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방임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on Aggress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 박혜선;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98-5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국단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고, 둘째,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인과관계 사이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긍정적 측면을 강화 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모색함에 있어 그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의 초등학교 1학년패널의 제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1,686케이스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할수록 아동의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감독, 애정, 방임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공격성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부모의 양육태도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 감소를 위하여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방법 교육과 더불어 올바른 부모의 양육태도를 위한 부모교육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가정에 국한된 품행장애 1례 (A CASE OF CONDUCT DISORDER CONFINED TO FAMILY CONTEXT)

  • 정선주;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87-297
    • /
    • 1997
  • 품행장애의 아형분류는 사회화및 공격성여부, 발병의 시기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져왔다. ICD- 10 에서는 이러한 구분이외에 품행문제를 보이는 상황에 따라 가정에 국한된 품행장애라는 아형을 두고 있다. 저자들은 부모 및 형제에 대한 공격적인 행동 및 분노발작, 가정내의 기물파손등의 행동문제를 보이나 가정 이외의 장소에서는 뚜렷한 행동문제를 나타내지 않는 아동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자세한 병력청취 및 입원후 의 관찰 및 치료를 통해 환아의 부모에 의한 만성적인 방임 및 학대, 일관성 없는 양육태도등으로 인한 애착 형성의 문제가 환아의 행동문제 및 감정적인 어려움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학대및 애착형성의 장애등의 부모-자녀관계의 병리가 품행장애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가를 알아보았고 치료적 제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Th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 김현순;최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40-3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 년도(2012)의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였다. 예측 변인으로 주의집중결핍,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부모의 학대, 부모의 방임, 학습활동, 또래소외를 설정하고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은 공격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학대, 주의집중 결핍, 그리고 학습활동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예측변인은 첫째가 우울이고 그 다음이 주의집중 결핍, 공격성, 학습활동 그리고 사회적 위축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은 남학생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으며,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변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의 실천적 방안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중학생의 사회생태학적 요인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logical Factors on School Violence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문희;강희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21-428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생태학적 요인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함양하여 학교폭력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광역시 1개 중학교와 S시 1개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200명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생들의 공격성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그리고 학생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처벌적이고 학교폭력에 대해서 방임적일수록 학교폭력태도는 올바르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학교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이 올바른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학생의 공격성을 관리하고 부모와 교사등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교폭력태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방임적 양육태도와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및 양부모가족과의 다집단 분석 (The Effect of Economic Status of Single-Parent familli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and mental health, Multi-Group Analysis on two-parent famillies)

  • 김현숙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297-331
    • /
    • 2016
  •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수준과 자녀의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방임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2010) 중1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3학년 2,195명(한부모 249명, 양부모 1,946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21.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의 경제적 수준 및 학교적응은 양부모 자녀보다 낮으며, 방임적 양육태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부모가족은 경제적 수준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한부모가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양부모가족과 한부모가족 모두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임적 양육태도 및 자녀의 정신건강은 양부모가족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한부모가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저소득한부모가족에 집중되어 있는 한부모가족 지원 기준에 대한 문제점, 둘째, 한부모 자녀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한부모가족의 특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 Moon, Kyung-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19-227
    • /
    • 2022
  • 본 연구는 2018년도에 조사가 완료되어 공개된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인 세 차원의 부모양육행동이 아동 언어발달 분야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세 차원의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첫째,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분명한 방향을 제시해 주고, 합리적이며 일관적인 방식을 취하는 권위적 양육행동은 화용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녀 행동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자녀에게 절대적인 복종을 요구하는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녀가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내버려 두는 방임형의 허용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중요시 되는 시대에 살아갈 아동들에게 적확한 표현이 가능한 언어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언어발달에 매우 중요한 생태계인 부모의 양육행동이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11-1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 total of 2,264 5th graders from the second Korea Child-Adolescent Panel Survey particip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had higher parental neglect and abuse scores than the girls, while the girls had higher peer attachment scores and higher school life adjustment scores than the boys. Second, every sub-el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neglect and abuse regardless of the children's gender. Every sub-el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mmunication' and 'trust' sub-elements of peer attachment regardless of the children's gender. In the case of the boys, the 'study activity' and 'peer relation' sub-elements of school 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ienation' sub-element of peer attachment. For the girls, every sub-element of school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ienation sub-element of peer attachment. Finally, the factor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the peer attachment sub-elements of 'communication', and 'trus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oys' school life adjustment, while for girls, th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parental neglect and abuse', 'communication', 'trust', and 'alienation'.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의 방임 및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 탐색 (Exploring Psycho-social Determinants to Child Neglect and Abuse among Caregivers with Young Children)

  • 김아림;탁영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94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sycho-social factors regarding child neglect and abuse using the data from the 2013 Korea National Survey on Children and Youth. Methods: Data from a sample of 1,062 primary caregivers with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with the SPSS and AMOS program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parent-child attachment, and child neglect or maltreatment. Results: Depression, stress, and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child neglect and abuse.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were found to play mediating roles in accounting for child neglect and abuse, explaining 12%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multi 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some coeffici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the children. For caregivers with infants, parenting stress did not predict either attachment or child maltreatment, whereas for caregivers with toddlers, de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achment.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child maltreatm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community-based psycho-social support interventions focused on marital relationship as well as parent-child dyads and to provide practical child care support.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 정문자;김문정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1-27
    • /
    • 2004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childrearing behaviors was studied in 359 fourth graders. Children reported on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childrearing behaviors with the Childrearing Behavior Questionnaire (Park, 1995) and on their own behavior with the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Oh, Lee, Hong, & Hah, 1997).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girls viewed their fathers and mothers as more warm/accepting and their fathers as less rejecting/restricting than boys. Boys had more externalizing (aggressive/delinquent) behavior problems than girls.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paternal and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on-interfering. The relationship was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s sex.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paternal and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and paternal permissive/non-interfering. The relationship was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s sex.

  • PDF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 우수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583-5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as well as tha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participants were 1,892 (909 boys, 983 girls) elementary students (5th graders) who had a mobile phone. To measure the variables, this study used such scales as the parental abuse and neglect scale, peer attachment scal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direct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peer attachment; that is, the more parental abuse and neglect, the less children's peer attachment. Second,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is, the more parental abuse and neglect, the greater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However,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is,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conclusion, parental abuse and neglect influenc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Thus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al abuse and neglect, rather than children's peer attachment, affect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