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정보관리자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managers perceived by public health nurses and their social capital on empowerment (보건소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건간호사의 사회적 자본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Kim, Yeong Ae;Jun, Soo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3
    • /
    • pp.585-59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public health nurses' empowerment to public health center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ublic health nurses' social capital. From Feb. 29 to Apr. 8, 201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3 public health nurses, the public nursing officials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ublic health nurses' empower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Th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public health nurses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public health nurses were included in the factors affecting their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se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empowerment in public health nurses.

Health Improvement;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Settings Approach (건강 향상: 건강 교육, 건강 증진 및 배경적 접근)

  • Green, Jacki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11-129
    • /
    • 2004
  • This paper develops the argument that the 'Healthy Cities Approach' extends beyond the boundaries of officially designated Healthy Cities and suggests that signs of it are evident much more widely in efforts to promote health in the United Kingdom and in national policy. It draws on examples from Leeds, a major city in the north of Englan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population health need to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that this requires a collaborative response involving a range of different sectors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Inequality is recognised as a major issue and the need to identify areas of deprivation and direct resources towards these is emphasised. Childhood poverty is referred to and the importance of breaking cycles of deprivation. The role of the school is seen as important in contributing to health generally and the compatibility between Healthy Cities and Health Promoting Schools is noted. Not only can Health Promoting Schools improve the health of young people themselves they can also develop the skills, awareness and motivation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y. Using child pedestrian injury as an example, the paper argues that problems and their cause should not be conceived narrowly. The Healthy Cities movement has taught us that the response, if it is to be effective, should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be adapted to local circumstances. Instead of simply attempting to change behaviour through traditional health education we need to ensure that the environment is healthy in itself and supports healthy behaviour. To achieve this we need to develop awareness, skills and motivation among policy makers, professionals and the community. The 'New Health' education is proposed as a term to distinguish the type of health education which addresses these issues from more traditional forms.

  • PDF

Educational Needs of Elderly Hypertensive or Diabetes Patients and Educators f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노인 고혈압·당뇨병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 및 지식수준에 대한 비교분석)

  • Lee, Hye-Jin;Kam, Si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5 no.2
    • /
    • pp.177-192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of elderly hypertensive or diabetes patients and educators for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in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60 hypertensive or diabetes patients aged 65 years or above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who had registered KHyDDI(Korea Hypertension Diabetes Daegu Initiative) Project and attended Hypertension Diabetes Intervention Center Program, and with 44 educators in the center between June and August, 2009.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s.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education methods,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both preferred small-grouped(5-9 persons) or individual education, 30min-1 hour, 50%-50% of theory-practice ratio, 3 months of education. In education contents, both groups needed all the suggested contents. Five categories would b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The first category wa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s needs and knowledge. The second was category of low knowledge level in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s knowledge. The repeated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for this category. The third was category with large standard deviation in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s knowledge. Individual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for this category. The fourth category was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s knowledge and knowledge assessed by educators. The improvement of educator's education skill would be necessary for this category. The fifth category was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and educator's needs. Conclusions: Small group or individualized and staged education reflecting above cardiocerebrovascular high risk group and educators' needs should be developed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to prevent and manage th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Real-Name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through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 실태조사를 통한 안전관리 실명제 중요성에 관한 연구)

  • Yeon Cheol Shin;Sang Hyun Kim;Yu Mi Mo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4
    • /
    • pp.817-827
    • /
    • 2022
  • The real-nam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to indicate "safety" after inspection by construction personnel before workers use i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unsafe conditions in temporary facilities and temporary constructions installed at construction sites. Purpose: By implementing the real-name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the objective is to respond to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and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at the same time. Method: In this study, a hierarchical analysis model was produced through previous studies of actual conditions such as types of safety incidents and causality at construction sites. The AHP model was used to calculate integrated weights and rankings with a pairwise comparison questionnaire for experts.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upper classes, construction machinery was evaluated the highest, and real-name management system was evaluated the lowest. As a result of the lower-level analysis, it was considered that opening doors for safety facility management, tower cranes for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under the real-name management system, and CEO duties for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s were the most important.

A Comparative Study on Women's Health of Female Workers on Daywork and Shiftwork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근로자의 여성건강 비교연구)

  • Lee, Jin-Sook;Hong, Gyeong-Ju;Kwon, Ryeo-Wo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3
    • /
    • pp.46-53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eneral and female health-related factor between day-work and shift-work worker. It is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nd year on 7th perio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430. Out of the participants, 1,995 workers' dara was analyzed. Th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occupational status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female work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y and shift work. By contras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d not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factors; income, subjective health cognition,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experience, menarcheal age, menopausal age and breastfeeding period. The shift work is inevitably implemented as an industrial development and flexible work hours. Therefore, social and national attention and measures as well as those of individual workers are required to reduce the side effects from shiftwork.

