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and Direction of Korea Rehabilitation for the Past 60 Years

한국 장애인재활 60년의 분석과 재활의 방향성

  • Na, Woon Hwan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Daegu University) ;
  • Lee, Im Kyu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Daegu University)
  • 나운환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직업재활학과) ;
  • 이임규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Received : 2014.10.31
  • Accepted : 2014.12.22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disability perspective and rehabilitation paradigm of Korea rehabilitation for the past 60 years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 for rehabilitation of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of all, there is a disparity of 30 years between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perspective of social inclusion in Korea. Second, social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ffective variable on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it has been rapidly changed from agrarian society, going through industrial society and intellectual society, to convergence society. Third, disability perspective has been changing to universalist model with change of the social environment and also paradigm of the rehabilitation has been changing from the target of treat,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member of society that can empower and support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th, rehabilitation policies have been changing from the welfare policies to the empowerment policies in company with change of paradig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 First, universalist model have to be permeated in the society at large. Second, rehabilitation paradigm should change to emphasize the holistic and universalist perspective. Third, the main purpose of rehabilitation policies are equality, mean and target of the policies are to emphasize universal services.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 60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의 사회 환경, 장애 관점, 재활 패러다임과 재활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장애인 재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장애인 재활 60년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먼저, 한국의 장애인은 사회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비장애인과 30년 정도의 격차가 있었으며, 둘째, 장애인 재활에 영향변인인 사회환경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 지식정보, 융합사회로 급격하게 변화되었으며, 셋째, 장애 관점은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점차 사회적 모델로 전이되고 있으며 재활 패러다임도 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한 치료와 교육, 훈련 패러다임에서 장애인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보고 사회의 성원으로서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넷째, 재활정책은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복지 정책에서 권리기반 정책으로 옮겨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 한국 재활의 방향성은 먼저, 보편적 장애 관점을 조속히 정착시켜야 하며, 둘째, 재활 패러다임을 총체적, 보편적 서비스를 강조하는 흐름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셋째, 재활 정책의 목표는 평등, 정책 수단과 대상은 보편적 서비스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