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lternative to Improve the Lighting of Crosswalk on Rural Highways

지방지역 도로 횡단보도 조명 개선 방안

  • 이석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OC성능연구소 도로연구실)
  • Received : 2012.12.24
  • Accepted : 2013.03.11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While rural highways carry on lower traffic volumes, the deviations of running speeds between vehicles appear to be higher on rural highways than urban highways. The speed characteristic of rural highways is adding to pedestrian-related accidents which occur on a crosswalk with poor sight distance due to the limits of car headlights and lighting. Specially, the aged was mostly occupied in nighttime-related accidents on crosswalks, and pedestrians crossing on the far side of approaching vehicles appear to have the probability of fatality higher than the near side. An alternative is needed to resolve the compounded accidents, and then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approach to an optimum lighting environment on a crosswalk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survey and a field study on the lighting of existing crosswalks. The field study shows that the existing lighting has the problem of wasting energy and impeding walking due to glare. The survey shows that nighttime sight distance on a crosswalk is required to improve and that road users prefer to be brighter pedestrian waiting space together with the crosswalk. Thus, a lighting environment that is not too bright and illuminates the crosswalk and the pedestrian waiting space is needed to implement.

지방부 도로는 도시부 도로에 비하여 교통량은 적은 편이나 주행속도가 높으며 그 차이가 도시부 도로에 비하여 큰 편이다. 이러한 지방부 도로의 주행 특성은 연속조명이 없는 구간에서의 시거불량, 불필요한 신호 대기로 인한 운전자 인내심 자극 및 신호 위반을 조장하여 보행자 사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횡단보도만 밝게 비추는 기존 조명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법과 기술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 횡단보도 조명의 문제점 및 한계는 너무 밝고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글레어(Glare)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 및 조명에 의한 통행이 방해되고 있다. 또한 지방지역 횡단보도 야간 교통사고는 주로 50~70세의 고령자에게 발생하였으며 자동차 진입 방향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보행자 이동시 사망자 수가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약 2.3배 높았다. 그 이유는 자동차 전조등 조사 범위의 한계로 인하여 보행자 인식 불능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횡단보도 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횡단보도 조명설치 현황 및 문제점과 이용자 서면 설문을 통한 횡단보도 조명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보행자 안전을 위한 최적 조명 방향을 설정하였다. 운전자 및 보행자에 대하여 서면 설문을 한 결과, 횡단보도 조명 설치로 인한 야간 시환경 개선일 필요하며 횡단보도 및 보행자 대기 공간까지 비추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너무 밝지 않고 횡단보도뿐만 아니라 보행자 대기 공간까지 비춰지는 조명환경 구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국도상의 횡단보도 조명시설물 설치기준(안), pp.97-103, 2006.
  2. 국토해양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pp.117-155, 2008.
  3. 김재영, 도로조명 실태 및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 (taas.koroad.or.kr), 2007-2011.
  5. 박주천,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설치효과 분석,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박태훈, 박주천, 박제진, 하태준, "횡단보도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설치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확회 학술대회, 2007.
  7. 산업자원부, KS A 3701, 도로조명기준, 2007.
  8. 유형균, 횡단보도의 조명환경 측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이창모, 이민욱, 김훈, "횡단보도 조명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보행자 인식 해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9.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조명시설 설치 및 시공표준화 지침, 1998.
  11. CIE 136, Lighting of Roads for Motro and Pedestrian Traffic, p.17, 2000.
  12. DIN 67523-1, 2, pp.5-8, 2010.
  13. EN 13201, pp.47-55, 2008.
  14. FHWA, Informational Report on Lighting Design for Midblock Crosswalk, 2008.
  15. FHWA, The Effect of Crosswalk Markings on Vehicle Speeds in Maryland, Virginia, and Arizona, 2000.
  16. J. D. bullough, X. Zhang, N. P. Skinner, and M. S. Rea, Design and Evaluation of Effective Crosswalk Illumination, New Jersey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Bureau of Research and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