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도시

Search Result 47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acade Texture Inpainting for 3D City Reconstruction (3차원 도시 복원을 위한 Facade 텍스처 인페인팅)

  • Oh, Seon-Ho;Jung, Soo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388-390
    • /
    • 2012
  • 도시 지역의 영상에서는 가로수, 행인, 자동차 등 3차원 대상이 아닌 전경 물체가 빈번하게 나타남에 따라 건물 모델의 텍스처 생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건물 영상에서 전경 물체에 의한 가림이 제거된 정명평행 텍스처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 조작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전경 물체에 의해 가려진 영역을 찾고, 이를 인페인팅 기법을 통해 채워넣음으로서 facade에 대한 텍스처를 생성한다.

A Study on Obtaining Waters to Restore the Water-ecosystem of Deokjin Pond in Jeonju: New Paradigm for Restoration of Urban Reservoirs (전주시 덕진연못의 수생태 복원을 위한 용수확보방안 연구: 도시 저수지 복원의 새로운 패러다임)

  • Choi, Seung-Hyun;Kim, Seok-Hwi;Lee, Jin Won;Kim, Kangjoo;Oh, Chang Wha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6
    • /
    • pp.467-475
    • /
    • 2015
  • The Deokjin Pond is one of the places representing Jeonju City's history but has the poor water quality. The pond has a storage of $88,741m^3$ and a drainage area of $3.77km^2$. It has been maintained only by the groundwater pumped from the upstream wells and the direct rainfalls on the water surface since the old streams replenishing the pond were turned into a part of the sewer system due to indiscreet urbanization. The lack of replenishing water as well as the organic-rich bottom sediment were suggested as two main causes deteriorating the water-ecosystem. In this study, possible measures obtaining waters for restoration of Deokjin Pond ecosystem are discussed. It is estimated that the present pond can be replenished about 32 times a year by the runoff when the drainage system in the watershed is recovered to a state before urbanization. To support this, the drainage system is compared with that of nearby Osong Pond, which shows relatively better water-ecosystem. Even though Osong Pond has a drainage area one-seventh of that of Deokjin Pond, its storage is more than the half of it. It is because its watershed has a near natural drainage system where the rain mostly infiltrates into soil and slowly discharges into the pon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which is known as a technique restoring the water circulating system to a condition before development, would be helpful in obtaining waters required for Deokjin Pond ecosystem management.

지반환경 연구 및 기술동향

  • 지반환경기술위원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396-409
    • /
    • 2004
  • 토양, 땅, 토지, 지반은 지구를 구성하고 지구상에 존재하는 인간 및 생명체의 생활터전이 되며 각종 시설물의 지지체 역할을 한다. 현대의 도시화 및 산업화 속에서 인간은 흙 및 토지에 대한 향수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이들 지반의 성질과 상태는 지금까지 자연의 조화에 의하여 균형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산업혁명이후 인구의 도시집중 및 산업화에 의하여 지반 내에 폐기물 및 오염물질이 축적됨에 따라 토양은 자정 및 복원능력을 상실하고 이로 인한 환경문제는 심화되고 있다.(중략)

  • PDF

Analysis on the Urban Waterfront for River Restoration (하천복원을 위한 도시 수변공간의 평가)

  • Kim, Byeong-Chan;Kim, Man-Sik;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5-106
    • /
    • 2012
  • 대부분의 의사결정은 단순한 계층 뿐만 아니라 상 하위 요소간의 상호작용과 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절차를 거쳐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하천을 이용함에 있어 어떠한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지에 대하여 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Technique (하천환경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

  • Song, Ju-Il;Park, Sun-Hee;Lee, Joon-Ho;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60-4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천환경의 현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하천환경평가기법을 제시하고, 수원천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윤세의(2007)가 제시한 도시하천평가기법의 53개 평가항목 중 설문조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중요도가 높은 하천환경 관련 항목을 선별하고, 이를 하천환경평가기법의 평가항목으로 사용하였다. 평가항목은 총 27개이고, 평가결과는 총괄지수, 특성지수, 부문지수, 항목지수와 평가등급으로 나타내었다. 수원천의 조사구간은 광교저수지 하류부에서 세류대교까지 약 6.0 km이었고, 총 39개의 구간에 대하여 하천환경평가기법과 도시하천평가기법의 평가지수를 비교하였다. 하천환경평가를 적용한 결과 수원천의 총괄지수는 $2.57{\sim}3.86$으로 나타났고, 하천특성 지수는 $2.20{\sim}2.95$, 생태환경 특성지수는 $1.91{\sim}4.02$로 나타났다. 또한 두 가지 평가기법에 대한 총괄지수와 특성지수의 평균등급은 동일하게 계산되었고, 부문지수 평균등급은 수로, 하상 등의 부문에서 등급변동이 나타났지만 2개 등급 이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평가결과를 통해 도시하천 평가기법으로부터 파생된 하천환경평가기법의 적용가능성은 확인하였다. 앞으로 많은 대상하천을 선정, 평가를 실시하고, 하천의 연속성과 평가인자들 간의 연계성 등을 반영하는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 PDF

