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 수업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4초

치위생과 재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습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간의 학습몰입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김해경;조명숙;오나래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41
    • /
    • 2021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whether face-to-face studies should be substituted with non-face-to-face studies. Methods: Total 134 dental hygiene students, who underwent blend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las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1, were recruited. The research tools were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comprising 15 questions in tota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r=0.490, p<0.001) were positively interrelated,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lass environment had the biggest effect as a subfactor of class achievement, and it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class attitude and learning motive. The effe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ing flow was partially mediated by both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flow was directly related to blende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le use of blend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al subjects.

COVID-19 상황으로 인한 대면과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 학습몰입도가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Flow on Satisfaction with Practicum Programs i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amid COVID-19)

  • 정진희;이혜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um, confid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and learning flow, and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practicum program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for nursing students amid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9 junior nursing students from two colleges of nursing located in D and C city,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dows 23.0. Results: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in performance (r=.55, p<.001) and learning flow (r=.70, p<.001) in face-to-face class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practicum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idence in performance (r=.56, p<.001) and learning flow (r=.73, p<.001) in online clas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practicum were learning flow (β=.51,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β=.30, p<.001) for face-to-face classes, and motivation for application (β=.14, p=.034), learning flow (β=.58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β=.19, p=.015) for online classes. These factors explained 53% and 60% of the satisfaction with practicum in face-to-face classes (F=23.07, p<.001) and online classes (F=20.6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Learning flow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learning strategy progra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fundamental nursing skills practicum in both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 융합형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한 지식재산권 연계 사례 연구 (Case Stud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Convergence Capstone Design Class)

  • 고은미;박영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833-841
    • /
    • 2023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인문사회 전공인 유아교육과에서 융합형 캡스톤디자인 정규교과목을 운영하고, 그 결과물이 특허출원 및 등록이라는 유의미한 지식재산권 확보까지 이어질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인 학생들은 실습 등의 주요경험을 바탕으로 영유아 관련 현장 전반에 걸친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면서, 기존의 지식재산권 아이디어와 중복되는 부분을 검증하였다. 수행과정의 멘토링을 위한 산업체연계 및 융합형 과제수행을 위한 공학전문가의 참여가 진행되었으며, 이후 정교화과정을 거친 후 교내대회 수상작품들 중 5개팀이 특허출원 및 등록이라는 성과를 만들어낸 과정을 담았다. 이를 통해 창의적이고 실무역량이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을 넘어 지식재산권 확보 성과까지 연계되는 융합형 캡스톤디자인교육을 활성화하였다.

산업체 수요기반의 노인치위생학 및 실습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eriatric dental hygiene and practical education courses based on industry demand)

  • 최용금;윤지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50
    • /
    • 2023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산업체 수요기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노인치위생학 교육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에 따른 전공역량달성도, 노인치위생과정 인식, 수업만족도의 전후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분석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요인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p<0.05). 결과: 전공역량달성도의 경우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을 수행 후 '노인과의 의사소통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31). 고찰: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은 산업체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노인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현장실무전공역량이 더욱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기연구를 통한 간호대학 온라인강의 학습정서 탐색 연구 (Exploring Learning Emotions for Online Lectures of Nursing College Learners: Through diary)

  • 이나경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7-39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하여 수강방식의 변화를 맞은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 강의 경험에 대한 학습정서를 일기를 통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하고자 수행하였다. 목적적 표집법에 따라 4년제 간호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부터 12월 동안 일기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4개의 주제모음과 17개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도출된 주제 모음으로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혼란으로 인한 불안감', '나 자신을 탓하게 됨', '안정된 수업환경 조성이 어려움으로 인한 좌절감', '발전적 인간관계 형성이 없음으로 인한 무력감.'으로 나타났다.

