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편과학

Search Result 37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구성적 인공지능 (Constru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박충식
    • 인지과학
    • /
    • 제15권4호
    • /
    • pp.61-66
    • /
    • 2004
  • 서양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데카르트의 이성주의적 인간이해의 반성으로부터 등장한 구성주의는 지능을 포함한 인간이해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구성주의는 진화생물학, 진화심리학, 뇌과학, 시스템이론, 복잡계 이론의 성과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문사회학의 경향과도 설명을 공유할 수 있는 많은 부분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구성주의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인공지능에서 다루는 지능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방법론에 대한 검토와 그러한 경향에 있는 일부 인공지능 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여러 가지 관점의 마음에 대한 이론과 기술을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하고 다소 등한히 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보편지능(general intelligence)의 토대로 삼고자 한다.

  • PDF

근대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science]'에 대한 유학적 성찰 (Neo-Confucian Study of Modern 'Science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學])

  • 박정심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141-170
    • /
    • 2014
  • 근대 science를 '격물치지학'으로 번역한 것은 객관사물[만물(萬物)]에 내재한 보편적 천리[리일(理一)]를 과학적 자연법칙으로 국한시켜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근대적 문명국이 신학의 효력 때문이라고 판단한다면, 신학(新學)을 수용하는 것이야말로 근대적 문명에 이르는 지름길일 수밖에 없었다. 신학의 정수(精髓)였던 격물치지학[science]은 전근대적인 유학의 도덕(道德)문명에서 서구적 근대문명[civilization]으로 '보편문명의 전이(轉移)'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것이었다. 서구근대적 문명인식과 과학적 사유방식은 인간 역시 과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여기게 하였다. 몸에 관한 과학적 탐구는 해부학에서 생리학 및 인종학 등으로 발전하였다. 인간에 관한 과학적 탐구는 사회다윈주의 수용과 맞물려 더욱 공고화되었다. 사회다윈주의적 현실인식은 그들처럼 되는 것[문명화]만이 가장 시의적절한 선택인 것처럼 오도(誤導)하였으며, 더 나아가 강자의 침략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강제하였다. 그러나 과학적 보편주의는 곧 군국주의와 제국주의침략을 정당화했다는 점에서 폭력적 야만이었다. 격물치지학의 근대적 폭력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가능하게 했던 사유가 바로 유학이었다. 당시 서구적 문명과 삶이 곧 진보요 발전이 되면서 유학은 전근대적 삶의 양식으로서 낡고 쓸모없는 것으로 치부되었다. 하지만 문명성과 폭력성을 동시에 지닌 야누스적 타자에 대한 주체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이념으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이항로가 성리학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서양의 과학기술을 양화론(洋禍論)으로 규정하였다면, 박은식은 과학기술이 군국주의의 도구로 전락했던 측면을 비판하였다. 그동안 우리는 서구적 근대성을 전범으로 삼아 전통철학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치중하였다. 한국 근대를 서구문명에 대한 모방과 번역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은 식민주의를 재생산하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근대 유럽중심주의의 폐해를 넘어서 한국 근대를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유학적 자산은 재음미할 필요가 있다. '무성무물(無誠無物)'은 과학기술이 삶을 도리어 황폐화시키는 기술만능주의시대에 문명다움 즉 이시대의 바람직한 인간다움과 기술다움을 성찰할 수 있는 도덕성의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바른 몸-사람다움[성신(誠身)]'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이해와 인간이 마주하고 선 '참된 자연'에 대한 인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성(誠)] 때문이다. 삶의 맥락에서의 바른 몸은 성(誠)하고자 함[성지(誠之)]을 통해 시중(時中)을 실현하는 주체로 거듭나야, 비로소 물(物)과도 바른 관계맺음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 장애인재활 60년의 분석과 재활의 방향성 (Analysis and Direction of Korea Rehabilitation for the Past 60 Years)

