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도공간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Efficient Managing Plans of Walking Spaces of Sungseo Roadside in Taegu (대구시 성서로변 보행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Ham, S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3
    • /
    • pp.542-557
    • /
    • 1996
  • 경제적인 풍요가 어느정도 이루어지면서 깨끗한 도시환경속에서 삶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되었다. 이를 반영하듯이 최근들어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어느때 보다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도시계획적 흐름도 물적계획에서 비물적계획인 인간중심 위주의 가치관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공원녹지체계의 정립, 도시경관관리방안, 자전거도로의 도입, 보행자도로의 계획과 설계, 대중교통의 활성화 등 많은 환경친화적 프로젝트들이 수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도 기존의 주요 보행자공간으로 다루어져 온 보도공간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으며, 도심의 외곽에 위치하고는 있지만 대구시의 남북을 관통하는 주요간선도로변에 접해 있고 보행량에 비해 보도가 지나치게 넓어 비효율적인 토지이용을 보이는 보도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도심의 외곽지 보도에 관한 연구는 통행량이 많은 도심지의 상업지나 주택지의 보도에 밀려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 가운데 대표성과 보편성을 가지는 곳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존의 단순목적 보도공간을 4개의 공간 즉 보행자공간, 자전거도로공간, 차단 및 가로시설공간, 녹지 및 편익공간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는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보행의 순기능인 쾌적성과 안전성을 보다 강화시켜나갈 수 있었다. 매연과 소음이 없고 도시민의 건강성를 확보한다는 이유로 여러 선진국에서는 수 년전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보행교통과 자전거교통의 개념인 녹색교통이다. 이러한 녹색교통은 공해감소의 편익도 있지만 무엇보다 매력적인 도시환경의 창출과 인간중심적이라는 가치관에 그 의의가 있겠다.

  • PDF

Contributory Negligence Study on Traffic Accident in Area Between Crosswalk and Stop Line at Intersections (횡단보도와 횡단보도 정지선간 이격공간에서의 과실상계 연구)

  • 신성훈;장명순;김남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5
    • /
    • pp.41-48
    • /
    • 2003
  • Korea Claim Adjustor Association(KCAA) defines the near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as those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area within 25m from pedestrian crossing on the arterial road and within 15m from pedestrian crossing on other classes of road. Accidents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are classified as the accident near pedestrian crossing. Reviewing of current statute and court precedent, three kinds of traffic accidents which are accidents occurred in the pedestrian crossing. near pedestrian crossing and the area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should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pedestrian contributory negligence. To find out how different they are. we surveyed transportation society members about the contributory negligence of traffic accidents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urrent two classification of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and near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should be changed to three classification of pedestrian crossing accidents that includes accidents on pedestrian crossing, near pedestrian crossing and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the stop line. (2) For the pedestrian's contributory negligence, the least reasonability to pedestrian is accident on the pedestrian crossing. The next one is the accident between pedestrian crossing and stop line and the last is the accident near pedestrian crossing. (3) Pedestrian contributory negligence for accident by space is recommended as 〈table 8〉, 〈table 9〉, 〈table 10〉. (4) Contributory negligence rate of the accident on the pedestrian crossing during red light should be modified to be less than that of near pedestrian crossing.

아파트 외부공간에 따른 블록포장의 하자 연구

  • Park, Geun-Hye;Jang, Cheol-Gyu;Lee, U-Seong;Jeong, Se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03-105
    • /
    • 2017
  •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A'아파트를 중심으로 진입로, 보도, 보차도, 휴게공간, 체육공간의 점토벽돌블록포장, 소형고압블록포장, 인조화강석블록포장에 대해서 발생 하자를 조사하였다. 먼저 하자분석을 위해 하자유형 및 종류를 정의하여 현장조사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공간 및 블록종류에 따른 하자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입로의 소형고압블록은 16.14개/$m^2$, 보도의 소형고압블록은 12.04개/$m^2$, 점토벽돌블록포장은 9.55개/$m^2$, 인조화강석블록은 3.66개/$m^2$로 나타났다. 보차도의 소형고압블록은 10.82개/$m^2$, 인조화강석블록은 2.59개/$m^2$, 휴게공간과 체육공간의 점토벽돌블록은 각각 13.64개/$m^2$, 6.02개/$m^2$개의 하자가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블록별 발생하자 종류를 살펴보면, 소형고압블록에서는 골재분리, 인조화강석블록에서는 얼룩이 가장 많았고, 점토벽돌블록은 보도에서는 침하가, 휴게공간과 체육공간에서는 얼룩의 발생량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하자발생부위별로 살펴보면 진입로, 보도, 보차도에서는 경계부의 하자가 많이 발생했으며, 휴게공간에서는 중앙부의 하자가 많이 나타났다. 반면 체육공간에서는 중앙부와 경계부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Installation Locations of Crosswalk Marking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교차로 내 횡단보도 설치 위치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 이호원;장덕명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95-195
    • /
    • 1998
  • 보행자 사고는 총 교통사고의 32.9%(사망 5,070명, 부상 87,943명)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횡단보도 사고는 13.0%(사망 542명, 부상 10,056명)로 대책이 시급하다. 교차로 내에서 횡단보도의 위치가 부적절하면, 보행자 안전과 차량 교통소통에 악영향을 준다. 또한 우리 나라에선 명확한 기준이 없어 횡단보도 노면표지 설치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1) 차량 정지선이 횡단보도 전방에 설치되어 진행 차량이 횡단보도를 통과하여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우, 2) 횡단보도가 측면차량 진행방향의 연석선상(가각선의 끝 지점)에 근접하여 설치된 경우, 3) 횡단보도가 측면 좌·우회전 차량1대가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의 약 4∼5m 후방(가각선의 시작지점)에 설치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량소통 및 보행자/차량 상층에 분석하여 교차로 내 횡단보도 위치기준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횡단보도 내 보행자 관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둘째 교차로에서 보행자 및 차량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셋째 횡단보도 설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Development of Smart Curb Technology Supporting for the Crosswalk Safety Service (횡단보도 안전보행 서비스 지원을 위한 스마트 연석 기술 개발)