초등 학교 교사의 보건수업 행동 평가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Self-evaluation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 오문식;박영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9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teachers' self-evaluation on their health teaching behaviors, then to furnish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improve teachers' health teaching activities and the educational issues on the education of teachers. To put above aims into practice, these were requir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factors by teac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whether he/she take P.E as major of study in-serviece training period? 3. Does it have any influence on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whether he or she completed on the job training for the school health?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by sex and career? To carry out a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of health teaching self-evaluation were divided into the clearness of the procedure, the active interaction, the variety of the ways showing the contents, and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procedure. Then a questionnaire form, consisting of 28 specific inquires to evaluate health teaching behaviors, was delivered and conducted by 450 teacher of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ki-do.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SPSS; produc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y were inspected statistically to compare the evaluation levels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by teachers' personal variables.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1. In the self-evaluation level of teachers' health teaching behaviors, teachers showed 68.23 point as are percentile distribution. And it was in order of a school-nurse(71.68), an athletic teacher(67.29), and a class-room teacher (65.66). Score obtained by teach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2. In the factors affecting to teachers' health instruction, “active interaction” showed the highest score(18.55), “variety of ways showing the contents”(17.38), “clearness of the procedure” (16.70), and “individualization of the procedure” (15.59).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y teachers, according to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interaction”, “variety of the ways showing contents”, “clearness of the procedure”(p〈.001). 3. Self-evaluation score for graduates from Dept. of P. E in Teachers' collag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majors(p〉.05). 4. Teachers receiving health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self-evaluation score than that of teachers not-receiving health education (P〈.01). 5. Self-evaluation score of female teacher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at of male teacher (p〈.001). 6. Career (working duration) did not influenced to self-evaluation score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P〉 .05). On the basis of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next are suggested: First, the further studies to make use of the results of health teaching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 are needed. Second, the further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s' major(a school-nurse, an athletic teacher, and a class-room teacher) are needed. Third, the following studies to improve health teaching by both teachers' self-evaluation on health teaching behaviors and students' evaluation of teachers, and to find out more effective health teaching, are needed. Fourth, Health education for pre-service training course and On-the-Job training program are need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teachers' Health teaching obtained from this study.

  • PDF

학교보건수업에 대한 양호교사의 태도 및 교수능력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중학교 양호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Competence and Attitudes of School Nurses for Health Education)

  • 김재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5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supporting facilitation of a formal health education performed by school nurses as health educators. To evaluate the teacher expertise of school nurses as health educators,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health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of self-confidence in teaching ability of school nurses. Self addressing questionnaire were mailed out to 340 secondary school nurses in Seoul and out of them 244 nurses (71.8%) responded to the survey.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using t-test and ANOVA in SAS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total health instruction performance rate was 84.6% (204). Regular health instruction was carried out by 66 nurses and the rest of the 155 subjects gave irregular instruction on health education. 2. 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es was offered as a par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our by 89.4% of the respondents whereas only 10.6% of them had formal health education classes. The survey showed that ir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es were mainly hel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hours (70.3%) and 14.8% had opportunities for additional classes on health education. 3. The average class for regular health education was 5 hours per week but for ir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es were only one hour per semester (32.9%). 4. Among the 11 categories of health education, education on drug abuse and body structure and func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occupied 95.6%, 69.6% respectably while physical training, family health, social health occupied 10.8%, 12.7%. 5. Health education was given much more at public schools (88.2%) than at private schools. 6. 232 (95.0%) school nurse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formalizing health education classes and 227 (93.1%) wanted to change their status from school nurses to formal health teachers. 7. There is a tendency to change the status from school nurse to formal health teacher, and the necessity of having a formal curriculum on health education while less recognized by the older and longer-careered nurses was more recognized by those nurses with higher education. 8.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79.5%), work burden (77.9%), and lack of teaching competency (22.1%) were the greatest problems. 9. Education on drug abuse was stressed the most whereas physical training was most neglected. 10. There is a tendency that older and longer-careered school nurses thought less positively of their status, and then 98 (81.1%) school nurses acknowledged themselves as professional teachers. 11. 176 (72.5%) school nurse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continuing education : health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for formal health teachers. 12. 179 (73.8%) school nurses had a positive attitude and undergraduate preparation and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health teachers. 13. The school nurses had self-confidence in their teaching competence, teaching strategies and knowledge in all 11 health education areas.