  • 나운환;이임규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1-24
    • /
    • 2014
  •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 60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의 사회 환경, 장애 관점, 재활 패러다임과 재활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장애인 재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장애인 재활 60년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먼저, 한국의 장애인은 사회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비장애인과 30년 정도의 격차가 있었으며, 둘째, 장애인 재활에 영향변인인 사회환경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 지식정보, 융합사회로 급격하게 변화되었으며, 셋째, 장애 관점은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점차 사회적 모델로 전이되고 있으며 재활 패러다임도 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한 치료와 교육, 훈련 패러다임에서 장애인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보고 사회의 성원으로서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넷째, 재활정책은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복지 정책에서 권리기반 정책으로 옮겨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 한국 재활의 방향성은 먼저, 보편적 장애 관점을 조속히 정착시켜야 하며, 둘째, 재활 패러다임을 총체적, 보편적 서비스를 강조하는 흐름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셋째, 재활 정책의 목표는 평등, 정책 수단과 대상은 보편적 서비스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Appraisal Process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 김명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187-214
    • /
    • 2008
  • 본고에서는 기록물의 내용이 아닌 기록이 생성된 기능에 기반을 두고 행해지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전자기록 환경에서 기능평가는 가장 보편화된 평가방식으로, 기록물의 생산 이전단계부터 수행되는 연속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형성하게 된다. 종국적으로 기능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는 업무맥락 및 기록품질을 지님과 동시에, 조직의 영위 및 업무 수행에 필수적인 전자기록을 선별해 주게 된다.

정밀계측기의 최근 동향 (Recently review of precision instrument)

  • 한응교
    • 오토저널
    • /
    • 제9권1호
    • /
    • pp.3-8
    • /
    • 1987
  • 자연과학은 계측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전하고 있다고 보아도 된다.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정상 적이 아닌 정량적으로 엄밀하고도 정확하게 잡아냄으로서 비로소 한 사물과 다른 사물과의 관련 성과 인과관계를 적절하고도 확실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 최근 전자공학의 발달로 어제의 정밀 계측기와 오늘의 정밀계측기의 성능이나 면모가 일신되어 그 변화발전의 속도가 다른 분야보다 훨씬 앞지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사물을 정상적으로 인식하는 패턴(pattern)과 같은 인식기술 또한 첨단계측기술이라 하겠으나, 이는 목적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불충분하며 수치로써 표현됨으로써 비로서 보편적이고도 타탕성이 있다고 보게되며, 적합하고도 확실한 정 보를 입수하며 지식을 잘 다듬음으로써 비로서 다른 사물에 잘 응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공업적인 기술에 있어서 이 계측은 모든 것의 기초가 되며 계측기의 발달은 바로 그 분야의 문제해결과 적결되어서, 그 분야의 학문과 기술을 보다 한발 전진시켜주는 요인이 된다고 보아서 앞으로의 정밀계측기의 개발연구는 더울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자동차공업은 하나의 종합된 정밀기계공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매년 우리나라 자동차생산은 증 대일락에 있고 그 수출량 또한 증가되어 품질보증은 그 어느때보다도 요구되고 있어, 과학의 기초인 계측에 관해 기초개명에서부터 최근의 정밀계측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분류 및 발전방향 (Classification of SNG (Social Network Game) and Its Future)

  • 안광림;김성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64-1567
    • /
    • 2011
  • SNG(social network game)은 최근 보편화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으로 단순한 인터페이스와 진행방법을 제공하는 캐주얼 게임 위주로 서비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적관계를 형성시켜주는 SNS 의 정의 및 SNS 에서 발전된 게임모델인 SNG 를 정의하고, SNS 와 SNG 의 결합모델을 3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사례에 대해 분석한다. SNS 기반 SNG 서비스 모델로, SNS 서비스 1 위 업체인 Facebook 을 중심으로 소개하였으며,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규모 및 서비스되고 있는 SNG 의 진행방식 및 특징을 설명한다. 다른 결합유형으로, 기존 온라인 게임 기반의 SNS 서비스 및 신규 SNS/신규 SNG 모델을 소개하고 각각의 예를 소개하였다.

