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강잠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6초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백강잠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oxidant action of Bombycis corpus extraction in renal tissues)

  • 이무형;윤철호;정지천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7-98
    • /
    • 1998
  • 백강잠 추출물이 신장조직에서 반응성 산소기들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와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조직과 t-BHP를 처리한 조직에서 백강잠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지질의 과산화와 LDH 유출은 t-BHP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나, 백강잠 추출물의 첨가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t-BHP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 및 LDH 유출은 백강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또한, 백강잠 추출물은 oxidant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조직에서도 지질의 과산화 및 LDH 유출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그리고, catalase 활성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정상 조직과 t-BHP를 처리한 조직에서는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한편, 반응성 산소기의 발생은 백강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백강잠 추출물은 신장 조직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직접 반응성 산소기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신장 조직에서 지질의 과산화와 세포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백강잠(Bombyx Mori Linne) 물추출물의 미백 효능 (The Whitening Effect by Water Extracts of Bombyx Mori Linne)

  • 안영희;최정숙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1-86
    • /
    • 2006
  • Numerous novel ingredients have been introduced for the hight functionality of whitening cosmetics. T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we have found water extracts Bombyx mori have high whiten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r the whitening effect of Bombyx Mori L. are as follow 1. Bombyx Mori L. inhibited concentration dependently the generation of melanin increased by the stimulation of $\alpha$-MSH and protoporphyrin IX, and $IC_{50}$ value was 8.3, 9.2 ${\mu}M$ respectively. 2. Melanin increased by the stimulation of $\alpha$-MSH and protoporphyrin IX was five to seven times superior in the inhibiting effect, compared with kojic acid used as positive control group. 3. Bombyx Mori L. did not have a decolorizing effect on melanin already generated. 3. Bombyx Mori L. was observed to have toxicity of over 100 ${\mu}M$ for the mouse melanoma B16 cell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s of Bombyx mori hav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shroom tyrosinase and inhibitory activity of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cells in vitro.

  • PDF

백강잠(白彊蠶) 생산을 위한 Beauveria bassiana의 효율적인 접종법 및 백장잠의 간보호 활성 검정 (Efficient Inoculation Method of Beauveria bassiana for Production of Bombycis corpus and Evaluation of Its Liver Protection Activity)

  • 정이연;홍인표;강필돈;남성희;김미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1
    • /
    • 2005
  • 이 연구는 백강잠(B. corus)의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효과적인 접종법을 구명하고 백강잠의 간보호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백강잠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접종시험에서 포자농도를 1.0${\times}$$10^8$ spores/m/로 할 경우 접종후 고습도 처리시간에 관계없이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으나, 1.0${\times}10^7$ spores/m/의 농도에서는 감염율이 낮았다. 2. B. bassiana 종균의 보관온도 및 보관일수별 활력 검정에서 $4^{\circ}C$에서는 12일까지 보관시 감염률 90% 이상 유지하였으나, 상온($25^{\circ}C$ 내외) 보관시에는 48시간이 지나면 감염율이 급격히 저하(5% 이하)하였다. 또한 모균주 보존기간별 감염율은 $4^{\circ}C$에 12개월 보존시에도 초기값과 활력에 차이가 없었으며 감염율 역시 90% 이상으로 균보관은 $4^{\circ}C$에서 12개월까지 보관하여도 활력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B. bassiana 101A의 간기능 보호활성도 측정에서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물분획층에서 대조물질 silymarin과 DDB 대비 각각 43.5%, 65.7%의 간보호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염화탄소($CCl_4$)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대조 물질대비 각각 100%, 69.3%의 간보호 회복 효과가 있었다.

백강잠 101A의 세포독성 사이클로뎁시펩타이드 성분 (Cytotoxic Cyclodepsipeptides of Bombycis corpus 101A)

  • 권학철;방은정;최상운;이완주;조세연;정이연;김선여;이강노
    • 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5-118
    • /
    • 2000
  • From the MeOH extract of Bombycis corpus inoculated by Beauberia bassiana 101A, two cyclodepsipeptides, bassianolide (1) and beaubericin (2),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one and two dimensional NMR studies. Compounds 1 and 2 exhibited cytotoxicity against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 PDF

