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속성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유서류(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 Suh, Young-Dae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33
    • /
    • pp.31-72
    • /
    • 2010
  • At first, I extract materials on folk religion from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Chosun dynasty-Lee, Ji-Bong-Ryu-Seol(『芝峯類說』) by Soo-Kwang(李晬光), San-Lim-Kyung-Jae(『山林經濟』) by Hong, Man-Sun(洪萬選), Sung-Ho-Sa-Seol(『星湖僿說』) by Lee-Ik(李瀷), O-Ju-Yeon-Moon-Jang-Ju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Kyu-Kyung(李圭景), and present these materials by tables. Second, I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se materials on folk relig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① There are common features and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these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ne of common features are that all these four are encyclopedic works, but San-Lim-Kyung-Jae is more practical than another three. ②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regard folk religion as a negative culture, because these literatures based on Confucianism.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folk religion. ③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give us many informations on gods and spirits of Korean folk religion, i.e. city gods(城隍神)·Yup-Sin(업신)·spirits of disease, god Kim-Bu(金傅大王神)·god Jung-Duk-Yang(鄭得揚)·god of King Kuan-u(關王神)·god Bu-keun(付根神) etc. So I review these gods and spirits referenced in encyclopedic literatures. ④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show much interest in ghost in common. The reason of interest is that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 was concern about ghost. The Sung Confucianism denied the ghost as personal being whom Korean folk religion regards to a kind of spirits. Instead of beliefs in ghost of folk religion, they insist on the ghost as Ki(氣), a kind of cosmic principle. Bu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cknowledge some parts of folk religion's beliefs in ghost, because they admit the miraculous virtues of these parts. ⑤ There are many items on divination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But they show dual attitude on divinations. The one is nega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individual destiny and the other one is posi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agriculture. ⑥ There are also many items on witchcrafts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hrough these items, I assumed pervasiveness of beliefs on witchcraft at that time. ⑦ Shamans, as religious specialist, are stand on a central position of Korean folk religion. So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concerned on Korean shaman. As Confucians,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did not regards shamans as positive one.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shamans. In spit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have negative view points to, and include false informations Korean folk religion, I would like to emphasis on importanc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o understand Korean folk religions, especially Korean folk religions of late Yi Dynasty.

Research on the Costume for the Folk Festivals of Chilseok-dong (칠석동 민속축제복식에 관한 연구)

  • Kim, E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97-1404
    • /
    • 2003
  • 2002년 월드컵 전야제에서는 한국문화를 소개해 세계인의 환호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칠석동 민속축제인 고싸움놀이가 펼쳐졌다. 칠석동 민속축제는 일반 서민복식의 전통복 형태를 보여주는 복식(服飾)을 실제 착용하고 축제를 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복식을 놀이문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해 가는 민속복식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칠석동 고싸움놀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을 통한 고싸움놀이의 전수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민속축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지역인 광산구 칠석동 마을을 중심으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 민속에 관련된 전공서적과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행사팜플렛 등을 참고하였고, 현장조사는 고싸움 축제에 참가하여 복식 전반에 대한사진촬영과 마을축제 참여하는 마을사람들을 중심으로 축제복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은 행사가 진행되는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날 밤에 당산나무에 제를 지내는 당산제 복식, 마을의 평안과 고싸움의 흥을 돋우기 위한 농악복식,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에 아낙네들이 손과 손을 맞잡고 둥글게 돌며 화합을 다짐하는 강강수월래 복식,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고싸움복식이 있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면에서는 농경제의(農耕祭衣)와 안택축원(安宅祝願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축제복식으로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복식을 이용한 농경 의례복의 다(多)기능성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상은 우리조상의 백의(白衣)의 상징인 일상복인 백색 위에 오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강렬한 원색의 색상조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면에서는 양쪽어깨와 허리선의 면 분할이나 비례를 통해 허리부분의 동작에 따른 유동적인 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면구성의 단조로움은 흔들리는 몸동작에 따른 고름의 율동미와 축제복식의 착장 방법에 따른 한국복식의 형태미를 보여주었다.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edicinal Usage in Ethnobotanical Plant Resources of Korea (한국의 민속약용식물에 대한 정량적 분석)

