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작약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Thioacetamide 유발 급성 간손상 동물모델에 백작약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효능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aeoniae Radix Alba on a thioacetamide induced acute liver injury rat model)

  • 이세희;신미래;이지혜;노성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2호
    • /
    • pp.224-237
    • /
    • 2021
  • 본 연구는 백작약 열수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능을 평가하였으며, TAA를 유발한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와 간 기능 보호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체중, 간무게 및 간중량 비율 (%)이 대조군에 비해 S100군과 PR100군보다 PR200군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약물투여군의 혈중 암모니아, GOT 및 GPT 수준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 실시 후 대부분의 인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백작약 열수 추출물이 Nrf2-Keap1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켰으며, 항산화능을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백작약 열수 추출물은 급성 간손상시 간보호 효과를 위한 후보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ROS 제거기능을 갖는 천연산물로부터 장내 유용세균 Lacobacillus속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조합의 구성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Removing ROS for Growth Promoting Effects of the Useful Enterobacteria Lacobacillus sp.)

  • 김종덕;김민용;서효진;김봉조;김대현;김은옥;정해영;공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0-281
    • /
    • 2002
  • 장내 유용세균인 L. acidophilur및 L. plantarum은 선택되어진 천연산물의 한 종류 단독으로서도 촉진되었으며, 또한 두 종류, 세 종류 및 네 종류의 배합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L. acidophii요는 이들 천연산물의 배합 중에서 한 종류의 천연산물로서는 백작약, 석창포, 진피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 종류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석창포와 계피, 진피와 갈근 등의 조합이, 세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승마와 계피 및 감초 등의 조합이, 네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감초, 녹차, 황금 및 계피 등의 조합에서 잘 성장함을 보였으며, 네 종류의 조합에 의한 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는 대조군보다는 1.3배 이상의 효과를 보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력은 대조 군보다도 4배 이상의 강함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천연산물을 100 배 희석하였을 때 70% 이상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또한,1. plantaurm은 한 종류의 천연산물로서는 산수유, 연자육, 괴화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 종류의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오미자와 녹차, 백작약과 음양곽, 현초와 녹차 등의 조합이, 세 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산수유와 녹차 및 백작약, 산수유와 황련 및 오미자, 산수유와 오미자 및 백작약 등의 조합이,4종류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산수유, 녹차, 황련 및 황금의 조합, 산수유, 오미자,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 산수유, 녹차, 황련 및 현초 등의 조합에서 L. plantarum가 잘 성장함을 보였고, 이 례 종류의 조합에 의한 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는 대조군보다 1.5배 이상의 효과를 보였고, 항산화력은 수-5배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의 소거활성은 천연산물을 100배 희석하였을 때 75% 이상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천연산물의 배합으로 생체의 특정부위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항산화력으로 유해 산소를 제거 할 수 있으며, 천연산물 고유의 약성을 활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유용세균의 성장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생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항산화 차등의 건강 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삼과 백작약의 혼합물 투여가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xtures with Ginseng Radix rubra and Paeonia Radix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 김승겸;김창주;김홍;임용택;윤성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93-10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영양학적 에르고제닉에이드로서 홍삼과 백작약의 혼합물 투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홍삼과 백작약의 혼합물 투여여부와 지구성 트레이닝 실시여부에 따른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디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은 4주 후, 통제군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탈진에 이르는 시간은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집단내 사전-사후간 통제군에 비해 나머지 3그룹 모두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또한 증가정도의 차이는 혼합물섭취${\cdot}$운동군>위약섭취${\cdot}$운동군>섭취군 순으로 나타났다. 최대산소 섭취량은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나, 집단내 사전-사후간 통제군을 제외한 나머지 3그룹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중 혼합물섭취${\cdot}$운동군은 통계적인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안정시 심박수는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나, 집단내 사전-사후간 트레이닝을 실시한 2그룹에서 다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최대 심박수는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나, 집단내 사전-사후간 통제군을 제외한 3그룹에서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탈진후 5분까지의 젖산의 회복량은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탈진후 10분까지의 젖산의 회복량은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나, 트레이닝을 실시한 2그룹에서 다소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탈진후 20분까지의 젖산의 회복량은 4주 후, 그룹간${\cdot}$시점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이상의 결론으로 보아 4주간의 홍삼과 백작약의 혼합물 투여는 최대산소 섭취량, 심박수, 젖산내성 및 회복에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결과적으로 탈진에 이르는 시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홍삼과 백작약의 혼합물은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에르고제닉에이드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은화와 백작약이 BEAS-2B 인간 기관지상피세포의 Cytokines mRNA level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s of Lonicerae Flos and Paeoniae Radix on the IL-6, IL-16, GM-CSF mRNA level by BEAS-2B, Human Epithelial Cells)

  • 정희재;박성규;정승기;이형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5-154
    • /
    • 2003
  • Background : Production of cytokines by bronchial epithelial cells may contribute to the local accumul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In many recent studies,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cytokines in pathogenesis and new therapeutic targets of asthma. Objective : We aimed to identify the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f Lonicerae Flos and Paeoniae Radix on the mRNA expression of IL-6, IL-16, and GM-CSF involved in the asthma model. Materials and Methods : In the study BEAS-2B cell lines, human epithelial cells were used. These cells were stimul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for artificial inflammatory expression. ${\beta}-actin$ messenger RNA (mRNA) was used for internal standard. After 24 hours of Lonicerae Flos, Paeoniae Radix, total cellular RNAs were collected treating RNA zol directly on the living cells. Then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IL-6, 16, GM-CSF were measured by RT- PCR with electrophoresis. Results : In the Lonicerae Flos study, the mRNA expression of IL-6, IL-16 and GM-CSF was showed no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ll concentrations. In the Paeoniae Radix study, the mRNA expression of IL-6, IL-l6 and GM-CSF was showed no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ll concentrations.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Lonicerae Flus and Paeuniae Radix have no inhibitory effects on the mRNA expression of IL-6, IL-16 and GM-CSF in BEAS-2B cell lines, human epithelial cells. Advanced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other mechanisms of inhibitory effect by Lonicerae Flus and Paeoniae Radix in the asthma model.

