄소(急性一酸化炭素) 중독환자(中毒患者)에 대(對)한 응급치료(應急治療)를 실시(實施)하여 1978년(年)까지 10년간(年間)의 치료결과(治療結果)를 요약(要約)한바 다음과 같다. 1. 총치료환자수(總治療患者數)는 2,242명(名)이고 회복(回復)된 수(數)는 2,202명(名)으로 98.2%의 회복률(回復率)을 보였다. 2. 계절적(季節的)으로 10월(月)에서 4월(月)까지가 연중최성기(年中最盛期)이나 5월(月)에서 9월(月)까지도 적지않은 환자(患者)의 발생(發生)을 볼 수 있었다. 3. 연령별분포(年齡別分布)를 보면 15세(歲)${\sim}29$세군(歲群)이 전체환자(全體患者)의 반이상(半以上)인 52.7%를 차지하고 있고 $0{\sim}14$세군(歲群)은 인구비(人口比)에 대해 발생(發生)이 훨씬 적은 결과(結果)를 보이고 있다. 4. 도착시간별(到着時間別) 입원율(入院率)은 오전(午前) 10시이후(時以後) 도착군(到着群)서부터는 입원율(入院率)이 급증(急增)하는데 이는 병원도착(病院到着)이 늦일수록 당일회복(當日回復)이 되지못하고 입원가료(入院加療)하게 됨을 나타내주는 결과(結果)라 할 수 있다. 5. 병발증(倂發症)으로는 급성욕창, 폐렴(肺炎) 및 신경학적(神經學的) 이상등(異常等)의 소견(所見)을 많이 볼 수 있었다.

  • PDF

성덕댐 유역의 장기유출 분석체계 구축 (Development of Long-term Rainfall-Runoff Analysis System in SeongDeok Dam Watershed)

  • 최현구;김봉재;김선욱;박병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9-429
    • /
    • 2018
  • 성덕댐은 기존 농업용 저수지였던 수락저수지를 다목적댐으로 재개발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례로 2006년 11월에 착공하였다. 댐재개발 사업은 장랠 물 부족이 예상되나, 현재 마땅한 댐 개발적지가 부족하여 수자원 확보를 위해 기존의 댐을 재개발하는 것으로, 기 개발된 수자원의 활용도 제고 및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을 개발하는 사업을 말한다. 기존의 수락저수지의 재원은 높이 19.0m, 길이 150.0m, 총 저수량 $806,000m^3$이었으며, 성덕다목적댐으로 재개발 되면서 증가된 주요재원은 높이 58.5m, 길이 274.0m, 총 저수량 $27,900,000m^3$이다. 성덕다목적댐 건설이 완료됨에 따라 기존의 농업용수($8,400m^3$/일) 공급뿐만 아니라 하천유지용수 $5,800m^3$/일 및 경북 청송, 영천, 경산지역에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42,300m^3$/일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으며, 홍수조절용량 $4,200,000m^3$을 확보하여 유역의 홍수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댐의 운영기준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0년 이상의 댐 유입량 자료가 필요하지만 성덕댐의 경우 댐 유입량 자료의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K-water에서 개발하고 다양한 다목적 댐 유역에 적용한 경험이 있는 격자기반 강우-유출 모형인 K-DRUM(K-water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을 이용하여 성덕댐 유역의 장기유출모형을 구축하였다. 격자기반 수문모형의 장점은 공간적인 비균질성을 고려하여 물리적인 유출과정을 모형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뢰성 있는 수문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성덕댐 유역의 K-DRUM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토지이용도, 토양도(종류, 유효토심), 하천차수도, 유역도, 표고분포도 등을 수집하였으며, 격자는 60m의 정사각형 격자로 약 11,500개를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기상자료로는 안동, 의성, 영천 기상대의 강우자료와 안동 기상대의 기상자료를 활용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해서는 2016년을 시단위로 모의하였으며 성덕댐 유입량와 비교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고, $R^2$는 0.72, NSE는 0.70, RMSE는 1.82로 신뢰도 높은 보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보정된 매개변수를 성덕댐 유역의 장기유출에 적용하였으며, 1997년부터 2017년까지 총 21년 장기유출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모의결과는 댐 운영기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 PDF

