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 비만도

검색결과 762건 처리시간 0.03초

복부 초음파 검사 기반 신장결석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Ultrasound Based Kidney Stones,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 김주희;장현철;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95-502
    • /
    • 2020
  • 신장결석은 국내에서 연간 3만 명 정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흔한 질환으로 만성콩팥병,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대사증후군,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복부 중심 비만 증가와 관련이 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달성군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수검자 135명을 대상으로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신장결석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총 콜레스테롤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신장결석 발생 위험도가 4.255배,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인자에서는 비정상 군이 정상 군에 비해 신장결석 발생 위험도가 2.072배 증가하였고, 총 콜레스테롤 인자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인자가 신장결석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신장결석 발생 위험도는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인자와 관계가 있기에 건강검진을 통해 예방 목적에 있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HSB 강거더의 비탄성 횡비틂좌굴에 의한 휨강도 - 세장 복부판 단면 (Flexural Strength of HSB Steel Girders Due to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 Sections with Slender Web)

  • 조은영;신동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17-231
    • /
    • 2012
  • HSB 고강도 강재를 적용한 균일모멘트를 받는 세장 복부판을 갖는 강거더에 대하여 비탄성 횡비틂좌굴 거동을 상용 ABAQ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으로 분석하였다. 해석대상 강거더는 압축플랜지의 국부좌굴이 휨강도를 지배하지 않도록 플랜지는 조밀 또는 비조밀 요소에 해당하는 세장비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횡방향 비지지길이는 탄성 횡비틂좌굴 강도 이상의 휨강도를 갖도록 선정하였다. HSB600 및 HSB800 강재로 제작된 균질단면 강거더와 HSB800과 SM570-TMC 강재를 동시에 적용한 하이브리드 단면를 고려하였고, 일반강재와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하여 SM490-TMC 균질단면 강거더에 대한 해석도 수행하였다.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시에는 플랜지와 복부판을 쉘요소로, 강재는 탄소성-변형경화 재료로 모델링하였다. 초기변형과 단면의 잔류응력을 고려하였으며 이들이 비탄성 횡비틂좌굴 영역에서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총 64개의 해석대상 강거더에 대하여 FE 해석과 설계식에 의한 휨저항강도를 비교한 결과, HSB 강재를 적용한 균질단면 및 하이브리드 단면 거더의 비탄성 횡비틂좌굴에 의한 휨강도는 현 AASHTO LRFD 압축플랜지 휨강도 탄성 설계규정을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운동이 복부형 비만여성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on Serum Lipids in Abdominal Obese Women)

  • 전형주;이재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2-196
    • /
    • 2003
  • 허리 둔부 둘레비가 0.85이상인 여성을 복부 비만으로 측정하고 8주간 계속해서 50분씩 달리기를 시행하였다 5Km의 실외 달리기 트랙을 50분간 강약 조절로 달리게 하였고, 운동을 시행한 후 체성분 변화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8주간 운동에 의해 변화된 총 cholesterol이 LDL-C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1), 허리 둔부 둘레비(WHR)는 총 cholesterol과 triglyceride의 변화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허리 둔부 둘레비는 혈청 지질의 수준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운동에 의하여 BMI와 체지방량은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고 혈청지질 중 triglyceride는 역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운동은 복부비만 여성에게 혈청지질 농도를 변화시켜 고지혈증이나 성인병의 유발을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HDL-C과 LDL-C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장기간 운동에 의한 신체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운동전, 혈청지질 간의 상관관계에서 총 cholesterol은 triglyceride, LDL-C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운동 후 변화량을 비교한 상관관계에서도 총 cholesterol과 LDL-C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허리 둔부 둘레비도 총 cholesterol과 triglyceride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여 체지방량 감소에 의하여 체형이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은 혈청지질 농도 개선에 전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이 LDL-C과 HDL-C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앞으로 허리 둔부 둘레비와 심혈관 질환과의 상관성도 깊게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CT 흉·복부 통합검사 시 선량분석 (Analysis of Exposure Dose According to Chest and Abdomen Combine CT Exam Method)

