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벽온도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2초

케로신을 연료로 하는 10톤급 액체로켓엔진의 냉각 기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ling Mechanism in Liquid Rocket Engine of 10tf-Thrust Level using Kerosene as a Fuel)

  • 한풍규;남궁혁준;조원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66-72
    • /
    • 2003
  • 우주발사체의 2단용 엔진으로 10톤급 케로신 액체로켓엔진에 대한 냉각 기구로서, 재생냉각과 막냉각을 고려한 냉각특성에 대한 해석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소기 내에서 연소 가스의 유동이 축방향으로 층류화되어 있다는 개념하에, 엔진 단면을 서로 독립적인 중심부와 외곽부로 나누며, 외곽부에는 여분의 연료를 분무시킴으로써 연소가스 온도를 낮추어 냉각채널로 전달되는 열유속량과 벽면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엔진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플랜트 시설물 제연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ke Removal Equipment in Plant Facilities Using Simulation)

  • 최두찬;양민혁;고민혁;오수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0-46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시설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연경계벽의 폭 및 제연설비의 유무와 피난 안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제연경계 벽의 폭, 수직거리에 따른 급기량, 배기량의 변화를 통해 피난 안전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도의 경우 경계벽 0.6m 만을 사용한 경우 5m 이하로 되는 시점이 가장 짧게 도달하였으며 제연경계 폭 1.2m와 제연설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0%긴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제연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경계 폭만 사용하였을 때 0.6m 보다 1.2m가 20%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제연 경계벽에서는 온도를, 제연설비에서는 가시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나, 반대로 제연 경계벽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가시도의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연설비를 설치하였을 때 온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연계획과 제연 설비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축대칭 곡면벽 제트 유동장에서 화염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ame Stabilization in the Axisymmetric Curved Wall Jet)

  • 길용석;차민석;송영훈;한재원;정석호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1997년도 제15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51-60
    • /
    • 1997
  • 축대칭 곡면벽 제트 버너를 제작하여 화염의 안정화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축대칭 곡면벽 제트 유동은 난류 강도의 증가와 더불어 버너 선단 부근에 재순환 영역을 형성하여 화염의 안정화를 촉진시킴으로서 기존의 튜브 버너에 비하여 화염의 안정화 특성이 향상되었다. 시간적으로 화염의 위치가 변동하는 난류 화염에서 화염의 안정화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OH 라디칼과 온도를 PLIF와 CARS를 각각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고유속으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버너 선단에 형성된 재순환 영역에 OH 라디칼이 상당량 분포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고온을 유지하였다. 이는 버너 선단에 형성되는 재순환 영역에 고온의 기연 가스가 점화원 역할을 하여 화학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속의 출구유속에서 화염 안정화 특성은 재순환 영역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열 장 흐름 분획장치의 제작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truction and Efficacy of Thermal Field-Flow Fractionation)

  • 이대운;허욱환;전선주;이인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19-427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열 장 흐름 분획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의 머무름과 선택성을 조사하였으며 최적 분리조건을 결정하였다. 열 장 흐름 분획장치의 채널 부분은 열전도도가 좋은 구리판을 윗벽과 아랫벽으로 하여 그 사이에 Mylar spacer를 끼워 제작하였다. 구리판 표면은 이상적인 유선형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매끈하고 굴곡이 없도록 세공하였으며, Mylar spacer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잘라낸 후 거친 부분을 사포로 갈아내었다. 윗 구리판은 히터를 넣어 온도를 높였고 아래 구리판은 수도물을 이용하여 온도를 낮추어 온도 구배를 주었다. 폴리스티렌의 머무름은 분자량과 채널에 가해준 온도차가 커지면 증가하였고, 일정한 온도차에서 차가운 벽의 온도를 20∼$45^{\circ}C$로 높히면 감소하였다. 시료의 선택성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보다 훨씬 좋았으며, 머무름이 큰 용질일수록 선택성이 좋았다. 이론단의 높이는 유속과 비례하였으며, 이로부터 폴리스티렌의 다분산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500 W급 고리형 홀추력기의 자기장 구조에 따른 추력 특성 연구

  • 이승훈;김호락;김준범;임유봉;최원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2-202
    • /
    • 2016
  • 홀 플라즈마 엔진은 인공위성의 궤도유지 및 자세제어 등의 임무수행이나 우주선의 심우주 활용에 있어 필수적인 핵심 우주 부품이다. 홀추력기 연구개발의 최근 큰 관심사는 추력기의 장시간 운전성 확보 및 방전효율 향상이다. 최근 고리형 홀추력기에서 방전 영역 내 플라즈마와 유전체 벽 간의 충돌을 줄임으로써 전극 손상 및 전자온도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석 코일을 활용해 방전 채널 벽면과 평행한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여 플라즈마와 유전체 벽 간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자기차폐(magnetic shielding)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차폐 개념이 적용된 방전 소모전력 500 W급 고리형 홀추력기의 방전 및 추력 발생 특성을 연구하였다. 자기장구조 제어를 통해 유전체 벽과 플라즈마 간 상호작용을 감소시킨 결과, 500 V 수준의 방전 전압에서도 유전체 벽에서의 이차전자 발생에 의한 방전전류의 급격한 증가없이 안정적인 방전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방전 형태는 기존의 자기차폐 개념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고리형 홀 추력기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방전 상태이다. 추력기의 자기장 구조 최적화 조건에서 제논 가스 방전을 통해 얻은 최대 추력은 $22{\pm}1mN$, 비추력 $2200{\pm}70s$, 양극효율 $51{\pm}2%$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 PDF