The Design of Messaging System for Prescription Data Interchange (처방전달을 위한 메시징시스템의 설계)

  • 김동호;류근호;손현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209-218
    • /
    • 1999
  • 처방전달시스템은 처방의 수행은 의사가, 그에 따른 의약품조제는 약사가 수행함으로써 의약품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의약분업의 실시에 따른 국민불편의 최소화와 약화사고에 따른 인증문제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이다. 처방전달시스템은 환자 개인정보의 허용된 범위 내에서의 공유와 공유를 위한 각종 개인정보 보호장치, 처방의 안전한 전달을 위한 내용의 비밀보장과 위변조방지 및 송신자와 수신자의 인증을 위한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자료의 생명주기 측면에서 본다면, 처방전의 생성은 병․의원에서 이루어지며 소멸은 약국 및 환자에의해 이루어진다. 자료의 유통과정에 살펴보면 처방전달시스템의 주요성공요인은 정보의 생산자인 병․의원(의사)의 적극적인 정보제공의지와 이를 지원하는 편리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의 생산자인 병․의원 정보시스템 환경은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처방의 전송을 위해서는 기존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자료의 적합한 취합과 통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처방전달 메시징시스템은 이러한 복합적인 정보시스템 환경을 지원하며 동시에 처방정보의 안전한 전달을 위해 플랫폼으로 실행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처방의 비교적 짧은 생명주기와 지역적 생산, 유통구조를 적합하게 지원하기 위해 지역별 독립시스템의 구축과 공통정보 활용을 위한 중앙시스템과의 역할분담 모델에 근거한 분산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의 처방전달 메시징시스템은 일반적인 메시지서비스의 특성을 기본으로 자료전달을 위해 자료 암호화와 복호화, 송신자와 수신자에 대한 인증 및 자료접근 제한기능을 제공하며 각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실시간 연결 혹은 지연연결을 지원하는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이다. 이러한 처방전달 메시징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정의하고 개념적 모델을 설계하고자 한다.에게 청구되며, 소비자에게 전송 되는 청구서는 사용자DB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원하는 형태로 변환되어 전달되며, 필요시 암호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전송된 청구서는 전자우편의 경우, 암호해독이 가능한 전용 브라우저를 통해 열람 되며, 이는 다시 전용 브라우저를 통해 지불인증이 승인되어 청구 제시서버에게 전송된다. EBPP 시스템의 제어 흐름은 크게 기업이 청구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시하는 흐름과 소비자의 지불 승인으로 인해 기업이 은행에 지불을 요구하는 흐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청구서버 및 정구 제시서버의 역할 및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서술하고, EBPP 시스템과 연동하여야 하는 메일 서버와의 상호 작용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본 시스템을 아직 구현이 되지 않은 관계로 시스템의 성능 등의 수치적 결과를 제시할 수 없는 상태다., 취약계층을 위한 일차의료, 의약관리), ${\circled}2$ 보건소 조직 개편 및 민간의료기관과 협력체계 확립, ${\circled}3$ 전문인력 확보 및 인력구성 조정, 그리고 ${\circled}4$ 방문보건사업의 강화 등이다., 대사(代謝)와 관계(關係)있음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ble nutrient (TDN) was highest in booting stage (59.7%);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other stages. The concentrations of Ca and P were not different among mature stag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yellow ripe period is appropriate to harvest the whole crop rice for forage considering dry matter yields,

  • PDF

환경 오염물질에 대한 건강 위해성 평가 및 관리

  • Jeo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7.12a
    • /
    • pp.81-90
    • /
    • 1997
  • 위해성평가 방법론이란 환경오염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인체의 위해성을 정성또는 정량적으로 추정하여 구체적이고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방법론으로서, 단순히 환경중 오염도를 위해도(risk)로써 알기 쉽게 수치적으로 제사하는 과정만이 아니라 오염물질의 발생에서부터 인체로의 영향까지를 통계학적, 동성학적, 수학적, 사회정책 및 경제학적 측면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정책 결정자들과 일반대중이 과학적 기반 위에서 합일점을 찾도록 하는데 과학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는 방법론이다. 과거에는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의 유무, 즉 인간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일차적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오염피해의 정도와 심각성을 평가하여 주민들에게 알려주어야 하며 어느 정도의 오염수준을 우리 사회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의 판단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복잡 다기화 되어 가고 있는 사회현상 속에서 이해관계와 불확실성으로 얽혀 있는 환경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론들이 환경관리정책의 기본이 되고 있음을 미국등 선진국의 예를 보아 알 수 있다. 위해성 평가의 필요성은 첫째, 환경오염 심화에 따른 인체건강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둘째. 사회적 행정적으로 독성정보의 정량화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셋째, 현실성 있는 오염관리와 넷째. 기준치 제정, 제도시행 전후의 비용효과분석이 가능하다는 점들이다.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환경오염의 인체영향에 대한 종합적이고 계량적인 정보가 제공될 수 있어 국민, 정부, 기업 등 각 주체간의 의사 교환이 수월해지고 국민의 신뢰 회복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질 등 오염에 대한 합리적 기준을 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공학적 처리기술 목표 설정을 가능케 한다. 본 원고의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에 대한 방법론은 주로 미국 환경보호청의 자료 (US EPA, 1993)와 NAS(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3), 미국에서 발행되는 정부 지침서 (Federal Register)에 고시된 내용 등을 토대로 하였다.