  • Chung, Jae-Min;Cho, Sang-Ho;Kim, Young-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1-41
    • /
    • 2018
  • 민속식물과 그 이용에 관한 전통지식이 산업화, 도시화 및 노인 세대의 퇴장과 더불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속식물 주권확보 기반구축을 위하여 2005년부터 2017년까지 1차(2005~2013), 2차(2014~2017)에 걸쳐 남한 전역 및 함경북도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각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이용해왔으며 전승되어 온 민속식물 관련 전통지식을 발굴 및 수집하였다. 민속식물 중 약용으로 사용된 것은 121과 383속 583종 3아종 64변종 12품종으로 총 662분류군으로 확인되어 식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반도 전체 관속식물 4,881분류군의 약 13.6%에 해당하며, 총 115,236건의 조사된 전통지식 중 17.9%를 약용이 점유하여 식용(67.2%) 다음이며 용재용(4.9%), 유지용(2.5%), 관상용(1.3%) 등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662분류군 중 자생식물은 511분류군(77.2%)으로 나타났고, 생활형은 다년생 초본이 295분류군(44.6%)으로 낙엽성 목본(186분류군), 1년생 초본(78분류군) 등 타 생활형에 보다 높았다. 약용식물의 이용부위는 뿌리(34.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줄기(16.2%), 잎(15.4%), 열매(12.1%), 전초(12.1%), 수피(3.2%), 종자(2.4%), 꽃(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이용빈도가 높은 상위 10개 분류군을 살펴보면 익모초, 쇠무릎, 인동덩굴, 느릅나무, 삽주, 엉겅퀴, 쑥, 질경이, 오갈피나무, 할미꽃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식물의 이용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특정식물 종의 이용을 언급한 정보보유자의 수(FC: Frequency of Citations), 이용범주의 수(NC: Number of use-Categories), 특정식물을 이용하는 수(UR: number of User Reports)를 활용하여 문화적 중요도(CI: Cultural Importance), 상대적 인용빈도(RFC: Relative Frequency of Citations), 상대적 중요도(RI: Relative Importance) 및 문화적 가치(CV: Cultural Value)를 산출하여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민속식물을 정량적으로 확인, 비교하였고 각 분류군별 지수도 제시하였다.

  • PDF

Ritual Manual and Folk Reli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의 의례 매뉴얼과 민속종교)

  • Choi, Jong-Seong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52
    • /
    • pp.197-250
    • /
    • 2017
  • Many kinds of ritual man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were published and transcrib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itual manuals are classified by 5 different types: 'ritual standards', 'rit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ritual books for the written prayers', 'religious ceremonial books', and 'general manners books'. All of them contributed much to the formation of folk rituals and religions, even though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ach book were different. The ritual manuals were not intellectual results of elites, but rather compilations of pre-modern ritual books and contemporary manners. These were widely spread among the people with the help of modern printing techniques. The ritual manuals aimed at common readers who wanted to look for ritual references easily. They were not just made for the special upper class. We can understand the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folk ritual and religion of the $20^{th}$ century by comprehending the ritual manual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 Study on Fusion of Folklore and Artistry of Folk Qinghua Paintings in Chinese Ming and Qing Period (중국 명·청 시대 민간청화 회화의 민속성과 예술성 융합에 관한 연구)

