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9초

먹는물 약수터 장구균의 검출 특성과 반코마이신 내성 현황 (Detection of Enterococci and their Vancomycin Resistance in Drinking Spring-Water)

  • 윤태호;이향;이승주;여인학;엄석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79-985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먹는물 약수터를 대상으로 분변오염 지표미생물인 장구균 검출 특성과 염기서열을 이용한 동정 및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먹는물 약수터의 장구균은 212건의 시료 중 42건(19.8%)에서 0~110 CFU/100 mL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의 검출빈도와 유사(t-검정, p-값 0.268, 유의수준 0.05)하여 지표미생물로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동정에서는 표본적으로 추출한 56개 검체에서 Enterococcus faecalis (24검체), E. faecium (10검체), E. casseliflavus (10검체), E. gallinarum (3검체), E. hirae (2검체), E. durans (2검체), E. sanguinicola(1검체)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는 E. faecalis는 국내 병원환자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되는 우점종 분포와 유사하였다.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은 검체 시료 53검체 중 14(26.4%)검체에서 vanB 및 vanC1/C2 형이 각각 2와 12검체가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먹는물 약수터가 분변오염 등으로 인하여 장구균 검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소독 등 외부오염물질 유입 차단 및 저감대책이 필요할 것을 시사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이행도 및 관련요인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Awareness and Compliance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 박영미;박형숙;박경연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31-53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 to October 14, 2007 from 188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The nurses answered a 26 item-questionnaire, which included management of the cohort (14 items), hand washing (6 items) and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6 items). Descriptive statistics, t or F 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PC+ 14.0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participant's level of awareness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was 3.87; that of compliance was 3.74.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compliance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were'the level of the awareness' and 'the type of intensive care unit'. These two variables accounted for 21.0% of variance for compliance with th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among the participants.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y to increase the compliance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it is necessary to be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the awareness', 'the type of intensive care unit;', and 'experiences of caring for patients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 PDF

낙동강에서 엔테로코커스의 분포특성 및 항생제별 내성률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Enterococcus spp. in Nakdong River)

  • 성진욱;차순배;유광현;최광순;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360-366
    • /
    • 2013
  • 본 연구는 하수 및 가축분뇨 처리장 방류수, 하천수를 이용하여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의 검출여부를 확인하고 검출된 장구균의 표현형을 분석함으로써 하천에 대한 공공처리시설의 방류수에 포함되어있는 엔테로코커스의 영향을 파악하여 항생제 내성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항생제 내성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엔테로코커스의 동정시험 결과 모두 32균주가 검출되었고 이는 모두 E. faecium으로 동정되었다. Multiplex PCR 시행한 결과 32균주 모두 Van A 표현형에 해당하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별 세균의 E. faecium 집락수의 측정 결과 하수처리장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천 지역의 경우 상류지점에서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세균의 colony 숫자도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시료 26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검사 결과, 19개의 항생제 중 내성, 감수성을 보인항생제 수는 각각 14, 5종으로 내성을 보이는 항생제의 수가 약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천 시료 6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검사 결과, 19개의 항생제 중 내성, 감수성을 보인 항생제 수는 각각 14, 5종으로 내성을 보이는 항생제의 수가 약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하수처리장 방류수 시료의 검사 결과와 동일하였다.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소아에서 리네졸리드로 치료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복막염 1례 (A Cas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Peritonitis in a Pediatric Patient on CAPD Successfully Treated with Linezolid)