  • 모경환;한동균;임현수;전우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01-408
    • /
    • 2014
  • 본 연구는 CT로 흉부와 복부를 모두 검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흉 복부를 1회에 통합으로 검사하는 경우와 2회에 걸쳐 흉부와 복부로 분할 검사하는 경우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여 두 검사방법 간 피폭선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흉 복부 통합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3월까지 E종합병원에 내원하여 흉부와 복부 CT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선량 분석에서 흉 복부 통합 검사 시 남성이 받는 유효 선량은 $33.10{\pm}2.75mSv$, 여성이 받는 유효 선량은 $31.66{\pm}3.12mSv$으로 나타났고, 흉부 단독 검사 시 남성이 받는 유효 선량은 $9.07{\pm}2.62mSv$, 여성이 받는 유효 선량은 $8.30{\pm}2.18mSv$으로 나타나, 남성의 피폭량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 < 0.05). 동일 성별 내에서 통합검사 시의 피폭량과 분할검사 시 피폭량의 합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 > 0.05), 각 검사 별 피폭선량은 통합검사, 흉부 단독 검사, 복부 단독 검사 시에 모두 환자권고선량(DRL) 보다 높았다(p < 0.05). 결론적으로 흉 복부 통합 검사는 분할검사 시와 비교하여 피폭선량에 차이가 없었으며, 주기적으로 흉부와 복부 CT 검사를 실시하여 추적조사를 시행하는 환자와 응급 외상환자 등에게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주고 조영제의 부작용 위험의 가능성을 줄여 줄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마라소스 주원료인 고추 및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Effects of Red Pepper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Ethanol Extract, Main Ingredient of Mara Source)

  • 공연희;최금부;김태석;여익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44-15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중국 사천지역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확인 후,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중국 사천지역 고추,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투여 후 체중, 간과 복부 피하지방 무게,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고추 및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HCA(hydroxyl citric acid)를 경구투여한 군의 6군으로 분류하여 8주간 사육 후, 체중, 간, 피하지방,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간, 복부 피하지방, 혈장지질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 8주 후 고지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켰고, 복부 피하지방 양은 고지방군 3.77 g, 고추군, 산초군, 고추와 산초복합군은 각각 0.88 g, 0.9 g, 0.97 g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복부 피하지방 양을 감소시켰다(P<0.05).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혈액 내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고지방군에 비해 고추, 산초 및 고추와 산초복합군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P<0.05)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콜레스테롤의 분해 및 배설을 촉진하여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량을 감소시켜, 고추 및 산초에탄올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만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딥러닝 기반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 자동 검출 기법 (Deep Learning-based Automated Detection of Radio-Opaque Markers in X-Ray Images)

  • 송영민;이병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0-43
    • /
    • 2017
  • 본 논문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대장통과시간(Colon Transit Time, CTT) 검사를 위한 단순복부 X-Ray 영상에서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Radio-opaque Marker)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대장통과시간 검사는 대장의 운동질환을 평가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특히 만성 변비증 환자의 병태생리에 따른 유형 분류와 치료 계획을 설정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내과적 또는 외과적 치료 후 평가에도 유용한 검사이다. 대장통과시간 검사는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가 내재되어 있는 캡슐을 복용한 뒤 주기적으로 단순복부 X-Ray 촬영을 통해 구간별로 남아있는 표지자의 수를 세고, 이를 통해 구역별 통과시간을 측정한다. 이 과정에서 판독의가 직접 표지자의 위치 및 개수를 세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선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X-Ray 영상 내에서 표지자의 위치를 자동 파악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대사증후군의 개요 (Review of the Metabolic Syndrome)

  • 이은미
    • 보험의학회지
    • /
    • 제26권
    • /
    • pp.13-20
    • /
    • 2007
  • 대사증후군은 비만,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나 내당능 장애가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도 점차 비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대사증후군에 대한 간단한 개념 정리를 하였다. 먼저 대사증후군의 정의와 진단기준을 살펴보았다. 1998년 대사증후군을 명명하고 진안기준을 제시한 WHO 진단기준, NCEP-ATP III 진단기준,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진단기준을 살펴보고, 기타 인종에 따른 허리 둘레 기준 및 IDF 정의를 살펴 보았다. 또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도 다시 확인해보고, AHA/NHLBI 진단 기준도 살펴 보았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연구에서 NCEP-ATP III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복부 비만 허리둘레 남자 102cm 이상, 여자 88cm 이상, 중성 지방 150mg/dl 이상, HDL-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mg/dl 미만, 혈압 130/85 mmHg 이상, 공복 혈당 110mg/dl 이상이다. 복부 비만의 경우는 2000년 제정된 WHO 서태평양 지역 기준인 남자 90cm, 여자 80cm 이상으로 적용하고 있다. 다음 치료의 기본 개념을 간단히 언급 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우선적으로 생활 습관의 개선을 꼽을 수 있으며, 기타 약물요법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등이 있다. 우리나라 에서도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병이 점차 사망 원인의 우위를 차지 하고 있으므로 대사증후군을 초기에 진단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생명보험사도 대사증후군을 하나의 증후군으로 인식하여 대사증후군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삼비만약침과 매선요법을 병행한 복부비만 치료의 임상 효과 증례보고 (A Case Series: The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and Thread Implantation Therapy on Abdominal Obesity)