  • PDF

Healthy Japan 21 objectives and strategies (일본건강증진 사업의 목표 및 추진전략: Healthy Japan 21)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55-88
    • /
    • 2005
  • Healthy Japan 21의 목적은 삶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노동가능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줄이고 건강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21세기 모든 일본인들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국가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조기사망을 예방하고 건강생활을 향상하는 것으로, Healthy Japan 21의 전략적 기획과정에서 건강수명의 연장을 실현하기 위하여 2010년까지 달성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목적들이 또한 제시되었다. 조기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고, 암, 자살, 심장병 감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9개의 주요 목표로 영양, 신체활동, 휴식과 이완, 금연, 절주, 구강보건, 당뇨병 예방, 심혈관계질환 예방, 암 예방을 설정하였다. 흡연, 알콜, 식사 그리고 운동과 같은 생활양식은 스트레스, 비만, 고혈압과 같은 위험요인 및 질병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위험요인은 암, 심장병, 구강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따라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증진과 일차예방이 강조되어야 한다. 일차예방에 중점을 두기 위해서 우리는 전통적인 질병관리의 중점사항인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조기발견을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료비 감소, 병상에 있는 사람들의 감소, 사회세의 감소도 또한 달성되어야 하는 사업의 결과로 설정되어 있다. 가장 최근의 Healthy Japan 2000(1998-99)의 평가에 따르면 목표들의 15%가 달성되었거나 초과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동과 청소년의 사망률의 경우, 1-14세 아동의 사망률은 1987년부터 26%가 감소되어 2000년도 목표인 인구 100,000명단 28명의 사망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Healthy Japan 21의 두 가지 주요 전략은 일반 인구집단을 위한 전략과 고위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변화를 포함한 우리의 건강증진 노력은 사람 중심으로 개인의 선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개인이 정보를 갖은 상태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일본의 건강증진계획은 2000년 3월에 Healthy Japan 21이 설립되었으며, 2000-2002년 사이 모든 현이 자신의 사업계획을 설정하였으며, 2001-2005년에는 약 반수 정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신들의 사업계획을 확정하였다. 건강증진을 이루는 중요한 수단은 파트너 쉽에 있다. 정부조직 뿐 아니라 건강보험회사,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교육단체, 대중매체, 사기업, 봉사단체 등을 포함한 건강분야의 조직들은 자신들의 전문적 기술들을 한데 모아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수단은 건강 지지적인 환경이다. 개인의 건강증진 노력을 체계화함으로써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Healthy Japan 21에 대한 평가는 2005년에 중간평가가, 2010에 최종평가가 있을 예정이다. 평가결과들은 이후에 진행될 사업의 향상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Review of ESG Challenges in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Text Analysis (ESG 경영시대의 공급망 관리 분야 과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 Rha, Jin S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5
    • /
    • pp.145-156
    • /
    • 2022
  • In recent years, as there is growing concern with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the strategic direction of business management is changing from maximizing shareholders wealth to maximizing stakeholders value. ESG is reshaping a corporation's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G challenges in supply chain management. As a result of network tex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on 3226 news articles, 'Suppliers', 'Sustainability', 'Shared Growth' 'Carbon Neutral', 'Safety and Health', '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Supply Chain Due Diligence Law' were identified as the main issue. Since ESG initiatives in the supply chain are not limited to the efforts of individual firm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figuring out what difficulties and challenges exist in the diffusion of ESG practices along multi-tiered supply chains, and how to overcome them.

Factors Associated with Self-Assessment of Halitosis in Adult (일부 성인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와의 관련요인 분석)

  • Han, Ji-Seon;Hong, Ju-Hee;Choi, Jun-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2
    • /
    • pp.347-356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self-assessment halitosis and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hat establishes a strategy of effective health promotion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the 362 adults, who liv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rom May to July, 20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in the SPSS version 12.0 program. The prevalence rate of self-assessment halitosis was 24.3%. Hypertension, diabetes, medication and inadequate oral hygiene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assessment halitosis. Other factors of self-assessment halitosis were older age and occupation. As a result, dental professionals have to investigate a systemic disease history thoroughly. And they have to educate regular checkup of oral health and to perform a continuous feedback. The self-assessment halitosi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social life, so dental professional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about the hali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