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의 지지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의 사회관계가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Assessing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Relationships on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 원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57-268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 또래, 교사와의 사회관계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부터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부모 또는 또래와의 지지적 관계는 고등학생 시기 진로정체감 수준과 이후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 고등학생 시기 교사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한 청소년의 경우 대학 진학 후 진로 결정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의 진로발달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형성,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융합적 접근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아동의 개인 및 가족 변인과 교실의 심리사회적 환경이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and Classroom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y)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7-22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dividual, family factors and classroom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y. For an analysis,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and anxiety were included in individual variables. For family factors, parental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were examined. For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 classroom involvement and teacher control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565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boy'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y was higher than girl's. And no sex difference was in children's social and athletic competency. Second,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y and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 and classroom involvement. And girl'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and peer relations. But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y and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nd parental marital conflict. Thir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y was achievement motivat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and girl's perceived social competency was peer relations.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boy'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was pe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girl's perceived athletic competency was father's support.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n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ccording to Their Parents Perception)

  • 이지훈;박옥임;김진희;박준섭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n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ccording to their parents perception and to submit basic material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parental capability for enhancing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below. All of the subjects who recognized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ccording to their parents perception showed middle score over 3. The parents who recognized family strength and parental efficacy were examined a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These showed that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s better when parents recognized that family strength is higher, and when parents recognized that parental efficacy is higher. But when parents recognized social support, no meaningful influence appeared, so if the parents who are first social supporters of school-aged childre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which has a high adaptability with high social support,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and home, it could be the factor to reduce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at school.

행동장애 입원환아의 간호문제 (NURSING PROBLEMS OF THE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 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16-124
    • /
    • 1991
  • 1985년 9월 30일부터 1990년 12월 31일 사이에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에 입원하여 행동장애로 진단받은 어린이 및 청소년 총 48명을 대상으로 병록고찰을 통해 간호문제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미성숙한 자아발달, 낮은 자아정체감, 역기능적 부모-자녀관계, 가족내 상황적 위기, 정신지체, 간질 등 원인적 요인에 따르는 개인의 비효율적 대처기전,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자기개념장애, 폭행잠재성, 부모역할장애, 성장 ${\cdot}$ 발달장애 같은 문제가 입원초기부터 중기이후까지 지속되었고 자기간호결핍, 수면장애, 영양장애, 불안, 고체온증 등 입원중기 이후에는 해결된 일시적 문제들을 보였다. 따라서 행동장애 입원환아들을 위한 간호접근은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문제에 따른 장기적 계획을 통해 환아들의 자아기능 증진, 자아정체감 확립, 대인관계개선을 도와야 하고 환아 뿐 아니라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적 접근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보았다.

  • PDF

초등학생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제약 인식 분석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Constraints of After school Sports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 이석훈;김재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66-47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 제약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생 360명을 무선표집 하였고, Raymore, Godbey, Crawford, 그리고 Von Eye(1993) 등이 개발한 여가제약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과 독립 t-검정,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aymore, Godbey, Crawford 등의 여가 제약 설문지는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가의 제약요인을 규명하는데 적합하고 효과적이다. 둘째, 전체 문항별로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 참가의 제약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포츠 활동에 대한 부모의 의견이나 지지(support) 정도, 운동할 때 받는 스트레스, 불편함, 그리고 학교 시설이나 운동 도구의 부족 등의 구조적 제약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후 스포츠 활동의 요인별 제약수준을 비교하면, 구조적 제약요인이 내재적 제약요인이나 대인적 제약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효능감, 체벌지지도가 학령기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 in Corporal Punishment on Physical Abuse of Children in Korea)

  • 홍경자;안혜영;김혜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79-487
    • /
    • 2004
  • Purpose: This survey was done to describe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as they are related to child abuse. Also demographic variables that influence child abuse were investigated. Method: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second week of April 2002. The 160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students in five elementary schools in the J area of Korea. They replied to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129 repl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WIN SPS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 Parenting self-efficacy,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and child abus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ren. Child abuse by parents h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elf-efficacy (r=-.369, p=.000), socioeconomic states of family(r=-.290, p=.001), educational level of mother(r=-.211, p=.027), educational level of father(r=-.342, p=.000), parent's age(r=-.200, p=.028).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significantly influence child abuse in Korean parents. Conclusion: As parenting self-efficacy explained 49.7% of child abuse, it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preventing child abuse. Belief in corporal punishment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venting child abuse. These two variables explained 53.3% of variance in child abuse by parents.

  • PDF

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a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박선화;박성희;전경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7-389
    • /
    • 2019
  • Purpose: Group-based interventions help the members of the parent group work together to share their parenting stres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support each other emotionally and informatively, and allow them to achieve what they wa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ynthesize the outcome of a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Methods: Published randomized control trials were identified through Ovid-Medline, Embase and CINAHL DB. Eligible studies include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18 in English i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in which parenting support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group. Results: A total of 11 studies was selected for this review. These programs reported large level of effect size for parenting, and middle level effect size for parent's psycho-social outcomes and child development. There were many programs conducted for parents with infants between 13 and 24 months, and the frequency of programs provided for 2 hours a week was high with 9 to 12 sessions. Most programs were facilitated by trained professionals including nurses and social workers except two programs led by lay persons. Conclusion: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s on parenting, parent's psychosocial health and infant development. To disseminate the effective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long term effect and develop nurse's role as a group facilitator.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Related Factors of Problem Behaviors amo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채명옥;김아린;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14-62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요인을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한국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서비스와 국회전자도서관의 온라인 검색을 통해 2018년 7월 4일까지 검색된 국내문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어는 다문화와 문제행동 혹은 행동문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2,084편이 검색되었고, 최종 21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 관련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성별, 학업성적, 자아존중감 등), 가족적 요인(가족의 유형, 부모지지,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친구지지, 교사지지, 사회적지지)의 변수들이 관련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을 측정한 변수는 학교생활적응이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심리적, 사회적 적응 또는 부적응이 4편, 문제행동 또는 위험행동과 정서적 행동문제가 각각 3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가족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중재를 통해, 문제행동 발생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사회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제행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일관성 있는 이론적 정의를 근거로 도구를 개발하여, 문제행동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 (Hospitalization Stress in Child : Concept Analysis)

  • 이영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27-335
    • /
    • 2020
  • 본 연구은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한 개념을 내리고자 시도 되었고,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은 생리적 변화, 개인-환경 상호작용, 인지적,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적 반응, 대처방식으로 인한 내재적, 외현적 변화로 도출되었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선행요인은 질병의 심각성, 생물학적 요인, 지지체계였으며, 결과는 입원생활적응, 질병 및 건강회복, 아동발달 증진, 대처기술의 획득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질병의 인지지각이 되어야 하고 부모-가족의 지지체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후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개발 연구, 입원스트레스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과 손자녀 양육경험 (Korean Immigrant Elderly's Generativit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 오경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1
    • /
    • 2010
  • 본 연구는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에 따라 그들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어떠한 특정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심층면접과 참여관찰법이 연구방법으로 이용되었다. 먼저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노인과 높은 노인으로 각각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조부모들은 비자발적 양육책임, 심한 양육스트레스, 가족에 대한 죄책감과 수치심, 불안한 미래, 자기 돌봄의 부재, 사회적 지지의 부재를 나타내었다. 생성감 수준이 높은 조부모들은 자발적 양육책임, 역전된 부모역할에 대한 긍정적 반응, 양육에 대한 보람, 미래에 대한 희망, 자기 돌봄의 존재, 사회적 지지의 존재를 특징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안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