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방임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arents' Neglect and Abuse on the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 박기원
    • 아동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5
    • /
    • 2014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ts were examined using a sample of 2,163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1,096 boys and 1,067 girls)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set. All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y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abuse had no direct effect, but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Parental neglect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ocial withdrawal.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al neglect is a more significant contributor than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ing attitude, more specifically parental neglect, tend to be more important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c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need to be emphasized if adolescents are to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방임과 학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의식의 경로분석연구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 김용회;한창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141-170
    • /
    • 2017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아동에 대한 방임 및 학대와 같은 아동인권침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저소득 빈곤가정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아동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015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2기 패널) 총 63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임과 학대는 각각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아존중감은 방임과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학대와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인권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인권친화적 양육환경 조성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자아탄력성, 소외감의 매개효과 (Pathways From the Experiences of Neglect to Adolescent Smart 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Resilience and Alienation)

  • 박소연;유미숙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27-3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과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 7차년도(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데이터 중 결측치가 없는 1,8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방임경험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탄력성, 소외감은 방임경험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아동 청소년 상담 및 부모상담에서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하고 개입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피학대 아동의 가족에 대한 정신적 표상: 성, 연령 및 학대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for Family in Abused Children: Focusing on Types of Child Abuse)

  • 이경숙;박진아;오은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3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피학대 아동의 성, 연령 및 학대유형별로 정신적 표상 수준에서 가족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아동학대예방센터 1곳과 아동상담소 1곳에서 학대사례로 판정된 만 7-14세의 신체학대 아동 15명, 방임 아동 15명, 그리고 신체학대·정서학대·방임의 중복학대 아동 15명 등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청소년의 가족지각검사(Family Assessment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학대 남아는 피학대 여아에 비해 부모의 적절한 제한설정에도 불순응하는 태도를 더 많이 보였으며, 정서적으로는 걱정을 더 많이 하고, 검사에 대한 거부적 태도를 더 많이 보였다. 반면에 피학대 여아는 피학대 남아에 비해 어머니를 스트레스 요인으로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학대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어머니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는 조력자로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학생의 경우 검사에 대한 거부적 태도를 더 많이 보이고, 가족과 관련하여 분노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복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신체학대나 방임을 경험한 아동에 비해 가족갈등을 더 많이 경험하는 동시에 갈등에 대해 부정적인 해결방안을 더 많이 사용하고, 부모의 부적절한 제한에 불순응하는 태도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기능적인 가족지각 지수도 중복학대 경험 아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복학대의 심각성이 더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방임을 경험한 아동은 신체적 학대나 중복학대를 경험한 아동에 비해 슬픔과 우울과 관련된 정서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분노표현방식에 있어서 부모방임행동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and Style of Expressing Anger)

  • 황연덕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5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neglectful behavior on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and their style of expressing anger. The subjects consisted of 354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Multidimensional Neglectful Behavior Scale (Straus et al., 1995), the Irrational Belief Scales (Lee, 2004), and the Anger Expression Scale (Spielberger, Krasner, & Solomon, 1988).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neglectful behavior and the irrational beliefs and style of anger expression exhibited by the children concern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on their anger was moderated by parent's neglectful behavior. The effects of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on their anger control was also moderated by parent's neglectful behavior. In conclusion, parent's neglectful behavior has a moderating effect upon a child's irrational beliefs as it relates to the style of anger expression as exhibited by their children.

부모의 방임행동,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이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Neglect Behavior and Children's Irrational Belief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Style)

  • 황연덕;이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77-88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behavior and children's irrational beliefs on children's anger expression style. The participants were 379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Children tended to perceive higher levels of their parents' cognitive and emotional neglect than physical and home environmental neglect. Boys perceived higher levels of their parents' physical, supervisory and home environmental neglect than girls, and girls showed higher level of excessively self-expecting belief than boy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s' neglect behavior, their child's irrational beliefs and anger expression style. 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rents' physical and cognitive neglect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anger control. Children's excessive apprehension and avoidance beliefs were the best predictors of children's anger-in, while children's deterministic belief was the best predictor of children's anger-out. Parents' physical neglect behavior appeared to be powerful predictor.

가정환경 및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유해환경 접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al Neglect on Adolescent's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s)

  • 조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115-1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such as economic status and harmony of family and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s. The data came from the 2009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N = 6,601).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means of SPSS 17.0 and AMOS 7.0. Bootstrap method used to test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e found that family environment influences an adolescent's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s through parental neglect, showing that family environment has both indirect and direct effec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family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more stress than harmony engenders a negative effect on the behavior of parents providing care and affection. This neglect influences the adolescent's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s such as harmful media and facilities.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parental care and suitable affection play a minimal role in adolescent's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s.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위험군이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Risk Factors on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and Neglect and Parenting Stress)

  • 조은정;박인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6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위험군이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아동가족 생애경험 실태조사'를 통해 얻어진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차료 분석연구이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1개 이상인 어머니 1,93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부정적 경험 저위험군(1-3개), 중위험군(4-6개), 고위험군(7개 이상)별로 분류하여 자녀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조사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 어머니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저위험군 50.4%, 중위험군 39.8%, 고위험군 9.7%였다. 자녀 정서적 학대는 45.0%, 자녀 신체적 학대는 13.2%, 자녀 방임은 3.5%,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2.13(±0.61)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저위험군보다 중위험군, 고위험군인 경우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방임, 양육스트레스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자녀 정서적 학대 35%, 자녀 신체적 학대 25%, 자녀 방임 19%, 양육스트레스 16%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부모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고위험군일수록 자녀의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자녀 방임을 더 가하며,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Level of parental differentiation from family of origin : relationship to child-rearing behaviors)

  • 정문자;최난경
    • 아동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7-99
    • /
    • 2004
  •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393 fourth and fif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parents of these children. The level of fathers' emotional separ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s'. Mothers were more warm acceptant and rejective restrictive than fathers; fathers were more permissive neglectful than mothers. Both fathers and mothers were more rejective restrictive of girls than of boys. Mothers with high scores in emotional separation from family of origin were more warm acceptant to their children and less rejective restrictive than those with low scores. Fathers with high scores in emotional cut off from the family of origin were more permissive neglectful behavior of their children than fathers with low sco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