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밀레니얼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1초

유튜브 브이로그 이용 동기 및 이용자 특성이 이용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User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YouTube Vlog)

  • 윤지영;유지윤;이장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89-201
    • /
    • 2020
  • 동영상으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해 친구들과 소통하는 것이 Z세대나 밀레니얼 세대에게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브이로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 브이로그 이용 경험이 있는 20-30대 일반인 168명을 대상으로 브이로그 이용 동기와 이용자 특성이 브이로그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즉, 브이로그 이용 동기(습관 및 시간보내기, 정보추구, 오락 및 휴식, 관음주의)와 이용자 특성(개방성, 감정적 동일시)이 이용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이로그에 대한 이용 만족 역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 분야라고 할 수 있는 브이로그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통해 여러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기초 코딩 교육에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이 프로그램 이해와 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Learners' Visual Literacy and Thinking Patterns on Program Understanding and Writing in Basic Coding Education for Computer Non-majors)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
    • /
    • 2020
  • 최근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이 점차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2019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까지 초·중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교육을 필수교육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물론, 대부분 대학교에서도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에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불리는 요즘 대학생들은 시각적 정보를 선호하고 디지털 네이티브로 컴퓨터에 익숙하다. 이런 특징을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 유형을 조사한 후, 기초 코딩 과목에서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과 사고유형이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코딩 기반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코딩이 처음인 컴퓨터 비전공자 학생들을 위한 코딩 활동에 대해서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design collaboration marketing in Korean cross-business)

  • 박혜인;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83-389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최근 증가하는 이종업계 간 콜라보레이션을 진행 시 고려할 점과 방향성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콜라보레이션을 주제로 한 선행논문과 문헌 연구를 통해 콜라보레이션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의 유형에 따라 밀레니얼 세대 공략, 브랜드 프리미엄 포지셔닝 이동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콜라보레이션 목적에 적합하면서 이슈가 될 만한 파트너를 선정해야 하고 결과물은 강조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디자인 요소가 담겨있으면서 기존 제품과의 분명한 차이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이종업계 간 콜라보레이션 진행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소비자의 지속가능 패션 소비 결정요인 연구 -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in China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 후신위;정소원;김은혜;이진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8-468
    • /
    • 2021
  •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China, the world's second-largest apparel market, is also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iber waste. Currently,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sustainable fashion in both supply and demand in China.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determinants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SFC) of Chinese consumer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an-nature orientation(MNO) and environmental knowledge(EK) as motivation and perceived online-store accessibility(POA) and perceived money availability(PMA) as barriers. Wenjuanxing, a Chinese professional survey collection agenc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millennials in Shanghai, China. The final sample size for the survey was 215.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towards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MNO and EK influenced the attitude, whereas EK, POA, and PMA influenc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PB literatu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ur antecedents: MNO, EK, POA, and PMA.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retailers and market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otivations and barriers that enhance the purchasing intention of Chinese millennials toward SFC.

SNS 쇼핑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in SNS shopping service -Focused on Instagram-)

  • 김고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07-41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밀레니얼 세대의 인스타그램을 통한 쇼핑으로 한정하여 더 구체화한 SNS 쇼핑 서비스에의 쇼핑경험을 측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ISAS 구매 단계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병행하여 SNS 쇼핑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정성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미적 경험은 Attention(주의) 단계와 Interest(흥미) 단계에서, 감성적 경험은 Action(구매) 단계와 Share(공유) 단계에서, 인지적 경험은 Search(검색) 단계에서 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SNS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지만, 본 연구에서 SNS 쇼핑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의 맥락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향후 SNS 쇼핑 서비스 제공 시 기존의 모바일 쇼핑 서비스와 차별화한 브랜드 및 서비스 전략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beauty SNS 인플루언서가 중국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K-beauty SNS Influencer on Chinese Consumers' Acceptance Intention of New Products: Focused o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 왕뢰;이진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74-585
    • /
    • 2019
  •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DX) has resulted in SNS influencer marketing trends becoming the mainstream of the new market. SNS influencers act as early adopters in the process of new products being accepted. Chinese consumers are most affected by Hallyu, which increases interest in K-beauty products. This study analyzes how K-beauty SNS influencers are related to Chinese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millennial consumers after watching videos provided by K-beauty SNS influencer; subsequently, 456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analysis based on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distinguishes the central route and the peripheral route in the process of Chinese consumers accepting new SNS products. The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information quality, credibility, accuracy, and useful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cceptance intention for new products among central route factors, and similarity, trustworthiness, pleasure,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new product among peripheral route factors. It was found that variables of the central route, rather than those of peripheral route, had stronger effects on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new products. Consequently, the central route of K-beauty SNS influencer is more important to Chinese consumers' acceptance of new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offer beauty influencer marketing-based cosmetics brands efficient consumer management suggestions.

