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교사의 전문성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2초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Child 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 양연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41-256
    • /
    • 201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이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지원할수록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높고, 이직 및 전직의도가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교사 및 원장과의 관계, 교사의 자율성과 의사결정이 낮을수록 높았다. 전직의도는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가 낮을수록 높았다. 셋째, 전문성지원 환경과 전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전문성지원환경이 열악하다고 인식하는 보육교사는 낮은 보육효능감을 갖게 되며, 이는 다른 직업으로의 전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Educ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s,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Quality of Childcare Curriculum Implementation)

  • 이성혜;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75-93
    • /
    • 2013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육풍토와 전문성 인식이 교사/시설 특성과 더불어 보육과정 운영의 질을 예측하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7명의 보육교사들이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 그리고 보육과정의 운영 간에는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교육풍토의 하위영역인 존경과 인정풍토, 교사/시설 특성인 어린이집 유형, 그리고 전문성의 하위영역인 사회봉사성이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Job Performance)

  • 정문경;양경희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3호
    • /
    • pp.59-70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직무성과를 높여 교사 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직무 만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SPP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적 지식과 이해, 기술, 태도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 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에 대한 수준이 높았으며, 전문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자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 유형별에 맞는 운영 방안을 개발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육관련 행정기관이나 지자체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보육교사 전문성과 직무성과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인 교육, 연수 및 워크샵 등을 실시하여 보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바람직한 전문성 및 효율적인 조직목표달성을 위한 어린이집 전문성 수준의 증진 방안과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성과를 높여 교사 효능감을 증진 시키고 직무 만족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 권미성;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7-296
    • /
    • 2013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교사보다 30대 이상의 교사에게서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경험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수준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평가인증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평가인증경험이 2회 이상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평가인증경험이 없는 집단과 1회인 집단보다 평가인증경험이 2회 이상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수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교사의 연령, 경력, 평가인증경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에,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행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과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과 민간·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전문성 지원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 문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40-146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 내적 변인인 직무만족도와 환경 변인인 전문성 지원환경의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 I, G 지역의 보육교사 625명(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343명, 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282명)이며, 연구도구로는 Ro가 제작한 TJSQ, Williams가 제작한 PLEI, Allen과 Meyer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검증, Pearson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가 국·공립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과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모두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지원환경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이직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지원환경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전문성 지원환경의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음으로써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꾀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Learning Ag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Job Satisfaction)

  • 최진숙;하정윤;김대명;강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6-1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 지역의 보육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보육교사들이 전문성 인식과 긍정심리자본에 있어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문성 인식, 긍정심리자본, 학습민첩성의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 연수과정과 컨설팅 등을 지원하여 스스로 전문직업인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하고 나아가 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며 수직적인 어린이집의 운영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n Childcare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on Childcare of Infant's Right Respect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ofessionality)

  • 전현희;이보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56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전문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간 관계에서 전문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자기성찰지능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전문성은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실행하는데 의미 있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위해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The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erm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rincipal's Position, Certificate Level, Expertise Level)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