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화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5초

IT 시대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ing Stress of Disabled Children's Fathers in IT era)

  • 김정자;정복희;오명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63-370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13세 미만의 장애아들 둔 아버지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응답이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38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장애아동과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K-PSI-SF)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K-PSI-SF 하위 항목 가운데 부모의 고통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까다로운 아동, 그리고 역기능적 상호작용 순이었다. 둘째, 아동의 특성에 따른 아버지의 스트레스는 진단명과 마비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년기 여성의 친부모 부양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Analysis on Experiences of Caregiving Middle-aged Woman's Biological Parents)

  • 박종환;신승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11-623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친부모 부양경험에 관한 연구로써 친부모를 부양하는 중년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질적연구 방법의 하나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들에서 총 244개의 문장을 추출하였고, 그 중에서 67개의 의미 있는 문장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의미 있는 문장들을 9개의 하위주제로 범주화 하였고, 이어서 4개의 상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양에 대한 이유와 동기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부양하게 되었고, 그리고 자녀로서의 당연한 의무감과 책임감을 들 수 있었다. 둘째, 부양경험에서 겪는 심리적 현상으로는 부양부담으로 인한 무거운 마음을 감수하고 후회하지 않도록 부모 곁을 지켜드리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경험의 의미로는 부모님을 평생의 선물처럼 여기고 서로를 향한 마음이 깊어지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끝으로, 부양경험의 영향으로는 부모에 대한 이해 증가와 행복에 대한 깨달음 그리고 현재 삶에 대한 성찰과 미래 삶에 대한 조망 등의 결과를 얻게 되었다.

온라인 SW교육에서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그릿, 부모지원의 예측력 규명 (Predict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GRIT and Parents Support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 이정민;채유정;이명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89-6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SW교육에서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학습만족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그릿, 부모지원의 예측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여름 광역시 소재 K대학교의 온라인 SW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초등학생 7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3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그릿은 컴퓨팅사고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그릿은 학습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SW교육에서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과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학 관련 태도의 성차와 관련된 사회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Social Factors Affecting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Related Attitudes)

  • 하민수;차희영;김수원;이경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83-591
    • /
    • 2007
  • 이 연구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여 과학 영역의 성차를 조사하였다.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TOSRA)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학교, 교사, 친구, 부모 네 가지 요인에 대하여 개발한 검사지를 13개 학교에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남학생은 부모에게 영향을 많이 받고 여학생은 교사와 친구에게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현재 과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다르다는 것을 말해 준다. 과학 영역의 전반적인 성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 등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부모의 감독정도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s' Self-Control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 고정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7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how general trends in the degree of parental monitoring, self-control and problem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o examine possible changes in such trends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adolescents and mother's employment, and the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were 1288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in Busan (male 661, female 627).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 (1) General trends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showed that girls had more problem behaviors than boys. (2) Boys and girls with unemployed mother perceived more parental monitoring than ones with employed mothers. Boys with unemployed mother had more self-control than ones with employed mothers. Boys with employed mother showed more problem hehaviors than ones with unemployed mother. (3) Mother's employment, the degree of parental monitoring and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4) The degree of self-control was the most powerful predicator of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일지역 후기 학령기 남자 아동의 몽정에 대한 지식 정도 (Knowledge of Nocturnal Emissions in Late Elementary School Boys in Incheon)

  • 이용화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7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knowledge of nocturnal emissions, or wet dream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wet dream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boy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through questionnaires.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0, 2009 to May 20, 2009. A total of 197 late elementary school boys in Incheo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5.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Knowledge of wet dreams in late elementary school boys was low; The mean of the information about wet dreams was 14.00 on a 100 poi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nowledge regarding wet dream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at 6 items and wet dreams experience at 12 items of total 21 items. This indicates that present education for wet dreams is not efficient and does not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when they need practical information. Conclusion: Self education learning program for wet dreams should be developed for late elementary school boys which includes different contents and time required for further study, evaluation and assessment.

  • PDF

산후 분노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 (Postpartum Anger: A Narrative Review)

  • 백서영;정슬기;김성해;김수;유호지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postpartum anger experienced by women after childbirth, through a narrative review. Methods: Article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were searched in seven electronic database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anger', 'angry', 'aggress*', and 'postpartum'. Results: Ultimately seven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ix of the quantitative studies and one qualitative study were included and postpartum anger or anger was found to be measured in all six quantitative studies. Postpartum anger was influenced by hostility during pregnancy and women's dependence and self-criticism of women after childbirth. Attachment with parents in the past and affection between married couples in the present influenced the expression and management of anger.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tpartum anger was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women, past experiences, current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However, there was no study focusing on postpartum anger and related factors in domestic context. Thus, we suggest future studys which clarify the concept of postpartum anger and its measurement so that awareness of postpartum anger can be improved and mediation could be developed.

  • PDF

부모효능감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 이회성;유순화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5-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research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it, as well as to produce results using meta-analysis.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 this study : Which variables are frequently conducted in research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What is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The 65 studies whose results are analyzed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via a search for investigations focusing on 'parenting efficacy'. The studies were used for meta-analysis in which eleven variabl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 large effect size is produced by the parenting stres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occurs on the basis of parenting beliefs in a negative direction. A higher than medium effect size is also caused by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A medium effect size is produced on the basi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a small effect size is the result of the mother's academic background,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s incom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gender.

부모의 원가족 경험과 자녀앙육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of Origin and Childrearing Behavior on Child's Behavioral Problems)

  • 정문자;전연진;김진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3-150
    • /
    • 2004
  •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 of parental experiences from the family-of-origin and childrearing behaviors on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s well as if this path differed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The subjects were 1247, 4/sup th/ and 5/sup th/ graders in eight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parents in Seoul, Pusan, and Daejo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verify the theoretical model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father-child model and the mother-child model on the pathways of the impact of parental experiences from the family-of-origin upon the child'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through parental negative rejection and permission childrearing behaviors. Specifically, 1) the father-child model showed a gender difference on the pathways of the impact of the father's experiences from the family-of-origin upon the child'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through the father's rejection and permission childrearing behaviors; whereas, 2) The mother-child model showed no gender difference on the pathways of the impact of the mother's experiences from the family-of-origin upon the child'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through the mother's negative childrearing behaviors.

아동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 실태와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Situations and Satisfac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for Children)

  • 안현수;오명화;김정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89-1195
    • /
    • 2012
  • 본 연구는 순천 광양 지역에 거주하는 만18세 미만 아동의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가정방문치료 시 이용 서비스 종류, 가정방문 작업치료의 총 만족도, 아동에게 도움이 된 사항, 부모나 가정에 도움이 된 사항으로 구분하여 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방문 작업치료는 장애아동 부모회를 통해서 가장 많이 알게 되었고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정부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재활치료 지원사업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