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숭아 순나방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먹이트랩과 교미교란제 테두리처리를 통한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 교미교란 상승효과 (Enhanced Mating Disrup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Using Pheromone Edge Treatment Along with Food Trap)

  • 김용균;서삼열;정성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1-36
    • /
    • 2010
  •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방제하기 위해서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 처리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사과원들이 인근에 몰려있고 이들의 경영이 독자적인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존한 복숭아순나방 방제 효율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는 인근의 교미교란제를 처리하지 않은 지역에서 교미한 복숭아순나방 암컷의 유입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정 교미교란제 처리 지역에 있어 교미교란 효과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교미한 암컷을 포획할 수 있는 테두리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테두리처리 기술은 사과원 가장자리에 10 미터 간격으로 각각 교미교란제와 먹이트랩을 설치하면서 이러한 방제 효과를 거두려하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와 더불어 태두리처리는 교미교란제만 처리한 포장에 비해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 및 과실에 미치는 피해를 뚜렷하게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교미교란제 처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중 처리 횟수를 결정하였다. 사과 재배 전체 기간을 통해 교미교란 효과를 유지하는 데 교미교란제 처리는 테두리처리와 함께 3월 말과 7월 초의 2회 처리가 필요하였다.

야외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 (Efficacy of Commercial Mating Disruptors on Field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s (Busck))

  • 정성채;박천우;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0
    • /
    • 2006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교미교란제인 SPLAT$^{(R)}$와 Isomate$^{(R)}$-ROSSO의 교미교란효과를 각각 영천과 경산 및 청송과 영주에서 조사하였다.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야외 집단의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네 지역에서 모두 월동세대 개체군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교미교란제는 분석시기 10일 전에 포장에 처리되었으며, 두 교미교란제 모두는 수컷의 성유인물 탐지능력을 억제시켰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교미교란제를 비교하면 SPLAT 형태가 Isomate 형태보다 교란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교미교란 효과는 조사기간 동안 복숭아순나방의 피해로 여겨지는 신초 피해를 억제하는 능력과 높은 상관성을 가졌다.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미끼 평가 및 수원지역에서 주요 발생시기 예찰 (Evaluation of Pheromone Lure of Grapholita molesta (Lpidoptera: Torticidae) and Forecasting Its Phenological Events in Suwon)

  • 김동순;부경생;전흥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289
    • /
    • 2004
  •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Z8-12AC : E8-12AC : Z8-12OH = 95 : 5 : 1) 처리량에 따른 수컷 성충 유인수 및 페로몬 총량 1.0mg-미끼의 유인력 지속기간을 포장조건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수원지역 복숭아과원에서 연간 복숭아순나방 페로몬 유살량 및 계절초기 알 발생밀도 등 기초 생태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발생시기별 적산온도를 산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은 실험을 실시한 페로몬 처리량 0.1-4.0mg 범위에서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유인수가 감소하였다. 0.1 mg-미끼에 가장 많은 수컷성충이 유인되었고, 0.5-4.0mg 범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인수의 차이가 없었다. 1.0mg-미끼를 이용하여 20일 간격으로 미끼를 교체한 트랩과 교체하지 않은 트랩 간 수컷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약 50일까지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그 후에는 미끼를 교체하지 않은 트랩에 더 많은 수컷 성충이 유인되는 경향을 보였다. 복숭아순나방 초발생일까지 적산온도는 1월 1일부터 $8.1^{\circ}C$ 이상 평균 대기온도를 누적했을 때 약 39DD 이었다. 또한 초발일 기준 각 발생최성기까지 누적된 적산온도는 1세대 98 DD, 2세대 620DD, 3세대 1233DD, 4세대 1916DD 이었다. 1세대 성충 발생최성기에서 알 밀도 최성기까지는 약 130DD 차이가 있었고, 2세대 성충 발생최성기와 알 발생최성기는 비슷한 시기에 나타났다. 기타 복숭아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 방제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교미교란용 왁스형 페로몬방출기와 그 적용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for Mating Discrup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Its Application Technique)

