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북한이탈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1초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문화변용정체성에 관한 연구 (Problem behaviors,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 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4-15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behaviors,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NK) refugee youth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approach for helping them to adjust to our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s: The subjects were 117 NK adolescent refugees in Hanawon. Data were collected by a demographic questionnaire, Youth Self Report (YSR), the South-North Korean cultural identity. Results: Problem behaviors of NK refugee youth were the highest in anxiety/depression and withdrawal behavior and were followed by internalized behavior, aggressiveness, overall problem behavior, externalized behavior, delinquency and positive behavior in that order. Acculturation was the highest in 'separation' followed by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in that ord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roblem behaviors except positive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ome important information that we have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primarily focused on withdrawal, anxiety/depression, and internalization for the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NK refugee you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further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process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roblem behaviors.

북한이탈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 결혼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문화적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 With a Focus on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 박수경;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3-1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he selected variables were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5 mothers who had defected from North Korea with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Gwangmyeong-si,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had meaningfully positive effects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However, marginalization was found to be a predictor of competence-anxiety in parenting. The selected variables derived from the environmental systems in maternal parenting were significant factors in the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furthermore, their sociocultural environments were also important in parenting. These findings clearly showed that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 to have a great deal of utility as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parenting efficacy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북한이탈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Preschool Defectors)

  • 이인숙;박호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78-48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who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with their mother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n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with 58 preschoolers who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29 for each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five sessions in health education and contract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and total bacterial colony counts on hands were measured at one pretest and two post tests (1 week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evident even at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otal bacterial colony cou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1 and 4 week posttest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these children and therefore can be utilized to ensure efficient management their health care.

북한이탈주민에서의 결핵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uberculosis in North Korean Refugees)

  • 최창민;정우경;강철인;김도형;김영근;허상택;김희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285-289
    • /
    • 2006
  • 배 경: 북한이탈주민들은 기존 의료체계의 영역 밖에 있고 불규칙한 도피생활과 육체적, 심리적인 압박감으로 결핵과 같은 전염성 질환에 쉽게 노출되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입국규모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북한이탈주민의 결핵에 대한 실태조사나 연구가 전무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4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북한이탈주민이 국내에 입국한 후 시행한 신체검진과 병력청취에서 결핵이 의심된 환자의 의무기록과 방사선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증상과 결핵의 과거력과 치료력 및 입원 후 시행한 일반혈액검사와 생화학검사, 항산균도말검사, 항산균배양검사, 약제감수성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42명 중 폐결핵이 37명(88.1%), 결핵성 흉막염 2명(4.8%), 림프절결핵 2명(4.8%), 척추결핵 한명(2.4%)이었다. 2002년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1139명 중 6명(0.52%), 2003년 1281명 중 9명(0.70%), 2004년 1894명 중 17명(0.90%)가 활동성 결핵으로 조사되었다. 22명(52.4%)이 과거에 결핵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었으며 이중 7명(31.8%)이 복합처방으로 6개월 이상의 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15명(68.2%)는 결핵에 대한 치료를 적절하게 받지 못하였다. 9명(21.4%)의 환자들은 국내입국하기 한두달 전에 결핵으로 진단되어 결핵약을 복용하고 있는 중이었다. 입원당시 항산성도말검사에서 20명(47.6%)이 양성으로 나왔고 18명(42.9%)이 배양검사에서 양성으로 조사되었다.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9명의 환자에서 2명(22.2%)이 모든 약제에 감수성이 있는 결핵으로 진단되었고 4명(44.4%)이 Isoniazid 단독내성결핵, 3명(33.3%)이 다제내성결핵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입국초기 결핵에 대한 정확한 검사와 병력을 청취하여 조기에 결핵을 진단하고 치료종결시까지 환자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chool Drop-out Inten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 김연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91-21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의 영향요인과 그 영향의 정도를 밝히고, 결과를 근거로 사회복지실천 개입전략과 정책적 제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성별, 학업성취역량 인식, 자아존중감, 학교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같은 개인내적 특성이 학교중도탈락의 주요 영향요인이며, 부모 양육의 질, 또래애착, 가족의 경제수준, 정착기간 등의 환경적 요인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기여, 실천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경찰서비스를 경험한 시민의 만족도가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olice Satisfaction on Trust in the Police: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 홍문기;박종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63-70
    • /
    • 2020
  • 본 연구는 범죄 피해신고 과정에서 접촉했던 경찰관의 조치에 대한 만족이 경찰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만 20세 이상의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연구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했다(N = 214). 다중회귀분석 분석에 의하면, 자신의 피해 신고에 대한 경찰관의 조치에 대하여 불만족을 느꼈던 탈북자들은 남한경찰 활동에 대해 낮은 신뢰를 보였다. 또한 주변 사람들에 대한 높은 신뢰를 보이는 탈북자들은 남한 경찰활동에 대해서도 높은 신뢰를 보였으며, 범죄피해를 경찰에 신고한 경험이 있는 탈북자들은 남한 경찰활동에 대해서도 높은 신뢰를 나타냈다. 주거지역의 범죄 발생이 증가한다고 인식한 탈북자, 여성탈북자, 남·북한 학교의 재학, 자동차 소유 등은 경찰 활동에 대해 낮은 신뢰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응대 교육프로그램과 법률 교육 개발 및 강화 등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북한 결핵이야기 - 죽음을 담보한 탈북, 그리고 결핵