회전냉각기에서 고체와 가스의 온도분포해석 (Analysi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olid and Gas in the Rotary Cooler)

  • 이만승;최주석;전철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3호
    • /
    • pp.25-30
    • /
    • 2002
  • 회전냉각기에서 일어나는 정상상태 열전달을 1차원으로 해석하였다 회전냉각기로 입력되고 배출되는 공기온도를 경계조건으로 삼았다. 경계 및 조업조건으로부터 2개의 상미분방정식과 2개의 대수방정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해를 계산하여 고체, 공기 벽의 온도분포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계산한 외벽온도는 실제 가동중인 회전냉각기에서 실측한 외벽온도와 서로 잘 일치하였다.

COPI 소낭 구성체인 α-COP의 돌연변이가 균류 세포벽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tation in α-COP, A Subunit of the COPI Vesicle, on Cell Wall Biogenesis in Fungi)

  • 이환희;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07
  • 세포벽은 진균류의 생존과 삼투안전성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체로, 세포부착성 단백질이나 가수분해효소 등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다양한 단백질이 결합하거나 그 속에 자리잡고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최근 효모류인 Saccharomyces cerevisiae와 사상균인 Aspergillus nidulans에서 세포 내 단백질 분비 소낭의 하나인 COPI 소낭을 구성하는 ${\alpha}-COP$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일어날 경우, 온도의존적 삼투감수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은 ${\alpha}-COP$이 베타-1,3-글루칸 합성효소 복합체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세포벽 단백질의 이송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세포벽 안정성 유지에 기여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세포 내 단백질 이송기구 중에서도 COPI 소낭을 구성하는 ${\alpha}-COP$과 균류의 세포벽 형성과정과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는 한편, 단백질 분비기구에 결손이 생긴 돌연변 이주를 이용한 세포벽 합성기작에 대한 기초 및 응용연구의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의 KGD1 유전자 결손이 세포벽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GD1 Deletion on Cell Wall Biogenesi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성우;안기웅;박윤희;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33
    • /
    • 2010
  • KGD1 유전자는 비허용온도에서 세포벽에 결함을 보이는 Saccharomyces cerevisiae LP0353 균주의 베타-1,3-글루칸 합성 효소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유전자로 분리되었다. $\alpha$-ketoglutarate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는 KGD1 유전자의 효모의 세포벽 합성과 연관된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전자 파괴를 시도하였다. KGD1돌연변이는 생장속도가 감소하고, 키틴 합성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세포벽 구성 당류의 함량에 변화를 보였다. 또한 Calcofluor white과 Nikkomycin Z 등과 같은 세포벽 합성 저해물질에 대해 감수성 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KGD1이 효모의 세포벽 특히 베타-1,6-글루칸과 키틴의 생합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계면중합에 의한 상전이 물질 함유 폴리우레아 마이크로캡슐의 합성 및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capsules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s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 김필수;최상민;조창기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7-420
    • /
    • 2002
  • 마이크로 캡슐에 관한 연구는 벽 혹은 내부 물질의 성질, 캡슐화의 방법, 내부 구성물질의 내구성과 안정성 그리고, 확산, 투과, 부식, 용해등에 의한 유출현상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1.2}$ , 1980년대 후반부터 섬유의 열적 성능을 개선하고자 캡슐화된 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연구들이 시작 되었다[3-4]. 본 연구에서는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지고 온도 감응형 섬유로의 적용을 위하여 상전이 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s)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원자로 중대사고 심층방어 프로젝트 - SONATA-IV

  • 서균렬
    • 원자력산업
    • /
    • 제16권7호통권161호
    • /
    • pp.7-11
    • /
    • 1996
  • 원전의 중대사고 가운데 대표적인 경우는 TMI 원전의 사례와 같은 노심용융사고로서, 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개념은 높은 온도로 녹아내린 핵연료물질이 원자로 밑바닥에 내려앉아 원자로벽을 뚫고 나감으로써 또 다른 방사능 누출이 되지 않겠느냐는 이론이었다. KAERI의 서균렬 박사팀은 최근 이러한 종래의 이론을 뒤집는 새로운 개념을 개발했는데, 이는 높은 온도의 핵연료 물질과 원자로 용기 사이의 물성 차이로 핵연료 물질과 용기 표면 사이에 좁은 간격이 생겨 이 틈새로 냉각수가 스며들어 원자로를 식힌다는 개념이다. 서박사팀은 이런 현상을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세계 원자력계 최초로 그 이론적인 뒷받침을 제공했다. SONATA-IV로 이름 붙인 이 프로젝트의 내용과 이에 대한 OECD의 다국공동연구 추진 경위, 향후 계획 등을 들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