NVIDIA Tegra와 Tesla GPU에서의 CPU-GPU 데이터 전송성능 연구 (A Performance Study on CPU-GPU Data Transfers of NVIDIA Tegra and Tesla GPUs)

  • 권오경;구기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42
    • /
    • 2021
  • 최근 HPC, 인공지능에서 GPU 성능이 향상되면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GPU 프로그래밍은 난이도 측면에서 여전히 큰 장애물이다. 특히 호스트(host) 메모리와 GPU 메모리를 따로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편의성과 성능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CPU-GPU 메모리 전송프로그래밍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NVIDIA Tegra 장치들과 NVIDIA SMX 기반 V100 GPU 카드에서 CPU-GPU 데이터 전송 기법별로 성능비교를 하고자 한다. 특히 NVIDIA Tegra 장치는 CPU와 GPU 통합메모리를 제공하고 있어서 CPU-GPU 메모리 전송방법의 관점에서 기존 GPU 장치와 다른 성능 특징을 보여준다. 성능비교를 위한 실험 워크로드는 HPC 응용프로그램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2차원 행렬 전치 예제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각 GPU 장치별로 CPU-GPU 메모리 전송 방법에 따른 GPU 커널 성능차이, 페이지 잠긴 메모리와 페이지 가능 메모리의 전송 성능차이, 마지막으로 전체 성능비교를 하였다.

블루베리 잎 이미지를 이용한 잎맥 밀도 산출 시스템의 구현 (A Leaf Vein Density Calculation System Using Blueberry Leaf Images)

  • 장경주;박은석;최동환;김영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95-297
    • /
    • 2023
  • 채식이 점차 보편화되어감에 따라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양질의 작물 생산 및 신품종 개발 필요성도 커져가고 있다. 이 때 식물의 건강 상태나 당도, 식감 등의 품질 조사를 위해서는 표현형 데이터 획득이 필수적이다. 표현형이란 식물의 잎과 줄기, 과실 등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의미하며, 잎맥밀도도 중요한 표현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를 연구자가 수작업으로 조사할 경우에는 시간과 노동력 소모가 크며 측정 인력이나 측정 환경에 따른 오차도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잎 이미지에서 잎맥을 추출하여 잎맥 밀도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작물 생산 자동화 및 신품종 개발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보편적 학습 설계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4학년 과학 디지털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G4 Science Digital Textbook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서정희;성정희;구양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442-458
    • /
    • 2011
  • Digital textbook project is one of government-driven project to improve education due to integrating technology. Digital textbook need to be universally designed to fit for each student. Recentl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gains great attention as one of promising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xtbook through giving various options and flexibility to all students. UDL has three main principles, first provide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second provide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third provide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 according to three UDL guidelines and suggest implications to improve an existing science textbook.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urth grade science digital textbook has been partly applied UDL guidelines like implementing multimedia and multi- mode contents, learning and communication tools, and motivation strategies. But options which students can choose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styles are insufficient and tools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need to enhance for helping each student to overcome his/her obstacles for learning and need to be more and elaborate to support learner-centered science digital textbook.

황우석 사태는 얼마나 한국적인가? : 황우석 사태의 보편성과 특수성 읽기

  • 이영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23-46
    • /
    • 2007
  • 이 글은 황우석 사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황우석 사태에 대한 정의도 뚜렷이 내리지 않고 그 용어를 쓰고 있으며, 아울러 황우석 사태를 대체로 한국적 후진성을 반영하는 현상으로 묘사하는 것은 나름대로 수긍할만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황우석 사태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황우석 사태는 여성들의 난자들에 대한 비윤리적 사용 의혹에서 비롯되어 논문조작 의혹이 제기되고 그 의혹들이 맞는 것으로 밝혀지는 일련의 과학적 부정행위 규명과, 그 과정에서 논문조작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이 보여준 황우석에 대한 비이성적 지지 현상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황우석 사태를 이렇게 정의할 때, 우리는 황우석 사태가 세계적으로 볼 때 보편적 성격과 특수적 성격 모두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논문조작에 초점을 두고 황우석 사태를 보면 황우석 사태는 한국만의 현상이 아니라 세계사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 구조적 원인으로는 과학자간 경쟁의 격화와 업적주의의 강화를 들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논문조작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황우석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적인 지지가 지속되었던 점에 초점을 두고 황우석 사태를 보면 황우석 사태는 다른 나라들에서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한국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현상의 근원에는 대체로 한국인들이 지니고 있는 한의 정서가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