  • 백승아;박성신;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45-249
    • /
    • 2008
  • 복막염은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게 있어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복막염은 잦은 재발과 최근 내성균의 출현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vancomycin 내성 장구균(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에 의한 복막염은 1999년에 국내에서 처음 보고된 이래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치료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복막투석 소아에서 리네졸리드(linezolid)로 VRE에 의한 복막염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중환자실 환자의 입실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집락의 위험요인과 임상적 결과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for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Colonization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 변숙진;강지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87-29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colonization rate in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ssociated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for VRE colonization. Methods: Of the 7,703 patients admitted to the ICUs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0, medical records of 554 VRE colonized and 503 uncolonized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analyzed the impact of colonization on patients' clinical outcomes, 199 VRE colonized patients were matched with 199 uncolonized patients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567 (7.2%) of the 7,703 patients were colonized with VRE.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the following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VRE colonization: use of antibiotics (odds ratio [OR]=3.33), having bedsores (OR=2.92), having invasive devices (OR=2.29),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colonization (OR=1.84), and previous hospitalization (OR=1.74). VRE colonized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infectious diseases than uncolonized patients. VRE colonization was associated with prolonged hospitalization and higher mortality. Conclusion: Strict infection control program including preemptive isolation for high-risk group may be helpful.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surveillance program on the incidence of colonization or infection with VRE in the ICU.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환자 보호자의 질병 불확실성과 감염관리 수행 (Uncertainty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Caregivers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Patients)

  • 이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46-357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VRE 환자 보호자의 질병 불확실성과 감염관리 수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소재한 D의료원에 입원한 VRE 환자 보호자 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t-test, ANOVA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VRE 환자 보호자의 질병 불확실성은 56.99점이었고, 감염관리 수행 정도는 35.09점이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 정도 차이 검정에서 나이(F=121.38, p<.001), 학력(F=102.77, p<.001), 환자와의 관계(F=17.80, p<.001), 하루 평균 간호하는 시간(t=3.14, p=.002), 가족의 형태(t=-8.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질병 불확실성은 유의하게 감염관리 수행 정도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96, p<.001). 결론: 본 연구결과는 VRE 환자 보호자를 위한 감염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감염관리 표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신속 검출 (Rapid Detection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s)

  • 김종배;김근희;송혜원;박성언;엄용빈;박상욱;김양수;박수진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5-100
    • /
    • 1999
  • 일반적으로 임상검사실에서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를 검출하는 일은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들며, 검체처리 비용도 많이 든다. 따라서 본 실험은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세균으로부터 VRE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확립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primer는 장구균에 특이 한 유전자인 vanA, vanB, vanC-1, vanC-2/3 각각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primer를 제작하고, 다중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실시하여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VRE 유전자의 type및 분포율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분리된 75주의 장구균을 대상으로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한 결과 36주의 분리균주에서 vancomycin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vanA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8주에서는 vancomycin에 낮은 저항성을 내성을 보이는 vanC-1 또는 vanC-2/3 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확립한 다중 중합효소 연쇄 반응 기법은 신속한 VRE 진단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s Nurses)

  • 김지희;임경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5-33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s (ICU)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4 ICU nurses who were working at 6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D city and G Province. Results: 77.2% and 84.4% of the subjects correctly answered to questions abou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respectively. The scores of MRS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and VRE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were 3.41 and 3.43, respectively. The factors influencing MRS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were empowerment, environmental safety recogni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30% of MRSA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The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VRE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were empowerment, hospital types, environmental safety recognition, number of education sessions, and neonatal ICU, which explained 37% of VRE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icient educational programs for infection control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s to improve empowerment and environmental safety recognition of nurses. Furthermor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ose infection control programs is also necessary.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에서 분리된 항생물질 마크로락틴류의 구조결정 (Structure Determination of Macrolactin Compounds with Antibacterial Activities Isolated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 김동희;강경란;김현우;윤시열;김천규;토쿠타로 야마구치;송재경;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792-1800
    • /
    • 2010
  •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케이제이에스-2의 발효액에서 5 종류의 마크로락틴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로 마크로락틴 에이, 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 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마크로락틴 이, 마크로락틴 에프 등으로 규명되었다. 특히 3종의 항생제인 마크로락틴 에이, 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 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과 메치실린 내성 황생포도상구균에 효과적으로 성장억제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반코마이신이나 테이코플라닌보다 우수한 항생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