수생태계의 데이터수집과 활용 (management and exploitation of ecological data in lakes and rivers)

  • 김범철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103
    • /
    • 2017
  • 생태학 분야에서는 생물의 분포, 변동, 서식환경요인의 변화, 등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는데 데이터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근래에 들어 각 종 측정기기들이 개발되면서 생태조사 분야에서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는 시점에 있다. 수생태계 분야에서도 전통적인 생물상조사의 데이터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자동측정센서가 개발된 항목의 경우에는 데이터가 급증하는 단계에 있다. 수생태계에서 흔히 조사되는 플랑크톤의 군집구조 자료를 보면 하나의 조사대상 시료에서 출현하는 종의 수가 50 종정도에 이르며 각 개체의 종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으므로 종조성조사는 아직 자동화가 어렵다. 그러므로 플랑크톤 자료의 특성은 조사의 시료수(case)는 적고 측정항목(변수 variable)이 많은 특성을 가진다. 반면에 센서가 개발된 수질과 관련된 항목들은 자동측정설비가 확대되고 있어 변수는 적지만 장기간의 time series 들이 수집되고 있다. 녹조현상이 관심을 끌면서 여러 곳에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측정하는 chlorophyll 센서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 정량화되지 못하는 정성적 자료들도 수집되고 있으며 자료수집방법의 표준화도 미흡한 예가 많이 있고, 자료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을 어렵게 한다. 환경부는 전국의 주요 하천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수질을 측정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일부 지점에는 자동수질측정시설을 설치하여 측정의 빈도를 높이고 있다. 하천이나 호수에서 센서를 이용한 고빈도 모니터링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하였던 단기적 생태계 변화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의 장르를 넓혀 가고 있다. 도시하천에서 산소를 측정한 사례를 보면 강우 시에 일시적으로 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 관찰되며, 부영양한 호수와 하천에서는 주야간 산소의 급격한 변동이 생태계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센서의 연구에 의해 단기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새로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도를 높이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단위로 이루어지던 연구가 이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만들어 지면서 공동연구가 확대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지역을 초월하는 공동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호수관측망학회(Global Lake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GLEON)이 그 사례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계데이터의 증가는 생태학자들의 연구역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의 능력을 요구할 것이며 환경 생태 IT 분야의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타분야와의 협력연구 시너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제는 데이터의 수집과 저장뿐 아니라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제적 협력연구를 촉진하는 off-line 모임도 확대할 때이다.

  • PDF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in Asan Bay)

  • 이창래;박철;양성렬;신용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6
  • 서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아산만의 과거 동물플랑크톤 연구는 주로 3개월 간격의 계절별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의 월별 채집을 바탕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월 변동을 파악하고, 수온과 염분, 식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을 환경 요인으로 취급하여 이들의 변화 특성 및 이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수온은 시간적으로 전형적인 온대수역의 변화양상을 보여주며, 공간적으로는 만의 안쪽에서 연간 변화의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염분의 계절변화는 장마에 의한 계절변화가 크며 이 시기 인공담수호의 간헐적인 담수유출이 플랑크톤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은 과거에 비해 상당한 증가를 보였는데 만의 안과 밖에서 봄철 대증식의 시작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가면서 춘계 대증식이 2월에서 4월로 늦춰졌고, 만 안쪽과 중앙에서는 대증식 기간이 3개월 정도 유지된 반면, 만 바깥쪽에서는 약 1개월 정도로 그 기간이 짧아졌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과 동물플랑크톤의 양, 특히 최 우점종 Acartia hongi의 양 간에는 약하지만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과거 계절별 자료에 근거한 시간변동과 비교하여 월별 채집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