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흔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2초

구내접근법을 이용한 악하선 적출 (Intraoral Approach in Submandibular Gland Extirpation)

  • 유준영;고광희;윤현중;이국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86-190
    • /
    • 1995
  • 타석증을 동반한 만성 악하선 타액선염의 경우 악하선 적출은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악하선 적출술은 수술의 용이성, 수술시야의 확보 등의 장점으로 구강외접근에 의해서 시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시대적으로 심미적인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요즈음 구외 접근으로 인한 술후 반흔은 구외접근법의 가장 결정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설하선과 함께 적출하여야 할 경우 구내접근과 구외접근을 동시에 실시할 경우 술후 치유과정상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반면에 구강내 접근에 의한 악하선의 적출은 수술상의 고도의 난이도로 수술자체의 어려움은 있으나 구강의 반흔을 남기지 않아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저자 등은 타석증을 동반한 악하선 타액선염의 환자에 있어 구내 접근으로 악하선 및 설하선 적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양측성 성대 마비로 오인된 피열간 반흔 1예 (A Case of Interarytenoid Scar Disguising Bilateral Vocal Cord Palsy)

  • 신동혁;김용운;이용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38
    • /
    • 2014
  • The patient suffered cardiac arrest 8 months before presentation. She has been suffering hoarseness and exertional dyspnea and nocturnal stridor. Upon flexible laryngoscopy, her vocal cords showed no motion and fixed in paramedian position. There was no causal finding on neck CT. EMG showed some muscular activity. Under the suspicion of crico arytenoid fixation, we performed suspension laryngoscopy, and found the arytenoid cartilage was fixed with short and stout scar, which was removed with scissors. Just after surgery she regained her voice and respiration.

  • PDF

개에서 데스메막류 치료를 위한 양막이식의 적용 (Bovine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Descemetocele in a Dog)

  • 강명곤;최용훈;김준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4-336
    • /
    • 2006
  • 1.6년령 암컷 시쮸가 좌안에 각막천공, 데스메막류 및 심한 melting ulcer를 나타냈다. 손상된 각막에 소에서 유래한 양막을 이식하고 동시에 제3안검판을 실시하였다. 14일후에 제 3안검판을 제거하고 각막은 형광염색 음성을 보였다. 수술 후 42일째 각막 중앙에 중등도의 반흔이 존재하였고 10개월 후 각막은 거의 투명하였으며 가벼운 반흔만이 나타났다.

성대 반흔에 대한 기초연구의 최신 경향 (Trend of Basic Research for Vocal Fold Scar)

  • 이병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32
    • /
    • 2012
  • Vocal fold scar disrupts structure of lamina propria and causes significant change in vocal fold tissue biomechanics, resulting in a range of voice problems that often significantly compromise patient quality of life. Although several therapeutic management have been offered in an attempt to improve vocal fold scar, the ideal treatment has not yet been found. Recently, several tissue engineering technique for vocal fold scar using growth factors, several cells, and scaffolds have been described in tissue culture and animal models. Several growth factors such as hepatocyte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 for therapy and prevention of vocal fold scar have been studied. Cell types to regenerate vocal folds in scarring tissue have been introduced autologous or scarred vocal fold fibroblast and adult mesenchymal stem cells. Decellularized organ matrix and several hyaluronic acid materials have used as scaffolds for vocal fold sc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