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외 심정지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병원외 심정지 환자의 자발적 순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of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 박일수;김은주;손혜숙;강성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229-238
    • /
    • 2013
  • 병원외 심정지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중대한 보건문제로서, 환자의 퇴원 시 생존율은 3.5%이며, 이 중 1%만이 신경학적 기능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낮은 병원외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 도착 전 환자의 자발적 순환을 회복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의 2009년도 심정지 의무기록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병원외 심정지 환자의 자발적 순환 회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였다. 심정지 환자의 자발적 순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착전 CPR여부, 병원 도착전 심정지 목격여부, 심정지시 활동, 과거력(암/심장질환/뇌졸중), 심정지 발생 장소, 병원전 일반인 CPR여부, 신고~현장 도착까지 걸린 시간, 연령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 요인들의 조합을 통해 의사결정나무모형으로 분류된 심정지 환자는 총 16개 유형이었으며, 그 중 유형 1의 특징을 갖는 집단의 자발적 순환 회복률(29.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비공공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에게 일반인이 CPR을 시행하였을 경우, 심정지 환자의 자발적 순환 회복률이 향상된 것으로 보아 지역주민들에 대한 CPR교육이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심정지 후 회복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를 통한 신경학적 예후 예측 (EEG can Predict Neurologic Outcome in Children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 양동화;하석균;김효정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0-245
    • /
    • 2018
  • 목적: 병원 외 심정지 후 회복된 혼수 상태의 소아 환자에서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는 병원 외 심정지 후 자발순환회복 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와 혈액 검사를 통해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병원 외 심정지로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에 방문한 1개월 이상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뇌파 분석은 배경파 점수화(background scoring), 자극에 대한 반응성(reactivity)의 유무 및 뇌파 상 경련(electrographic seizures)의 유무를 포함하였다. 배경파는 0점(nomal/organized), 1점(slow and disorganized), 2점(discontinuous or burst suppression), 3점(suppressed and featureless)으로 분류하였다. 신경학적 예후는 심정지 발생 후 최소 6개월 후에 PCPC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좋은 신경학적 예후군(PCPC 1-3점) 9명과 불량한 신경학적 예후군(PCPC 4-6점) 17명으로 총 26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불량한 예후군 환자의 88.2%, 좋은 예후군 환자의 44.4%에서 suppressed and featureless 소견을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있었다(P=0.028).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를 제외한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는 좋은 예후군의 44.4%, 불량한 예후군의 5.9%에서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있었다(P=0.034). 불량한 예후군에서 산혈증, 젖산혈증, 고암모니아혈증이 좋은 예후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병원 외 심정지 후 회복된 소아 환자에서 뇌파 배경파가 suppressed and featureless 패턴을 보이는 경우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고 electrographic ictal discharges 가 있는 경우 좋은 신경학적 예후와 관련이 있다.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한 심정지 환자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diac Arrest Support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 장진수;이서준;이광인;이태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227-238
    • /
    • 2017
  • 급성 심정지는 갑작스러운 심장 기능의 상실로 인하여 수 분 안에 뇌를 비롯하여 온 몸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사망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중증응급질환이다. 특히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병원외 심정지 환자는 생존율이 매우 낮다. 그 이유는 갑작스런 발병으로 인해 주변사람들이 심정지 환자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식한다 하더라도 전문 의료지식이 없어 정확한 응급조치를 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기존의 심정지 관련 연구는 대부분 심정지 발생 후의 치료법 방안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이는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어려워 생존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급성 심정지 환자를 위한 알림, 사전예방, 응급조치 등의 기능을 갖춘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급성 심정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설사 발병한다고 하더라도 주변사람에게 신속하게 알려 최대한 골든타임(4분)을 지킬 수 있으며, 1차 발견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어 생존율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수리계획법을 활용한 방재자원 배치 최적화: AED 배치 사례 (Mathematical Programming and Optimization of the Resource Allocation and Deployment for Disaster Response : AED case study)

  • 황성은;이나경;장동국;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58
    • /
    • 2021
  • 노년층뿐만 아니라 청년층에 속하는 성인들 사이에서도 병원 외 심장정지(OHCA)를 겪는 심장질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자동심장충격기(AED)는 병원 외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하는 데 있어 긴요하다. 심장정지 생존율은 제세동 시간에 대하여 지수적으로 감소(decline exponentially)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최적 배치에 있어 심장정지 생존율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의 최적 입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exponential decay coverage 함수를 갖는 최대 gradual coverage 입지 모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exponential decay coverage 함수는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에 대한 과다추정을 완화한다. 향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랜덤한 행인 위치 및 이동을 반영함으로써 행인의 심정지 대응에 있어 창발적인(emergent)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시설 입지 모델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된다.

병원 외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원의 전문기도유지술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advanced airway management while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119 EMT)

  • 서아람;김대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7-163
    • /
    • 2019
  • Purpose: Advanced airway maintenance improves the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patient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dvanced airway management while performing CPR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The observational analysis method was used ro retrospectively collect data from 119 rescue run shee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fire station in Seoul,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fined as OHCA patients who received CPR from July 2016 to June 2018.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advanced airway maintenance was performed or not,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both groups. W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characteristics tha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Results: Out of 188 OHCA patients, 146 (77.7%) had received advanced airway man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ogistic analysis were found regarding the total number of EMT professionals (adjusted odds ration [aOR]: 1.955; 95% confidence interval [CI]: 1.227-3.115; p=0.005) and scene-time (aOR:1.119;95%CI:1.019-1.228;p=0.019). Conclusion: Advanced airway maintenance while performing CPR for OHCA patients by EMT associated primarily with ensuring an adequate numbers of EMT professionals and sufficient scene time.

자발순환 회복된 병원 외 성인 심정지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와 혈청 칼륨 및 젖산 농도와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serum potassium and lactic acid with neurologic outcome in out-of 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 이용헌;김원희;강구현;장용수;최현영;김재국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3-49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rum potassium and lactate on neurologic outcomes in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e recruited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from 2011 to 2017. Primary outcome was good neurologic outcome at discharge. To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serum potassium and lactat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5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was 19 (33.3%). In the univariate analysis, good neurologic outcome patients showed a higher smoking rate, shorter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higher rate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lower severity score (all P<0.05). The good neurologic outcome patients also presented higher pH, lowe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and lower potassium regarding laboratory findings on the first hospital day (all P<0.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ndependent factors favoring good neurologic outcome wer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djusted odds ratio [aOR], 0.82;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0.97; P=0.019) and lower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on the first hospital day (aOR, 0.95; 95% CI, 0.91-0.99; P=0.034). Conclusion: Serum potassium and lactat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ood neurologic outcome in out-of-hospital post-cardiac arrest adult patients. The prognostic factors for good neurologic outcome were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and initial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