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인수. (200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 김미혜, 김혜선. (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 153-170.
- 김오남.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연구, 16, 59-84.
- 김유미, 김명희, 정여주.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복지연구, 38, 123-163.
- 김은주, 서영희. (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 김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85-117.
-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 지역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 341-378.
- 박경애. (2007). 사회적 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요인 - 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 서현. (2009).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3-27.
- 서혜석. (2005). P.E.T.를 활용한 집단 프로그램이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27, 279-302.
- 서흥란, 김양호.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사회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267-296.
- 송유미, 이윤형.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기능 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111-134.
- 양순미, 임춘식, 오윤자. (2008). 농촌 조손가족 조부모들의 손자녀에 대한 비용-보상적 가치관이 손자녀 양육 이후의 생활만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8(2), 145-178.
- 오경석. (1995). 재미 한인 노인의 생성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논집, 15(1), 3-25.
- 오경석. (2001). 청년, 중년, 노년의 생성감. 한국노년학, 21(1), 59-71.
- 오경석. (2002). 노인의 생성감과 인생이야기. 한국노년학, 22(2), 113-129.
- 유민지, 이기숙. (2002).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 노년학, 21(3), 91-109.
- 이미숙. (2008). 국내 장애아 조부모 역할 증진에 대한 고찰. 중복 . 지체부자유 연구, 51(3), 143-166.
- 이미영. (2007).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복지행정논총, 17(1), 203-230.
- 이선형, 이경림, 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 이영숙. (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 이영숙, 박화윤. (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 이현주. (2007a) 저소득 조손가족 아동의 성인아이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아동복지학, 23, 7-32.
- 이현주. (2007b). 조부모 대리 양육 아동의 장기위탁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6), 53-72.
- 이현주. (2007c). 대리양육 위탁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과정-근거 이론 접근방법으로- 노인복지연구, 37, 361-392.
- 이화영. (2006).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32, 327-355.
- 장희선, 김윤정.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0, 7-30.
- 정동하. (200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부모-조부모 친밀감 및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29-49.
- 최혜지. (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3), 641-655.
- 최혜지.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의 실태와 작용기제에 관한 연구. 정선보건과 사회사업, 29, 122-149.
- 한경혜, 주지현, 이정화. (2008).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이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 28(4), 1147-1164.
- 한경혜, 주지현, 정다겸. (2009).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적응. 한국가족복지학, 26, 87-122.
- Burton, L. M. (1992). Black grandparents rearing children of drug-addictedparents: Stressors, outcomes, and social service needs. The Gerontologist, 32(6), 744-751. https://doi.org/10.1093/geront/32.6.744
- Dowdell, E. B. (2004). Grandmother caregivers and caregiver burden.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9(5), 299-304. https://doi.org/10.1097/00005721-200409000-00007
- Dowdell, E. B. & Sherwen, L. N. (1998).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Across-generation challenge to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4(5), 8-13.
-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 Erikson, E. H. (1964). Insight and responsibility. New York: Norton.
- Jendrek, M. P. (1994).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Circumstances and decisions. The Gerontologist, 34, 206-216. https://doi.org/10.1093/geront/34.2.206
- Kelly, S. J., Yorker, B. C. & Whitley, D. (2001). To grandmother's house we and stay: Children raised in intergenerational famil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7, 12-20.
- Kennedy, J. F. & Keeny, V. T. (1998). The extended family revisited: Grandparents rearing grandchildren.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19, 26-35.
- Keyes, C. M. & Ryff, C. D. (1998). Generativity in adult lives: Social sturctural contours and quality of life consequences. In D. P. McAdams & E. de St. Aubin (Ed.),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pp. 227-263).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Kim, O. (1999). Predictors of loneliness in elderly Korean immigrant women living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9(5), 1082-1088.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9.00993.x
- Kotre, J. (1984). Outliving the self: Generativity and the interpretation of lives. Baltimore, MD: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 Lee, M. S., Crittenden, K. S. & Yu. E. (1996).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2(4), 313-327. https://doi.org/10.2190/2VHH-JLXY-EBVG-Y8JB
- McAdams, D. P. & de St. Aubin, E. (1992). A theory of generativity and its assessment through self-report, behavioral acts, and narrative themes ill autobi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1003-1015. https://doi.org/10.1037/0022-3514.62.6.1003
- McAdams, D. P. & de St. Aubin, E. (Ed). (1998).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McAdams, D. P., de St. Aubin, E., & Logan, R. L. (1993). Generativity among young, midlife,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8, 221-230. https://doi.org/10.1037/0882-7974.8.2.221
- Mui, A. C. (2001).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3(3-4), 281-300.
- Neugarten, B. L. & Weinstein, K. K. (1964). The changing American grand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26(2), 199-204. https://doi.org/10.2307/349727
- Ochse, R. & Plug, C. (1986). Cross-cultural investigations of the validity of Erikson's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igy, 50, 240-1252.
- Pang, K. Y C. (2000). Symptom expression and somatiza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Clinical Geropsychology, 6(3), 199-212. https://doi.org/10.1023/A:1009541200013
- Peterson, B. E. & Stewart, A. J. (1993). Antecedents and contexts of generativity motivation at midlife. Psychology and Aging, 11, 21-33.
- Roithmayer, S. (2001). Emotional distress of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York.
- Ryff, C. D. & Migdal, S. (1984). Intimacy and generativity: Self-perceived transitions. Signs, 9, 470-481. https://doi.org/10.1086/494072
- Smith, A. & Dannison, L. (2002). Education educators: Programming to support grandparent-headed families, Contemporary Education, 72, 47-51.
- Sohng, K. Y, Sohng, S. & Yeom, H. A. (2002).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Public Health Nursing, 19(4), 294-300. https://doi.org/10.1046/j.1525-1446.2002.19409.x
- Young, K. & Pang. C. (1998). Symptoms of depression in elderly Korean immigrants: Narration and the healing process.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22(1), 93-122. https://doi.org/10.1023/A:100538932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