패션 뷰티 콘텐츠의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Platforms Usage of Beauty Content with YouTube at the Center)

  • 위서현;정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7
    • /
    • 2021
  •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활용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 채널이 양적, 질적 확장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tatista를 통해 국내 및 해외 주요 뷰티 브랜드 및 패션지와 뷰티 인플루언서들을 대표하는 상위 5위의 채널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 생산자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과 콘텐츠 성격 비교 및 매력적인 콘텐츠가 어떤 유형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증가하는 뷰티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중심의 유튜브 플랫폼의 성장은 제품 정보의 원천을 다양화시킴으로서 기존 광고의 수동적 소비자들을 생산자 혹은 새로운 전달자의 역할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자에 따라 다른 성격의 콘텐츠가 소비됨에 따라 객관적인 저널리즘적인 시선보다는 생산자 중심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차별화되는 뷰티 콘텐츠를 위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효과적인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더불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및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전달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 분석 (Analysis of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 박지수;이영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1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effective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analysis of luxury fashion brands. This study conducted both quantitative analysis and case studies of the brands Louis Vuitton, Gucci, Burberry, and Chanel. To measure the brand image of the luxury fashion brands,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Millennials, and total of 277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Other than survey, this paper analyze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through brand-related papers, website and social media of each brand, Samsung Designnet's database, and news posted on search eng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brand image of luxury fashion br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rands, except Gucci. Second, this study analyzed each luxury fashion br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arketing, and comm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ird, by analyzing the brand image an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it was confirmed that Gucci's brand image an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were consistent,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Burberry's brand image and digital marketing strategy. Therefore, this article proposes the following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for luxury fashion brands. First, is the connection of on/offline channels. Second, is the use of AI technology. Third, is a blockchain-based platform.

밀레니얼 세대의 Babywearing 제품에 대한 인식: 텍스트 분석 접근 (Millennial parents' perception of babywearing products: A text analysis approach)

  • 이완기;박명자;이규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28
    • /
    • 2021
  • The baby-tech industry, which combines IT with existing parenting product, is attracting increasing amounts of attention. Consequently various types of baby products incorporating functionality and design are being launched.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as the market segments increases for babywearing products, parenting products that account for the child's comfort and parents' convenience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erception of babywear products, which are important for the emotional stability, development, and rearing of children. The study utilizes text mining and a network analysis by collecting unstructured text data. An examination of the network, based on the frequency of keywords for each babywear product and the degree of the connection to the centering index, revealed that consumers value convenience and price when purchasing products. The consumer perception and consideration factors that appear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roduct we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studying body parts with high TF-IDF values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body parts considered by consumers for each product. Lastly, through the visualization data based on the keywords that appeared in public, commonly appearing keywords, and those that appeared individually were examined. Through SNS, product characteristics as well as a new parenting culture that shared child-rearing routines were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planning and market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abywear products that meet consumer needs.

Analysis for Daily Food Delivery & Consumption Trends in the Post-Covid-19 Era through Big Data

  • Jeong, Chan-u;Moon, Yoo-Jin;Hwang, Young-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31-238
    • /
    • 2021
  • 이 논문은 Covid-19 이후 기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주문하는 음식 배달과 소비의 경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날씨를 제외한 네 개의 요소들이 배달의민족 매출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KBS, MBC와 SBS 언론매체의 빅데이터 분석에서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가 거의 60%에 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Naver 검색결과에서도 Covid-19 관련 기사 다음 날에 심각하게 의미있는 음식 배달과 소비 증가를 발견하였다. 그 이외에, 소비의 흐름에 있어서 모바일을 통한 배달이 주류가 될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경기 침체기에 다른 산업 분야에 대하여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업의 입장에서 발빠른 대응으로 경기 침체 속의 호황을 맞이할 수 있는 분석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