  • PDF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에서 직소(Jigsaw)모형을 응용한 협동학습이 감염관리 인식도, 내적동기,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Jigsaw Model in Simulation-Bas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Intrinsic Motive and Learning Satisfaction)

  • 조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47-2655
    • /
    • 2015
  • 본 연구는 보건 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직소모형 협동학습을 적용한 후 감염관리 인식도, 내적동기, 학습만족도의 차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J시에 소재한 D대학의 보건계열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27명과 대조군 27명이다. 두군간의 동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검사로 감염관리 인식도와 내적동기, 학습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두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을 대상으로 직소모형을 응용한 협동학습, 시뮬레이션 실습, 디브리핑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1회 3시간씩 1주에 2회로 총 12시간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와 시뮬레이션 실습, 디브리핑을 실시하였다. 2주간의 교육 후 연구 대상자 모두에게 감염관리 인식도, 내적동기,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감염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직소모형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감염관리 인식도와 학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의 보건계열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직소모형을 적용한 협동학습이 이루어져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원격교육지원에 대한 교수 수요도 조사 비교: 대구지역 D전문대학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the Survey of Teaching Demand for Distance Education Support for the 2021 and 2022 Academic Years : For D Community Colleges in Daegu)

  • 박정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91-4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수 수요도 조사를 통하여 원격 수업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교 전임교원 184명 중 각각 2021학년도 응답자 73명(39.89%)과 2022학년도 응답자 87명(47.28%)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수요도 조사 결과 2021학년도에는 LMS 개선항목으로 출석체크 시 차시 구분이 27명(37%), 콘텐츠 개발 지원항목으로 핀 마이크 38명(23.3%), 스튜디오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의향에서는 그렇다가 26명(35.6%),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항목으로는 곰 믹스가 33명(45.2%), 원격교육지원센터의 교육희망 주제는 동영상편집방법이 25명(34.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2022학년도에는 LMS 개선항목으로 모바일 업그레이드가 27명(31.03%), 콘텐츠 개발 지원항목으로 핀 마이크 52명(59.8%), 스튜디오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의향에서는 그렇다가 33명(37.9%),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항목으로는 곰 믹스 프로가 47명(54%), 원격교육지원센터의 교육희망 주제는 콘텐츠 제작방법이 23명(26.4%)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의향과 차후 원격교육지원센터의 희망 교육주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p > 0.05). 본 원격교육지원센터에서는 LMS의 출석차시 구분을 해결하고, 모바일 업그레이드에 노력하고 있으며, 핀 마이크 보급을 계획하고 있다. 스튜디오의 활용도를 높이고 동영상편집프로그램의 활용법과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계획하고 있다. 대학 원격수업에서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당국에서 교수자의 학습목표 설정, 콘텐츠 구성 및 내용 조직, 학습동기 유발, 효과적인 수업참여 방안 수립 등 교수 설계자로서 역할 수행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과학 관련 직업과 진로 교육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s and Career Education)

  • 송나윤;박선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78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 교육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과 나의 미래 단원 수업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들이 제시한 과학 관련 직업에는 과학적 직업뿐만 아니라 과학을 활용한 직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상당하였다. 교사가 제시한 과학 관련 직업 중에서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보건·의료직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설치·정비·생산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과학 관련 직업에 필요한 능력으로는 일하는 데 필요한 기능, 일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며, 사회와의 공존은 직업의 종류와 무관하게 대부분 직업에서 가장 낮았다. 과학 관련 진로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교사가 과학과 나의 미래 단원을 2~4차시 운영하는 그쳤으며, 일반 과학 수업에서도 과학 관련 진로 교육 운영에 할애하는 시간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상황에서는 8시간 이상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운영한다고 응답한 교사가 상당수 나타났다. 과학과 나의 미래 단원이나 일반 과학 교과 수업 상황 모두 강의법이나 토의·토론법, 자율학습법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유학기제 상황에서는 자원기반 학습이 다른 수업 상황과 비교했을 때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때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미디어 자료를 많이 활용하였고,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은 예상보다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과학관, 전시관 등에서 배포한 자료를 활용하거나 교육부 지원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 중심의 과학관련 진로 교육을 실행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지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관련 직업과 진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