  • PDF

생약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및 라디칼 소거활성 검색

  • 이윤미;최수임;곽진오;백인걸;허태련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663-6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40여 가지 생약재를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hyaluronidase 억제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hyaluronidase 활성을 저해시키는 물질로서 황기, 목단피, 오미자 등이 높은 효과를 보였고, 목단피, 백작약, 복분자 등은 유리 라디칼종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조직 손상 및 염증 질환에 매우 유효한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명지산 생태계 관리를 위한 식물사회학적 식생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Vegetation of Mt. Myongji for Management of Natural Ecosystem)

  • 안영희;김봉찬;김문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8
    • /
    • 2001
  • 본 연구는 명지산 식생의 보전방안의 수립과 생태계의 건전한 이용을 위해 수행되었다. 인위적인 훼손이 지속되는 등산로 주변은 질경이군란과 쑥-미국쑥부쟁이군락 등 노변식물 군락으로 나타났으며, 등산로 주변과 벌목지는 중부지방에서 잡목림이라 할 수 있는 고추나무-산뽕나무군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부지방에 위치한 명지산의 기후적 극상림인 낙엽활렵수림의 군락은 표고 300m 이상의 깊은 계곡과 정상부근에 극상림에 가까운 신갈나무-당단풍군락으로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갈나무-당단풍군락 주변에는 비교적 인위적인 영향을 크게 받은 병꽃나무-조록싸리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들 군락 내에서는 금강초롱꽃, 백작약, 도깨비부채, 개족도리 등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 PDF

생약의 수치(修治)에 따른 약효연구(제3 보) : 백작약(白芍藥)이 중추신경계 및 적출장관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Efficacy of Crude Drug by Processing(III): Effect of Paeoniae Radix alba on CNS and Isolated Ileum)

  • 홍남두;노영수;조영환;주수만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6권3호
    • /
    • pp.124-131
    • /
    • 1986
  •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aeoniae Radix alba were studied with water extract (F-I), parched preparation (F-II) and 25% ethanol-treated preparation (F-III) of it.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Analgesic actions were recognized with F-I, F-II and F-III. 2) Sedative actions were recognized with F-I and F-III. 3) Prolonged effect of sleeping time were recognized significantly with F-I and F-III. 4) Antipyretic actions were recognized with F-1, F-II and F-III in rabbits. 5) F-I, F-II and F-III showed the antagonic action against contraction of isolated-ileum induced by acetylcholine, barium chloride and histamine in mice and guinea-pigs.

  • PDF

생약재에 함유된 이산화황 함유량 조사 (Determination of Sulfite Contents in Medicinal Herbs)

  • 김충모;송병준;나환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5-379
    • /
    • 2000
  • 이산화황 함유량에 대해 한약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한약을 달여서 탕으로 섭취하는 점을 감안하여 한약을 달인 액을 시료로 이산화황 함량을 조사하여 소비자들이 한약을 달여서 섭취하는 과정에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약재 중 이산화황 함유량은 국산 14건중 맥문동(16.9 ppm), 백작약(56.0), 산약(67.7)이 검출되었으며, 수입산은 13건 중 금은화(653.4 ppm), 길경(628.9), 반하(37.1), 백부근(11.7), 부자(82.4), 상백피 (82.7), 석창포(98.0), 패모(497.0),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다. 구입 시기 및 장소를 달리하여 구입한 생약재는 시기나 장소가 달라지면서 생약재에 함유된 이산화황 함량이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산과 수임산과의 이산화황 함량 차이를 조사한 결과 국산의 경우에는 천화분 1건(29.5 ppm)을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 불검출을 보였으나, 수입산의 경우 13건중 7건(건지황, 과루인, 지실, 구기자, 남성, 우슬, 천화분)이 검출되어, 수입산이 국산보다 이산화황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탕기로 한약액을 달여서 검사한 결과 최초 구입한 생약재의 함유량보다 이산화황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원래 생약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종 잔류되는 함유량도 높게 나타났다.

  • PDF

백작약 열수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유효성분 동정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 정일윤;이주상;오헌;정우희;박혜란;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39-744
    • /
    • 2003
  • 백작약(Paeonia japonim)의 열수추출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은 총매의 극성도에 따라 4종의 분획물(CHCl$_3$, EtOAc, n-BuOH, water)로 구분하였다. 항산화활성 시험 중 hydroxyl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 및 각 용매 분획물은 모두 아주 낮은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물 층 분획물이 50%(50 $\mu\textrm{g}$/$m\ell$ 농도에서 ) 이상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n-BuOH 분획물이 8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50과 10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와 거의 동등한 전자 공여능(EDA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tOAc 분획물에서 2종의 단일 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 물질인 PJE021-1과 PJE024-l은 1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PJE021-1은 $H_2O$$_2$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해 최고농도50 $\mu\textrm{g}$/$m\ell$에서 $H_2O$$_2$처리구에 비해 93%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고, PJE024-1은 0.5 $\mu\textrm{g}$/$m\ell$의 낮은 농도에서 71%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2종의 단일 물질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유효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단일 물질은 분광학적기기 분석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llic acid(PJE021-1)와 (+)-catechin(PJE024-1)으로 동정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백작약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