백강잠(Bombysis corpus)으로부터 유용물질 분리 (A useful material isolation from the Bombycis corpus (Beauveria bassiana) growing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정이연;남성희;홍인표;유승헌;권학철;이강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5-30
    • /
    • 2003
  • 뇌신경세포주(PC12)에 백강잠의 분획물(조추출물)을 10 $\mu\textrm{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헥산분획층과 부탄올분획층에서 뇌신경세포성장을 촉진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헥산분획물로부터 화합물 4종(Fig.2: compound 1-4)과 부탄올분획물로부터 화합물 5종(Fig.2: compound 5-9)을 분리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대하여도 검색한 결과 모두 뇌신경세포주(PC12)에 뇌신경세포 성장 촉진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이들중 3종(4E, 6E, 2S, 3R)-2-N-Eicosanoy1-4,6-tetrade-casphingadienine,(4E, 6E, 2S, 3R)-2-N-Docosanoyl-4,6-tetradecasphingadienine, Urea)이 화합물은 NGF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헥산분획물로부터 분리한 4종의 스핑고신 유도체는 천연에서 처음 보고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백강잠 유래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은 뇌졸중, 뇌허혈, 파킨슨, 노인성치매 및 헌팅턴질환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한약신문-제115호

  • 대한한약협회
    • 대한한약신문
    • /
    • 통권115호
    • /
    • pp.1-12
    • /
    • 2006
  • '한약부작용의 실상' 책자 관련 대책방안 논의/"한약 간동성 없다" 임상연구 결과 발표/초대 '한의학정책연구원' 변철식 원장 취임/의료비 소득공제 증빙자료제출 요청에 따른 건의/의료계, '전체 수납내역 제출'에 반발/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정에 따른 의견서 제출/백강잠, 파극천 등 6개 품목 품질기준 강화/"한약재 '양제근' 투여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한의사협회, 한의학 폄하 강력 대응/한약재 4품목, 품질부적합 판정 사용 중지/무면호 의료.조제행위 단속 시민 포상제 강화/복지부, 한의학 세계브랜드 적극 추진/WHO, 경혈위치 국제 표준안 확정/1km내 약국.의료기관 '동일명칭 사용' 논란/의협, 연말정산 간소화 방안 헌법소원/약국가, 비급여 품목 자료제출 '자포자기'/박재완 의원 "녹용 과학적 기준 검증방법 필요"/2007년부터 인삼제품에 새로운 농약기준 마련/뇌졸증 치료, 양방 59% 한방 41%/"전통의학, 양학과 결합.표준화 시급"/"100처방 발목, 유일무이한 면허권 제한"/개성공단 협력병원에 한의사 파견/지부탐방-지부장에게 듣는다/평간순기보중환 이야기/명칭이 비슷하여 감별하기 어려운 한약재/우리약초를 찾아서-오미자/한방과 항문질환/백부자의 진.위품 감별에 대한 소고

  • PDF

누에 및 뽕나무 유래 물질의 인간(人間) 암세포주(癌細胞株)에 대한 세포독성(細胞毒性) (Cytotoxic Activity of Bombyx mori and Morus alba Derived Materials against Human Tumor Cell Lines)

  • 박일권;이정옥;이회선;설광열;안용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87-190
    • /
    • 1998
  • 동결건조(凍結乾燥)한 누에 유래(4령유충(齡幼蟲), 암 수 번데기, 암 수 성충(成蟲)) 및 건조 뽕나무 유래 재료(잎, 오디, 상백피(桑白皮))의 메탄을 추출물, 백강잠(白彊蠶) 및 누에 4령유충(齡幼蟲) 잠분(蠶糞)의 메탄올 추출물의 5종 인간(人間) 암세포주(癌細胞株)(A549 lung, SK-OV-2 ovarian, SK-MEL-2 melanoma, XF-498 CNS, HCT-15 colon tumor cell lines)에 대한 세포독성(細胞毒性)을 sulforhodamine B법을 이용하여 in vitro 검정하였다. 공시시료중 잠분(蠶糞)의 70% 메탄올 열탕추출물(熱湯抽出物)은 이들 암세포주(癌細胞株)에 대하여 강한 세포독성(細胞毒性)을 나타내었으나, 잠분(蠶糞)의 메탄올 추출물 및 오디와 상백피(桑白皮)의 메탄을 추출물은 중간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기타 물질들은 이들 암세포주(癌細胞株)에 거의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70% 메탄올 열탕추출물(熱湯抽出物)이 강한 세포독성(細胞毒性)을 나타내어, 용매 분획한 결과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이 암세포주(癌細胞株)에 대하여 가장 강한 세포독성(細胞毒性)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잠분(蠶糞), 상백피(桑白皮) 및 오디의 항암활성(抗癌活性)은 이들의 약리작용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I 염기서열 기반 백강잠 신속 감별용 SCAR marker 개발 - 백강잠 유전자 감별 - (Development SCAR marker for the rapid authenticaton of Batryticatus Bombyx based on COI Sequences)

