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송학 교육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방송인력 양성을 위한 미디어 교육의 의미 고찰: 대학 방송영상 교육의 지상파 방송3사 인력 운용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Meaning of Media Education for the Training of Broadcasting Human Resources: Focusing on the Employment of Human Resources by the Korean Major Broadcasts in Connection with Broadcas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 최경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100-138
    • /
    • 2007
  • 언론 및 방송학 교육이 그 효용성 여부의 논란을 둘러싸고 유관학계와 방송 현업 간에 미묘한 관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론과 실제를 조화롭게 병행하면서 방송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는 방송학계의 원칙과 이론적 지식에 편중돼 실용성 있는 교육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방송 현업의 문제 제기가 바로 그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그 논의의 초점을 방송인력 양성을 위한 바람직한 미디어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두고 이에 관한 문제점들과 그 해결 가능한 대안모색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상파 방송3사의 인력운용 핵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우선 방송 현업의 측면에서 볼 때 대학의 언론 및 방송 유관학과의 방송학 교육이 방송사로의 인력진출을 위한 교육으로서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방송사 인력운용 과정에서의 교육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사했다. 또한 방송사내 연수 및 재교육 시스템과 아울러 미디어 교육적 차원에서의 대학과 방송사의 산학협동 교류의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론 방송 유관학계와 방송 현업 간에는 적지 않은 시각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학계는 방송 현업의 관행에 대한 개선을, 방송 현업은 유관 학계의 조화로운 미디어 교육을 요청하고 있다.

  • PDF

방송 실무교육으로서의 일터학습 사례 연구 (Workplace Learning as a Broadcasting Job Trai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 오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823-833
    • /
    • 2012
  • 방송 제작현장에서 이뤄지는 일터학습은 예비 방송 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이지만 대학 커리큘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론 관련 학과 학생들이 경험한 일터학습 사례를 제시하고 일터학습이 지닌 장단점과 효과 및 향후 방송 실무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1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토론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기존의 대학 실무교육이 제공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현실 상황을 일터학습에서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써 학생들은 현장 적응력과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인식을 갖추게 되었으나 생존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방송산업계 현실 앞에서 직업 선택에 다소 혼란을 느끼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일터에서 시행착오나 실수, 피드백, 선의의 경쟁, 모방을 통해 자발적으로 학습하는 무형식학습을 경험하였으며 일터학습 결과 인터뷰 요령, 촬영 및 편집, 틀짓기, 사회적 대인관계 영역 등에서 암묵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방송 실무 강의자들이 일터학습에 보다 관심을 갖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 융합수업 개발과 효과 연구 (A Study Abou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Blending Class for The Media Contents Manufacture)

  • 박성규;이민효;서인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17
  • 방송 콘텐츠는 매우 잘 분업화 된 시스템에 의해 서로의 협력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대학의 교육과정은 각 학과의 특성과 목적에 맞추어 독립적인 학문과 실험이 이루어지므로 학생들은 완성된 콘텐츠 제작 과정을 경험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방송 콘텐츠 제작을 위해 프로그램 연출 및 영상, 음향, 카메라, 조명 등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가진 교수진의 협력을 바탕으로 방송용 콘텐츠를 만들어 가는 융합수업의 개발과 학습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 PDF

문화 컨텐츠 산업과 연계된 방송 연예, 연기학과 전공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jor Curriculum for Broadcasting, Entertainment and Acting in Connection with Cultural Content Industry)

  • 박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061-1072
    • /
    • 2013
  • 문화 컨텐츠 산업의 직무 능력 요구에 적응하는 산업현장과 연계된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방송 연예, 연기학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우선 연기 예술의 직무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화 콘텐츠 산업의 환경 분석, 산업체 수요 조사, 재학생과 졸업생 요구조사, 지역사회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 전문가와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평가를 통해 기존의 교육 과정을 분석하였다. 위의 분석 된 결과를 토대로 방송 연예, 연기학과 전공 교육과정개발을 수행하였다. 위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핵심역량에 집중하는 연기 교육으로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으며 지역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매체 시대에 걸맞는 통합적인 배우를 양성할 수 있다. 또한 명배우를 양성하기보다는 쓰임새 있는 배우를 길러 낼 수 가 있다.

디지털 융복합 환경을 고려한 음향 및 오디오 기술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Acoustics and Audio Engineering on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 오원근;이에스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91-19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융복합 환경하에서 효과적인 음향 기술 교육을 위한 대학 학부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음향학회(ASA)와 오디오 엔지니어협회(AES)에 링크된 미국과 유럽 대학의 음향 기술 교육과정을 그 특징에 따라 순수 음향학 지향, 음향 응용 지향, 그리고 학제간 융합 지향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로 외국 사례를 고찰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음향 기술 교과과정에 대한 단계별 기초 모형과 세부적인 교과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내용은 향후 본격적인 국내 음향교육 교과과정 구축에서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S방송고등학교의 실험.실습실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remodelling of the laboratory of S high school of broadcasting for converting into specialized one in the sec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 오승균;이명의;이용순;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11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S특성화 방송고등학교의 실험 실습실 재구조 방안과 리모델링 모형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각 과별로 실험 실습실 재구조 방안은 첫째, 각 전공별로 개편할 실습실명과 평면도 및 투시도를 구성주의 철학에 맞도록 재구성 설계하였다.둘째, 과별로 주요 실험 실습실 개편에서 방송기계과에서는 방송무대기계실습실, 방송기계요소가공실, 방송기계설비실습실, 영상기계실습실 등, 방송전기통신과에서는 영상 음향편집실, 방송통신설비실, 방송시스템실습실, 무대조명실습실 등, 방송무대건축과에는 방송무대제작실습실, 방송무대디자인 실습실, 방송무대장식실습실 등 각과별로 7실을 제안하였다. 셋째, 과별 사무실을 세미나실로 배치하였고, 각 실습장은 전공별 전담제로 실습실 관리 및 연구실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넷째, 과별로 산학협력실을 설치하여 외부의 기업체가 입주시켜 산학협력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산학 연계 교육의 장으로 구상하였다. 그리고 각 과별로 실험 실습장 1실에 대하여 개편 실습실명, 평면도 및 투시도, 실습실 운용 방안 등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특히 방송 관련 실험 실습실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산학겸임교사 활용, 방송기술관련 전문 동아리, 학교내 기업 유치 등을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성공하기 위한 실험 실습실 리모델링 및 장비 구입에 많이 예산이 소요되는 분야이므로 '민간자본유치사업(BTL)'을 유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방송통신대학 간호학 전공과정 간호사의 수업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e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세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94-604
    • /
    • 2016
  • 본 연구는 방송통신대학 간호학 전공과정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업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학업을 병행하고 있는 방송통신대학 간호학 전공 과정에 있는 간호사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퉁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방송통신대학 간호학 전공 과정 간호사의 수업만족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방송통신대학 간호학 전공과정 간호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분석하는 중재 연구 또한 필요함을 제안한다.

SCORM 기반 u-Learning

  • 최성;류갑상
    • 정보처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6-91
    • /
    • 2006
  • 정보통신 기술의 변화는 방송 통신망의 융합, 브로드 밴드 네트워킹, 스마트 디바이스의 다양화, 멀티미디어 기술의 고도화로 요약된다. 이 모든 기술이 종합적인 작용으로 유비쿼터스 사회의 기반이 되고 있다. 그래서 기존 인터넷기반 시스템과는 다른 차세대 온라인교육시스템이 본격 개발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기반의 온라인 교육시스템은 각종 국제표준단체에서 표준안이 제시하고 있다. 본 신기술해설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은 반영한 SCORM기반 u-Learning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