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 코칭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 양육 효능감 및 감정코칭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Coach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Emotional Reaction Attitude,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Coaching Style of Mother with Young Children)

  • 최주현;김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97-307
    • /
    • 2019
  •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유아기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 양육 효능감 그리고 감정코칭 양육태도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U시에 위치한 K, P 어린이집에 만 4, 5세 유아기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6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5일부터 12월 28일 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반응태도, 양육효능감 및 감정코칭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후 양육 효능감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코칭 부모유형에서는 축소전환형, 억압형에서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코치형에서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감정코칭 양육태도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 백승선;안연경;곽경화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4
    • /
    • 2017
  •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및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부모교육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G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Y어린이집에 재원중인 걸음마기 영아를 둔 43명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H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영아의 어머니 2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1회기에 120분, 주 1회씩 총 8주기의 감정 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걸음마기 영아를 둔 부모에게 감정코칭을 통해 영아와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돕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부모교육 방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 병행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자세조절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and Family-centered Coaching Interventions on Sensory Processing, Posture Control, and Parenting Efficacy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손지원;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2
    • /
    • 2024
  • 목적 :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 병행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자세조절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6세 발달지연 아동 4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은 대상자별로 각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기 동안 시행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감각프로파일, 한국판부모 양육효능감 평가를 실시하였고, Biorescue 장비를 사용하여 중재 후 자세조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후 대상자 모두 감각처리가 상승하였다. Biorescue 장비를 통해 평가한 중재 기간에 앉은 자세, 눈 감고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체중지지가 기초선 기간의 ±2 표준편차보다 높게 나타났다. 모든 대상자의 주 양육자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상승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이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자세조절,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 대한 가족 중심 중재 효과: 체계적 고찰 - 부모 교육 및 부모 코칭 중심으로 - (Effects of Family-Center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 - Focusing on Parent Education and Parent Coaching -)

  • 최윤미;유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5-78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족 중심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검색은 2011년부터 2021년 사이의 문헌을 RISS, KISS, DBpia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자폐스펙트럼' OR '전반적발달장애' OR '고기능 자폐' OR '아스퍼거' AND '부모 교육' OR '가족중심중재' OR '부모코칭' OR '부모훈련' OR '가족참여' 등을 적용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11편의 실험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 중재 전략 및 효과, 중재 프로토콜을 확인한 결과,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가장 많았고, 가족 중심 중재에 어머니들이 주로 참여하였다. 가족 중심 중재의 효과는 아동과 부모에게서 모두 나타났으며, 아동에게서는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대한 효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부모에게서는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양육효능감 향상을 보였다. 중재 전략은 감각통합 중재, 반응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중심 중재가 가장 많았고, 발달 중심 중재,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Positive Behavioral Supports; PBS), 중심축 반응 훈련(Pivotal Response Training; PRT)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족 중심 중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기능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임상 활용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모소명 개념에 대한 부와 모의 인식 차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시각적 비교 (The gender difference in concept of calling in childrearing: Visual Comparison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김수진;손영우;이수란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93-114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부모가 부모소명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부모소명이 어떠한 개념과 연결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부모소명 인식에 관한 네트워크를 추출하여, 아버지와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의하게 큰 네트워크와 밀도를 보여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많은 부모소명 개념을 사용하여 부모됨과 자녀 양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들은 책임감, 자녀성장, 방향성, 헌신, 부모의 인간적 자질을 부모소명과 직접 연결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여기에 더해 정체감, 부모성장을 연결했고, 아버지의 경우 부모 공통 개념에서 방향성이 빠져 총 4개의 개념만을 부모소명과 직접 연결했다. 이는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부모로서 정체성과 같은 본질적인 자기 개념과 성장의 주제를 부모소명에 연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념 간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연결중앙성에서는 부모 공통으로 책임감, 자녀성장, 방향성, 신념 순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경우 자녀성장, 책임감, 신념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 책임감, 부모성장, 정체감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평가되었다.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 Focused on Families with School Aged Children)

  • 노명숙;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4호
    • /
    • pp.89-10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which enhances parent's learning-support behaviors, as well as, children'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program for the families with school ag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al model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were specified as five factors namely; offering options, offering democratic rules, pursuing appropriate results, offering school-related information, offering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for childre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found in pre- and post-test scores of parent's learning-support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but not for the control group. Thus, based on these findings, a modified model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was presented as a conclusion.

경기도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Book Sharing Regular Delivery Project for Pre-schoolers in Gyeonggi Province)

  • 황금숙;김수경;윤성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71-100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성과를 도출하고, 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경기도 독서문화진흥 정책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의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양육자와 독서코칭사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수렴과 사업주관자 및 수행사업자를 대상으로 자체 사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사업의 필요성 및 만족도는 양육자 및 독서코칭사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양육자의 경우 사업 후 독서량이 많이 증가할수록 본 사업의 필요성과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이 중단될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책꾸러미 정기배송과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의견 수렴에서도 양육자의 독서육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있으며, 유아-부모 상호작용 발달로 이 사업의 필요성과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하였다. 다만 사업주관 및 수행기관의 자체 평가에서는 사전에 철저한 계획적인 준비를 통해 사업이 진행되어야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도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경기도 독서문화진흥 정책을 제안하였다.

백혈병 생존 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코칭 영역 개발 (Development of Parent Coaching Domains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Childhood Leukemia Survivors)

  • 임성현;오원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68-7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arent coaching domains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childhood leukemia survivors. Method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6 parents of childhood leukemia survivors who were identifi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We identified areas of parent coaching through the 4 stages of the GROW model, which are: goal setting, realistic grasp, confirmation of realization, and search for alternatives. Results: Nine domains and 27 subcategories emerged from the study. The 9 parent coaching domains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childhood leukemia survivors were routine life management,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emotional support for the surviving children, social support for the surviving children, follow-up management, family support, school life management, symptom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grow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This research developed 9 parent coaching domains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surviving leukem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health management of childhood leukemia survivors by enabling practitioners to continuously identify new coaching domains as needed for their health management. Researchers should improve the health management of childhood leukemia survivors by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se new coaching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