  • 전정희
    • 보건세계
    • /
    • 제58권1호
    • /
    • pp.14-17
    • /
    • 2011
  • <보건세계> 원고 부탁을 받고 하나원에서 간호사로 12년 넘게 근무하면서 만났던 북한이탈주민들 중 간호했던 한 결핵환자와의 인연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지금 그녀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그들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K에 관한 얘기를 기억 속에서 꺼내보려 합니다. 이 글은 북한사회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결핵 진단을 받고도 약을 구할 수 없어 치료를 방치하다 결핵균이 뇌막염을 일으켜 하반신 마비라는 영원한 장애를 갖게 된 이야기입니다. 영화 갈이 멀기만 한 이야기가 바로 오늘 우리와 함께 사는 탈북민의 이야기이며, 우리가 그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야하는 이유입니다.

  • PDF

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 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8-179
    • /
    • 2016
  • 이 논문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속성은 전국 혹은 수도권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문화변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변용에 있어서는 통합형보다는 동화형의 비중이 약간 크지만 한국 문화를 수용하는데 소극적인 분리형과 주변화형의 비율이 42%를 차지하여 국내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고 학교생활에 익숙할수록 남한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경향이 강하지만 북한에서 태어난 학생의 경우는 남한문화를 거부하려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며, 영역별로는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환경의 만족도는 높은 반면에 학습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와 문화변용 유형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유형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탈북한 국내이주 청소년에 대한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기적인 교육위주의 지원정책에서 탈피하여, 문화변용차원의 계층별 속성별 수요를 반영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 PDF

입국 초기 북한이탈가정 유아가 다니는 평화유치원 교사의 경험 (Teachers' Experience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Young Children during Their Initial Settlement Period at Pyeonghwa Kindergarten)

  • 강재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9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regarding teachers' experience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young children during their initial settlement period at Pyeonghwa Kindergart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2 kindergarten teachers and 15 North Korean defectors' young children along with 3 local classmates.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via interviews and in-class observatio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1) teachers witness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young children came from diverse backgrounds and struggled with emotional insecurity while local classmates were being excluded by them, (2)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communicate and make a consensus with their parents while teachers' efforts to communicate were being paid off gradually, and (3) teachers felt that kindergarten education was de-prioritized administratively to elementary education, and many programs were cancelled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f in-charge staff.

하나원 입소 북한 이탈주민의 개인적 특성과 건강 신념이 건강 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s on North Korean Refugees' Health Behavior)

  • 전정희;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2-9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data for preparing plans that North Korean (NK) Refugees can adjust themselves to our society with a healthy mind after they get over their health problems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kn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 Methods: The subjects were 304 NK adult refugees in Hanawon. Data were collected by demographic questionnaire, health behavior scale, self-efficacy scale, perceived benefit scale, perceived barrier scale, perceived seriousness, perceived sensibil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behavior of NK refugees were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the period in the third country and experience in being expelled to NK, and these variables were describing 31.4% of the health behaviors of refugees. Conclusion: The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lief and specific experiences related to refugee affected NK refugees' health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