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 폴리프로필렌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초임계 이산화탄소 함침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폴리스타이렌/폴리프로필렌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Grafted Polystyrene Sulfonic Acid Membranes for DMFCs in Supercritical CO2)

  • 변정연;석준호;신우균;김화용
    • 청정기술
    • /
    • 제11권3호
    • /
    • pp.141-146
    • /
    • 2005
  • 초임게 이산화탄소를 용매 및 팽윤제로 사용하여 함침 및 라디칼 중합으로 폴리프로필렌막에 스타이렌(styrene)을 그래프팅 시켰다. 모노머인 스타이렌의 양을 변수로 조절해가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초임계 함침, 중합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술폰화된 폴리스타이렌을 그래프팅한 폴리프로필렌 막 (PP-g-pssa)을 다양한 방범으로 특성화하였다. SEM과 EDS을 통하여 그래프팅 막의 표면 및 구조, 술폰화 여부를 분석하였다. 모노머의 양이 증가할수록 메탄올 투과도는 감소하고 이온 전도도와 전지 성능은 증가하다가, 스타이렌 모노머의 양이 1.5 g이상에서 제조된 막의 메탄올 투과도, 이온 전도도 및 전지 성능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다.

  • PDF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 판재의 소성가공 (Deep Drawing of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 이중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3권8호
    • /
    • pp.88-95
    • /
    • 1996
  • 유리섬유가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료 판재의 성형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실험적 고찰이 행해졌다. 성형시험에서 사용된 형상은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한 유리섬유를 중량비로 30% 함유한 폴리프로필렌 재료가 사용되었고, 시험된 형상은 판재의 굽힘성이나 인장성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스위프트컵(Swift flat-bottomed cup)모양이다. 성형시험과 재료시험은 플리프로필렌 Matrix의 유리성 천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용융온도 사이에서 행해졌다. 본 연구의 이론과 고찰을 위해서 재료의 평면 방향으로는 동질성을 그리고 그 직각 방향으로는 이질성을 가진 연속체 물질로 가정하여 유도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결과는 실험 결과와 비교되어졌고,이를 통해 시험된 재료의 최적의 성형조건을 제시하였다.

  • PDF

아미노실란 개질 클레이를 사용한 폴리프로필렌 클레이 나노복합재료 (Preparation of Polypropylene/Clay Nanocomposites Using Aminosilane Treated Clay)

  • 홍채환;배진우;이용범;이춘수;조재영;남병욱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318-325
    • /
    • 2006
  • 아미노 실란이 도입된 기능성 클레이를 제조하고, 이를 폴리프로필렌과 상용화제인 무수 말레인산이 그래프트 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용융 혼합법으로 공유 결합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아미노 실란으로 개질된 클레이의 구조 및 표면 특성은 각각 엑스선 회절 분석, 적외선 분광 분석, 그리고 고체상태 핵자기 공명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아미노 실란을 이용한 클레이의 개질은 약 $19.8{\AA}$ 의 실리케이트 층간 거리를 증가시켰으며, 클레이 층상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의 $3650cm^{-1}$ 에 존재하는 피크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민 그룹이 치환된 Si를 의미하는 -69 ppm 부근의 시그널도 확인하였다.

유리섬유/폴리프로필렌 복합원사의 유리섬유 함량 변화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함침 및 기계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Impregn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Composites with Different GF Content of GF/PP Commingled Fiber)

  • 장영진;김늘새롬;권동준;양성백;염정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6호
    • /
    • pp.346-352
    • /
    • 2020
  •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수송용 기기의 구조용 소재로써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리섬유(GF) 함량 차이에 따른 연속섬유 강화 GF/폴리프로필렌(PP)의 기계적 물성 및 함침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GF 함량이 다른 GF/PP 복합원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속가압공정법으로 연속섬유 강화 GF/PP 중간재를 제조하였다. GF 함량에 따른 연속섬유 강화 GF/PP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를 평가하였다.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인장파괴 된 GF/PP의 형태를 분석하여 GF 함량에 따른 파괴거동을 확인하였고, 동적기계분석 및 층간전단강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GF 함량에 따른 함침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GF/PP 50 wt.% 복합재료 조건에서 기계적 강도와 함침성이 가장 안정화됨을 확인하였다.