  • Kang, Wang-Kyu;Han, Jin-Woo;Park, Jung-Kwon;Woo, Byong-S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7-10
    • /
    • 2009
  •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퀴터스 정보 처리를 도시공간에 융합해서 도시민에게 편리하고, 건강하며,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누리도록 하는 목표로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신개념의 도시이다. 도시기반시설인 도로는 이러한 u-City를 구축하는데 있어 핵심 구성요소 이지만, 도로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명사고는 u-City의 목표인 안전한 도시를 구축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도시 구축을 위하여 USN 기술을 활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지원하는 시마트 연석에 대한 개념과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한다. 스마트 연석은 도로 연석과 동일한 크기로 설치되어 지상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주위 환경과 잘어울리며, 상부 모서리에 경광등이 점멸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 지역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측면에서 바닥비춤조명을 비춤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Alternative to Improve the Lighting of Crosswalk on Rural Highways (지방지역 도로 횡단보도 조명 개선 방안)

  • Lee, Suk-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435-443
    • /
    • 2013
  • While rural highways carry on lower traffic volumes, the deviations of running speeds between vehicles appear to be higher on rural highways than urban highways. The speed characteristic of rural highways is adding to pedestrian-related accidents which occur on a crosswalk with poor sight distance due to the limits of car headlights and lighting. Specially, the aged was mostly occupied in nighttime-related accidents on crosswalks, and pedestrians crossing on the far side of approaching vehicles appear to have the probability of fatality higher than the near side. An alternative is needed to resolve the compounded accidents, and then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approach to an optimum lighting environment on a crosswalk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survey and a field study on the lighting of existing crosswalks. The field study shows that the existing lighting has the problem of wasting energy and impeding walking due to glare. The survey shows that nighttime sight distance on a crosswalk is required to improve and that road users prefer to be brighter pedestrian waiting space together with the crosswalk. Thus, a lighting environment that is not too bright and illuminates the crosswalk and the pedestrian waiting space is needed to implement.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of Pedestrian Crossing Capacity at Unsignalized Crosswalks with Pedestrian Refuge Area (중앙분리대 대기공간이 있는 비신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횡단용량 모형식 개발)

  • 김상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103-111
    • /
    • 2003
  • This study proposes methodology deterimining a basic pedestrian crossing capacity that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signal at the crosswalks. The methodology is based on the pattern of vehicle arrived at the crosswalks. Erlang distribuion is used as headway distribution that can cover the various levels of flow rate. Models using Erlang distribution are represented by Erlang parameter (K) of 1, 2, or 3 at 2-, 4-, or 6-lane roadway in both directions.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only type of road with a pedestrian refuge area in the median that is used to wait for the allowable gap provided by the flow of another direction. As a result, the pedestrian capacity decreases as flow rate increases and Erlang parameter increases for the road with the pedestrian refuge. This study develops the models to determine the pedestrian capacity under a variety of flow rates and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signal or for the provision of pedestrian refuge in the median of road.

Study on the Chinese Research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sign for the visual disability people (중국 시각장애인 보도블록 안내시스템 현황에 대한 최적화 연구)

  • Qian, tao;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9-270
    • /
    • 2015
  • 본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행위감지 및 공간적 특성과 관련하여, 중국의 시각장애인 보도블록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연속성과 안전성 보장을 기초로 안내기능을 융합한 최적화 디자인을 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시각장애인 보도블록의 기능성을 안정화, 표준화시켜 시각장애인의 외출에 편의를 제공해야 하는 관점을 밝히고 있다.

  • PDF

The Design Concept and World-wide Trend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Footbridge (보도육교 구조디자인의 세계적 추세와 설계개념)

  • Park, Sun-Woo;Lee, Ju-Na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4 no.2 s.12
    • /
    • pp.107-115
    • /
    • 2004
  • A vocabulary for a understanding bridge has a different scop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odem footbridge are appropriateness, aesthetics and structural efficiency. Design concepts of footbridge design are investigated. There are functional concepts, aesthetical concepts like geometry, symbolism, lighting, and movement, and technical concepts. Futhermore, adaptation examples of these structural concepts for pedestrian bridges are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