  • 정성채;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배성우;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3
    • /
    • 2008
  • 왁스형 페로몬 방출기를 제작하여 사과원에 발생하는 복숭아순나빙(Grapholita molesta)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미교란제로 응용하였다. 아울러 이 왁스형 교미교란제의 방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처리량에 따른 복숭아순나방의 교미교란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교미교란 효과를 모니터링 페로몬 트랩 및 먹이트랩에 유인되는 누적 성충 밀도의 감소 및 기주 식물의 피해로 분석한 결과 왁스형 교미교란제 처리량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개발된 왁스형 교미교란제를 기준량(350평당 120 g)으로 처리한 결과,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교미교란제($Isomate^{(R)}$)와 뚜렷한 차이 없이 복숭아순나방 밀도 억제와 과실피해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또한 교미교란 처리지역 가장 자리에 먹이트랩을 배치할 경우 비처리지역에서 유입되어 오는 교미한 암컷의 이동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뤄 왁스형 페로몬 방출기는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제로 응용될 수 있으며, 과수원 주변에 배치하는 먹이트랩과 혼용하는 경우 교미교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경남지역 매실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의 발생소장 (Occurrences of Major Pests in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 Zucc. in Gyeongnam Province)

  • 이흥수;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7
    • /
    • 2011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남 진주, 하동지역 매실에서 25종의 해충이 조사되었다. 붉은테두리진딧물(Rhopalosiphum rufiabdominale(Sasaki)), 외점애매미충(Singapora shinshana M.),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 Zacher), 복숭아유리나방(Synanthedon hector B.) 등이 주요해충 이었으며, 복숭아꽃바구미(Anthonomus persicae sp. nov.),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k)),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등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해충으로 나타났다. 외점애매미충의 발생은 4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고, 벚나무응애는 5월초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사이에 정점에 도달한 후 잎의 섭식조건 악화와 더불어 밀도가 감소하였다. 복숭아유리나방은 6월 중순 뚜렷한 발생최성기를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8월 상순사이 기간에 발생이 거의 없었다가 9월 초중순에 뚜렷한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꽃바구미는 매실 개화 전 꽃눈에서 발생하였고, 그 이후 4월~5월초에 우화 성충이 관찰되었다.

수원지역 과수원에 발생하는 유리나방류 4종의 성충 발생소장 (Seasonal Adult Occurrence of Four Clearwing Moths in Suwon Orchards)

  • 양창열;김성종;양상진;조명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3-447
    • /
    • 2012
  • 유리나방류는 사과, 복숭아, 포도와 같은 과수의 주요 해충으로서, 유충이 기주식물의 줄기 속에서 형성층을 섭식한다. 수원지역에서 3년에 걸쳐,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유리나방, 복숭아유리나방, 포도유리나방, 큰유리나방의 연중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사과원에서 사과유리나방 성충은 트랩에 5월부터 10월까지 유인되었으며, 6월 상중순과 8월 하순~9월 상순에 각각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비슷하게, 복숭아원에서 복숭아유리나방은 5월부터 10월까지 유인되었으며,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과 8월 하순~9월 중순이었다. 포도원에서 포도유리나방은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 유인되었으며, 5월 하순~6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한편, 포도원에서 큰유리나방은 6월 상순부터 7월 하순까지 유인되었으며,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7월 상순이었다.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월동세대 밀도 분석을 위한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 트랩 적용 (Application of a Remote-sensing Pheromone Trap for Analysis of Overwintering Popula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 서삼열;정성채;구태익;김용;이영태;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7
    • /
    • 2011
  • 사과원에 발생하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대상으로 이들의 월동세대 발생 상황을 IT페로몬트랩(대한민국 특허: 10-0982563)이라 불리는 원격 감지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3년간 모니터링하였다. 월동세대 성충은 4-5월에 발생되지만, 비교적 봄철 평균기온이 낮았던 2010년도에는 6월 초순까지 발생최성기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도별 차등 경향은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으로도 정확히 모니터링이 가능했다. 이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서로 다른 도의 사과원에 배치하여 복숭아순나방 월동세대를 모니터링하였을 때 모두 최성 발생시기가 5월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간의 포획 밀도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IT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복숭아순나방 무인 모니터링의 실용 가능성을 보였다.