  • 신미숙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50
    • /
    • 2013
  • 5명의 복부비만 환자에게 산삼비만약침과 매선요법을 병행하여 주 2회, 총 4회 치료를 실시한 결과 체지방 1.36 kg, 허리둘레 3.98 cm 감소하였다. 산삼비만약침과 매선은 부분비만에 대한 치료효과가 분명히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개별 치료효과에 대한 판정, 혈액검사를 통한 치료효과의 확인, 안전한 치료용량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Conjugated linoleic acid와 γ-oryzanol 혼합물의 생쥐 체지방 및 복부지방 감소 효과 (Reduction of Visceral and Body Fats in Mice by Supplement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with γ-Oryzanol)

  • 변재일;오태우;김영숙;문연규;박철우;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12-1218
    • /
    • 2008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와 $\gamma$-oryzanol (OZ) 혼합물의 mouse 체지방 및 복부지방 감소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Female ICR mice (10주 령)을 몸무게 차이가 없도록 Control (70 ${\mu}l$ olive oil + 30 ${\mu}l$ CLA), CLA-OZ 1 (70 ${\mu}l$ olive oil + 30 ${\mu}l$ CLA + 0.5 mg OZ), CLA-OZ 2 (70 ${\mu}l$ olive oil + 30 ${\mu}l$ CLA + 1.0 mg OZ), OZ (100 ${\mu}l$ olive oil + 1.0 mg OZ) 및 Olive oil (100 ${\mu}l$ olive oil)로 구분하였다. 처리시료는 매일 4주간 경구투여 하였고 식이와 물은 자유롭게 먹게 하였다. 시료처리 4주 후에 mice의 몸무게를 달고 탈골법으로 sacrifice하여 전체몸무게, 복부지방 무게, 장기와 복부지방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 무게 (empty carcass weight: ECW)를 측정하였다. CLA (control) 처리는 olive oil 처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몸무게, ECW, 복부지방 및 체지방을 감소시켜 CLA가 복부지방 및 체지방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CLA-OZ 1 처리는 OZ 처리에 비해서는 복부지방 및 체지방을 유의성 (p<0.05) 있게 감소시켰으나 CLA (control) 처리에 비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CLA-OZ 2 처리는 control 처리 및 OZ 처리에 비해 복부지방 및 체지방을 유의성 (p<0.05) 있게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CLA와 OZ를 혼합하여 처리한 mice에서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mice에서보다 복부지방 및 체지방이 많이 감소되어 OZ가 CLA의 지방감소 작용에 상승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조영제 주입 전 1.5T 와 3.0T를 이용한 복부장기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의 질 비교 (Comparison of Image Quality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Abdominal Organ at 1.5T and 3.0T before the Gadolinium Injection)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619-625
    • /
    • 2017
  • 본 연구는 조영제 주입 전 복부 검사 시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HASTE, HASTE(f/s), FFE(in, out)를 중심으로 두 기기에 대한 복부장기의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 Contrast to Noise Ratio)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서 최적의 장비선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데이터분석은 1.5T 와 3.0T 자기공명영상기기(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를 이용하여 검사한 복부영상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결과 간(Liver), 신장(Kidney), 비장(Spleen)에서는 1.5와 비교했을 때 3.0T가 SNR, CNR 값이 높게 나타났고(p<0.05), 위(Stomach), 복부지방(Abdominal Fat), 췌장(Pancreas)에서는 1.5T 가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결론적으로 두기기별 장기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했을 때 인체의 바같 부분 조직은 전반적으로 3.0T 가 높게 나타났고 가스를 포함하여 자화율의 차이를 많이 발생시키는 안쪽부분의 장기는 1.5T 가 높은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상태에 따라 조영제를 사용하지 못하고 MRI 검사를 하는 경우 정확한 진단학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