  • 김욱진;양선규;노푸름;박인규;최고야;송준호;문병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3-20
    • /
    • 2019
  • Objectives : To ensure the safety, quality and pharmacological efficacy of Batryticatus Bombyx, it is important to discriminate with adulterants. In Korean Herbal Pharmacopoeias (KHP), the authentic species of Batryticatus Bombyx is defined only Bombyx mori.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establishment of PCR assay method using the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based on COI DNA barcode for discriminating six species related to Batryticatus Bombyx. Methods : Seventeen samples of six species (Bombyx mori, Bombyx mandarina, Rhodinia fugax, Oberthueria caeca, Actias artemis, and Caligula japponica)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habitate and nucleotide sequences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barcode regions were analyzed by Sanger sequencing methods. To develop SCAR-based PCR assay method, we designed species-specific primers based on COI sequence variabilities and verified those specificities using 17 samples of six species as well as commercial herbal medicines. Results : In comparative multiple analysis of COI sequences, six species were distinguished by species-specific nucleotides at the species level. To develop rapid and reliable PCR assay method for genetic authentication of Batryticatus Bombyx, therefore, we designed species-specific SCAR primers based on these nucleotide sequences and confirmed those specificities. Using these SCAR primers, We also established simple conventional PCR assay method using these SCAR primers at the species level. Conclusions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I sequences and SCAR-based PCR assay methods represented equal results for distinguishing authentic Batryticatus Bombyx and adulterations at the species level. Therefore, our results are expected protecting adulteration of herbal medicine Batryticatus Bombyx.

백지, 세신, 백강잠 및 면간방이 피부미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eckji, Seasin, Baeckgangjam and Myunkanbang on skin-whitening)

  • 전상훈;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1-169
    • /
    • 2011
  • To develope new natural substances for whitening agent, Baeckji(Angelica dahuria;BK), Seasin(Asarum sieboldii;SS). Baecjgangjam(Bombycis corpus;BGJ) and Mynkanbang(MKB) were selected and extracted by hot water and 70% EtOH, respectively. Hydrothermal and ethanolic extracts of BK, SS, BGJ and MKB were evaluated for anti-oxidative effect, tyrosinase activity,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s and changes in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by using Western blotting. All hydrothermal and ethanolic extracts showed scavenging activities of free radicals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but no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Ethanolic extracts of BK, SS, and BGJ and especially highly, those of MKB inhibited production of melanin in B16 melanoma cells and were able to reduce the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in B16 melanom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ic extracts of BK, SS, BGJ and MKB can be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from natural plant.

흰쥐의 뇌 astrocyte에서 $amyloid-{\beta}25-35$로 유발된 지질의 과산화와 항산화 효소계 및 NO 생성에 미치는 백강잠의 효과 (Effects of Bombycis corpus on Amyloid-induced Lipid Peroxidation Antioxidative Enzymes and NO Synthesis in Rat Astrocytes)

  • 김희준;정지천;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1-339
    • /
    • 2001
  • 목적 : 본 연구는 식풍해경(熄風解痙), 소산풍열(疏散風熱) 효능이 있는 백강잠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방법 : 치매 유발물질인 $amyloid{\beta}(A{\beta})$ 25-35를 흰쥐의 뇌 astrocyte에 처리한 후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glutathione peroxidase 및 glutathione-S-transferase의 활성 변화와 NO 생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A{\beta}$ 25-35 처리로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백강잠을 처리한 경우는 이들 효소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A{\beta}$ 25-35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된 NO 생성은 백강잠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백강잠은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화 및 $A{\beta}$처리와 같은 치매유발 물질의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하여 astrocyte를 보호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아울러 노인성 치매 등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