객체 분할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해충 개체 수 추정 (Estimation of Populations of Moth Using Object Segmentation and an SVM Classifier)

  • 홍영기;김태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05-71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해충 영상에서 객체 분할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수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과수원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 수집된 복숭아순나방 영상에 대해 객체 분할과 개체 분류를 수행하였다. 객체 분할은 전처리, 문턱치 처리, 형태학적 필터링, 객체 레이블링 과정으로 구성된다. 해충 영상에서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분류는 SVM 분류기의 학습과 개체 분류, 개체 수 추정 단계로 구성된다. 객체 분할은 SVM 분류기에 입력하기 전에 객체들을 분할함으로써 개체 분류 단계에서 처리 과정을 단순하게 해 준다. 분할된 객체들에 대해 중심점과 주축을 중심으로 영상 블록을 추출하여 SVM 분류기에 입력한다. 실험에서 10개의 해충 영상에 대해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수 추정 결과 97%의 평균 추정 정확도를 보임으로써 과수원에서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효과적임을 보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의 처리 시간은 평균 2.4초,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은 5.7초로 본 논문의 방법이 약 2.4배 정도 처리 시간이 빠름을 보였다.

복숭아순나방 성충 복부에서 발현하는 불포화효소의 RNA 간섭과 교미교란 (Mating Disruption of Grapholita molesta by RNA Interference of a Fatty Acid Desaturase Expressed in Adult Abdomen)

  • 김규순;정충렬;양창열;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1-67
    • /
    • 2017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두 가지 주요 성페로몬 성분(Z-8-dodecenyl acetate and E-8-dodecenyl acetate)을 갖고 있다. 이 성페로몬 성분의 생합성 과정 분석은 포화지방산의 10번 탄소에 이중결합을 합성하는 불포화효소($10{\Delta}$ DES)가 종 특이적 광학이성체 형성에 필수적이라고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효소의 분자적 특징에 대해서 분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샘의 전사체에서 $10{\Delta}$ DES로 추정된 불포화효소(Gm-comp1575)의 단백질 기능 영역을 분석하였다. Gm-comp1575 유전자는 370개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암호하고 있으며 분자량은 약 43.2 kDa 그리고 등전위점(pI)은 8.77로 추정되었다. 이 불포화효소는 4개의 막투과영역을 지니고 있으며, 6개의 탄수화물 결합 위치가 아미노 말단과 세포내 영역에서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자계통분석은 Gm-comp1575가 다른 종에서 알려진 $10{\Delta}$ DES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Gm-comp1575 전사체는 암컷 성페로몬 샘 및 다른 복부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RNA 간섭 처리는 처녀 암컷으로 하여금 사과원에서 수컷을 유인하는 능력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Gm-comp1575가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라고 제시하고 있다.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모니터링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Field Monitor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with Sex Pheromone)

  • 김용균;정성채;배성우;권보원;윤향미;홍용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9-356
    • /
    • 2007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세 가지 성페로몬 성분(Z8-12:Ac, E8-12:Ac, Z8-12:OH)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상용화되어 해충집단 모니터링과 교미교란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상용화 제품들을 살펴보면, 성페로몬 성분비 및 각 방출기에 들어있는 유효성분 량에서 있어서 상이했다. 본 연구는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모니터링에 있어서 수컷 유인과 포획에 대한 변동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밝히고, 이들 요인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성페로몬 성분비 및 함량, 유효방출기간 그리고 트랩 형태 및 설치높이를 분석하였다. 이상적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높은 농도(96% 이상)의 Z8-12:Ac 성분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방출기에 들어 있는 성페로몬 함량은 $0.01-1\;{\mu}g$ 농도에서 야외 설치 이후 90일 동안(6-9월) 차이가 없었다. 트랩은 델타형이 원뿔형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이 트랩의 위치는 과수의 수관부위가 수컷을 유인하는 데 이상적이었다. 이러한 이상적 모니터링 변수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화학농약살포가 이뤄지는 안동 지역의 사과농가에서 복숭아순나방을 모니터링한 결과, 4-5월에 있는 월동세대 이후 3-4회의 성충발생 피크를 감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