폐목재(廢木材) 활용(活用)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處理) 효과(效果)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Effect of Plasma Treatment for Waste Wood Application)

  • 김미미;임중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2호
    • /
    • pp.18-21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상압플라즈마에 의한 목분의 표면개질에 대해 조사하였다. 복합재는 목분과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목분 : 폴리프로필렌=55wt% : 45wt%). 상압플라즈마는 carrier gas로 헬륨과 HMDSO를 모노머로 사용하였고 3 KV, $17{\pm}1$KHz, 2 g/min의 조건에서 처리하였다. 폐목분의 인장강도는 상압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18.5 MPa에서 21.2 MPa로 14.6% 증가하였고 단일수종목분의 경우에도 21.5 MPa에서 23.4 MPa로 8.8% 증가하였다. 이것으로 상압플라즈마 처리는 목분의 표면을 개질하여 폴리프로필렌과의 계면결합력을 증가시켜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의 적용환경에 대한 저항성 평가 (Assessment of Resistance to Application Environment of Geotextile Composites)

  • 전한용;류원석;김한도;정진교;조봉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5-38
    • /
    • 2003
  • 적용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안정제로 카본블랙을 첨가한 재활용 폴리에스테르 지오텍스타일과 폴리프로필렌 지오텍스타일을 니들펀칭법에 의해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을 제조하였다. 역학적 특성, 자외선 저항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보유율은 자외선 노출조건에 따라 50% 정도 감소하였지만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재생 폴리에스테르 지오텍스타일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화학적 안정성의 경우, 다양한 화학조건에서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변화는 -20~+10% 정도이었다.

  • PDF

PP 복합 조성물의 반복 가공에 의한 열가소성 폴리머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물리적 특성 변화 연구 (Physical Property of 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mer based Composites by Repeating Processing of PP Composition)

  • 이진우;이재영;심승보;박재형;박현주;오경훈;허진혁;김윤해;이지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68-75
    • /
    • 2024
  • 경제성과 가공 시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가지는 합성수지는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지 않고 환경오염을 야기 시키는 문제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가 주목되고 있고 그 중 경제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P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PP의 경우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 등과 재활용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다수의 문헌에서 열가소성 수지의 반복 가공에 따라 물성의 저하가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가공 조건에 따라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는 시점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P 수지에 여러 첨가 성분을 블렌딩하여 복합 조성물 제조 시 반복 공정에 의한 성능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압출 공정 및 사출 공정을 반복 진행하여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반복 공정 시 MFI 값 변화에 따라 복합재료 공정 시 섬유의 함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변형률 속도가 고려된 발포 폴리프로필렌의 구성방정식 (A Constitutive Equation Including Strain Rate Effect for the Expanded Polypropylene)

  • 김한국;전성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30-13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Kim 등[7]이 제시한 4가지의 다른 밀도를 갖는 원통형 시험편으로한 EPP(Expanded polypropylene)의 준정적(Quasi-static test) 및 충격 시험(Impact test) DB를 바탕으로 Jeong 등[12]이 제시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에 대한 구성방정식을 EPP 폼에 대하여 다시 정의 하여 충격량-운동량 이론을 접목시켜 새로운 구성방정식을 제안하기위한 DB 구축을 목표로 하였다.

오존처리가 몬모릴로나이트의 표면특성 및 몬모릴로나이트/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zone Treatment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Montmorillonite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Montmorillonite/polypropylene Nanocomposites)

  • 진성열;이재락;박수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MMT)의 오존처리가 몬모릴로나이트의 표면특성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MMT의 표면 특성은 XRD, FT-IR 그리고 XPS를 통해 관찰하였고, 나노복합재료의 열안정성은 열중량 분석기(TG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실리케이트의 층간 간격은 유기적으로 개질된 MMT(D-MMT)가 개질되지 않은 MMT에 비해 약 11${\AA}$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고, FT-IR 결과로부터 D-MMT의 경우 $2800\~2900\;cm^{-1}$ 부근에서 $CH_2$의 피크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존처리는 MMT 표면에 Si-O와 $SiO_2$ 관능기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산소를 포함하는 관능기들이 발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오존처리된 MMT가 도입된 나노복합재료에서 열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P와 MMT 사이의 산-염기 계면 상호작용으로부터 계면 결합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