김해시의 지역전략산업 육성방안

  • Gang, Han-Gyu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5
    • /
    • pp.1-14
    • /
    • 2000
  • 김해시에는 약 3,000개가 넘는 기계산업을 중심으로한 전국 두 번째로 많은 중소기업이 있다. 김해국제공항이 10km 이내에 있으며, 부산항과 마산항, 가덕신항만이 자동차로 30분 거리에 있고 서울, 대구, 광주로 가는 고속도로와 울산, 양산, 부산, 창원, 진주를 잇는 동남 공업벨트의 중심지로서 사통팔달의 최적 교통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 남해바다 해양성기후의 영향을 받아, 화훼, 과수, 채소 등의 신선농산물 재배에도 최적이며 공항을 통해서 50분 거리의 후꾸오까와, 70분 거리에 있는 동경에 이들 농산물의 신속한 수출도 용이하다. 한편 김해시는 가락국의 가야문화권 중심도시로 국립김해박물과의 개관, 문화유적의 복원 등으로 관광도시의 면모도 갖추어 가고 있다. 김해시는 이러한 입지적 요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지역전략산업을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기존의 기계 자동차 금속산업은 지식집약형 기계산업(정밀의료기기 및 첨단 자동차부품포함)으로 특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화훼 및 농산물수출은 현대화된 재배시설 및 유통시설의 조성, 수출전문생산단지 조성, 대체에너지의 개발 등으로 수출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기존 기계산업을 정보기술산업과 접목시키는 벤처기업의 육성으로 장기적으로는 하청구조의 산업구조톨 지양하고 기술개발을 통해 경쟁력있는 중소기업을 육성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유적, 화훼 등의 관광자원을 개발하여 부산과 제주도를 잇는 관광도시로 육성시켜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인제대학의 특성화분야인 의생명공학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헬씨어밸리(healthier valley)조성올 통해 생물 건강소재산업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상의 특화산업들이 산업연관 효과를 가지고 조화있는 발전을 할 때 21세기의 경쟁력 있는 김해시 건설이 가능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storation of degraded urban ecosystems and the analysis of restoration performance (훼손된 도시생태계 생태복원 평가지표 제시 및 복원성과 분석)

  • Sohn, Hee-Jung;Kim, Do-Hee;Kim, Na-Yeong;Hong, Jin-Pyo;Song, You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2 no.6
    • /
    • pp.97-114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urban ecosystem restoration projects by evaluating the short-term restoration performance of the project sites, fro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In this study,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we derived the evaluation frame from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e changes in ecological connectivity after the restoration project were described using landscape permeability and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changes in habitat quality after the restoration project were evaluated by using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These evaluations were applied to the three natural madang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and two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projects. As a result, three categories, 10 indicators, and 13 sub-indicator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as the evaluation frame for this study. In the case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storation performance, habitat quality increased by 45% and ecological connectivity by 37% in natural-madang, and habitat quality by about 12% and ecological connectivity by about 19% in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projects. This implies th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can increase the ecological connectivity and the habitat quality of degraded sites even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improving the land-cover and land use. The results by applying the evaluation frame indicated that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cological functions were improved by the restoration works, even though the magnitude of performances were diverse depending on the specific evaluation items, project type, and site characteristics.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 success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should be assessed by both of the short-term and long-term goals,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maintenance and sustainable management, respectively.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of Namchun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남천의 연유출량 추정)

  • Kim, Nam-Uk;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9-1113
    • /
    • 2010
  • 창원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지표면으로 변화되어 전형적인 도시 유역특성을 띠고 있어 SWMM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적용대상인 남천은 창원시를 관류하는 유로연장 14.7 km의 하천으로 지류인 창원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환경부 지원 시범사업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계획되어 실시설계 완료 후 공사가 진행 중이나, 복원 후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 등의 타당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역사회에서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천 유역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한 유지유량 산정을 통해 향후 복원된 남천의 하천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측된 남천과 창원천의 유량자료와 SWMM 유출량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천의 유량자료는 2008년 5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측하였으며, 남천의 지류인 창원천은 유량자료 취득구간이었던 창원천교 지점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유량자료를 취득할 수 없었으므로 남천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법으로 추정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마산과 창원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강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마산기상대의 자료 대신, 창원시에서 제공한 5년간 (2005년~2009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남천 유역을 3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Arc View를 이용하여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SWMM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중 유출량 추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개변수들은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 연유출량 추정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남천의 연유출량을 추정함으로써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The process of capture and translocation during habitat restoration construction of Kaloula borealis - A Case Study of Samche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Jeonju City - (맹꽁이 서식지 복원공사 중 포획 및 이주과정에 대한 연구 -전주시 삼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대상으로-)

  • Lim, Hyun-Jeong;Kim, Jong-Man;Jeong, Moon-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4 no.2
    • /
    • pp.103-11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restoration by implementing a series of processes of capturing and translocating Kaloula borealis and managing them in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The study site in Samcheon, Jeonju-si, Jeollabuk-do was a waste landfill site in the past, and Kaloula borealis was found during the Samche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around March 2018. To restore the habitat, a plan was established to capture, translocate, artificially breed, and release Kaloula borealis at the site. The capture methods of adult Kaloula borealis were pitfall trap and drift fence, direct capture, and deep barrels. During 2018-2019, 86 adults of Kaloula borealis were captured and translocated to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VIE-tagging was inserted under the skin for monitoring. For artificial breeding, Gryllus bimaculatus with oyster powder and vegetables were regularly supplied to feed Kaloula borealis. At the end of October 2020, 150 young Kaloula borealis raised in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were found not entering hibernation, so they were managed in a separate artificial breeding facility. Some young and adult Kaloula borealis currently hibernating will be scheduled to be continuously managed in artificial breeding facilities and released to the restored habitat in the spring of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