  • Bai, JuanJuan;Sun, Yue;Kim, Won 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343-347
    • /
    • 2019
  • As an important branch of decoration of blue and white painting, folk blue and white painting not only has a very long history, but also has a very distinctive folklore and artistry.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s an important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the folk blue and white painting, the folk craftsmen through long-term study and practice, constantly familiar with drawing technique to master the method, combining folk life form, and folk painting decorative expression aesthetic demand, thus make the painting MinSuXing and artistic expression continuously into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painting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become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component of ceramic decoration.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in Containing Medicinal Herb (한약재를 첨가한 전통주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ung-Sook;Park, Young-Sook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0 no.2
    • /
    • pp.83-89
    • /
    • 2007
  • 저온발효와 고온발효에 의하여 만들어진 민속주를 증류하여 알콜돗를 45%로 같이 맞추어 성분함량을 비교하였다. 발효온도에 따른 환원당의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저온발효 민속주는 15 mg/100 mL, 고온발효 민속주는 5 mg/100 mL로 나타났다. 즉 저온 발효에서 환원당의 양이 많았으며,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주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향기 성분에 생성과정에 영향을 주는 Fusel alcohol을 볼 때 반적으로는 발효액에 아미노산이 없는 것보다는 많을 수록 많은 양의 fusel alcohol을 생성되기는 하지만, fusel alcohol을 생성하기위한 조건은 효모의 종류, 발효조건, 발효온도, 발효액의 조성 등의 복잡한 인자가 관련된다. 본 연구에 제조한 발효주를 소주의 아미노산과 비교할 때 아미노산 함량이 전반적으로 20-100도 낮은 함량치로 나타났다. 한약재 첨가로 인하여 면역증강, 살세포 반응 억제효과, 기능성 전통주로 좋은 발효주로 인정되지만 한약재특유의 강한 향기를 약화시키는 연구가 금후에 보완되어야 한다고 본다. 발효온도에 따른 아미노산의 함량은 저온발효 조미주에서 cysteine, valine, mrthion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많았으며, 고온발효 조미주에서는 serine, glycine, leucine이 많았다. 한 alanine, tyrisine, lysine은 고온발효주에는 있으나, 저온발효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저온발효주와 고온 발효주 모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주보다는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저온발효와 고온발효에 의하여 만들어진 민속주를 증류하여 알콜 도수를 45%로 같이 맞추어 성분함량을 비교하였다. 발효온도에 따른 환원당의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저온발효 민속주는 15 mg/100 mL, 고온발효 민속주는 5 mg/100 mL로 나타났다. 즉 저온 발효에서 환원당의 양이 많았으며,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주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실험에서는 소주와 45% 고온 발효주를 비교 할 때 serine, glycine, cysteine, methionine, phenylalanine 등은 100배, alanine, valine, isoleucine 80배, ammonia 20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OD 측정의 실험결과 또한 control과 비교시 40% 발효주에서는 10배, 45% 고은 발효주에서는 100배 낮은 측정치가 나타났으므로 한약재의 색소성분을 휘발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고 본다. 항균성실험에서 항균성 측정은 06 cm paper disk agar diffusion법을 이용하였으며, 43%의 발효주와, 45% 고온 발효주가 항균력이 가장 강력한 0.95 cm의 영향을 나타냈다. 사용한 사용한 Gram 양성, Gram 음성 균주는 Escherichia coli KCCM 11591를 제외하고는 0.8 - 0.95 cm로 항균력이 강했으며, Gram negitive의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750 에서는 43% 발효주에는 0.95 cm, 45% 고은 발효주에는 0.95 cm의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높게 났다. 관능평가에서는 45% 고온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성 실험에 나타난 저온 45%의 갈색도의 측정과는 항산화성에서는 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항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43-45%와 관능평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45% 고온 발효주를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고온 발효주 45%가 가장 우수한 전통주로 조사되었다. 발효주를 소주의 아미노산과 비교할 때 아미노산 함량이 전반적으로 100배 정도 낮은 함량치로 나타났으므로, 한약재 첨가로 인하여 면역증강, 살세포반응 억제효과, 기능성전통주로 좋은 발효주로 인정되지만 한약재특유의 강한 향기를 약화시켜서 부드럽고 은은한 전통발효주의 연구가 금후에 보완되어야 한다고 본다.

Consolidation and Adhesion of Cellulose Nitrate of Folklore Artifacts in the 19~20th Century (19~20세기 생활민속자료에 사용된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의 강화와 접착 연구)

  • Oh, Joon Suk;Lee, Sae Rom;Hwang, Min You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4 no.6
    • /
    • pp.459-470
    • /
    • 2018
  • Cellulose nitrates were used for folklore artifacts(ornamental beads and pipes in hatstrings, frames of eyeglasses, ornamental eyeglass cases, headband ornaments, and jeogori buttons) betwee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however, they are susceptible to cracking, crazing, embrittlement, and crumbling due to deterioration. To consolidate and adhere deteriorated cellulose nitrate folklore artifacts, water-soluble acrylic emulsion adhesives were investigated. For consolidation, Plextol D 498, which has the lowest viscosity in low concentrations, was used. In adhesive films whos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is lower than room temperature, the tensile stress and modulus decreased and the strain increased; therefore, the flexibility was high. The Plextol D 498 and Plextol D 498 and Dispersion K 52 films maintained their adhesiveness and flexibility after artificial-sunlight-accelerated ageing, and Plextol D 498 and Dispersion K 52 films hardly caused yellowing. Plextol D 498 was the most stable for accelerating ageing. A low concentration of Plextol D 498 emulsion resulted in the best permeability on the surface of cellulose nitrate, compared with other acrylic emulsions. To prevent ornamental hatstrings from cracking, crazing, embrittlement, and crumbling, a Plextol D 498 emulsion was used. After applying low concentrations(1%, 3%) of the emulsion to consolidate the fragments and high concentration to adhere the fragments, the ornamental hatstrings were protected from crumbling by deterioration, and their fragments were well-adhered. To preserve it from deterioration by oxygen and humidity, the treated ornament was sealed with an oxygen-barrier film using a low-humidity oxygen scavenger.

A Survey on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Among Some Rural Areas (일부(一部) 농촌지역(農村地域) 주민(住民)의 민속의료(民俗醫療) 이용(利用)에 관(關)한 조사(調査))

  • Son, Kyung-Kab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7 no.2
    • /
    • pp.355-358
    • /
    • 1974
  • A Survey was carried out in August 1973 in order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among rural resiednts.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 Among total 500 cases utilizing traditional medical services, 60 cases were treated for diseases of digestive organ and 48 cases for nervous and sensory organ disorders. b) 198 cases utilized traditional medicine for self-treatment and most of them seemed to be unscientific and was based on an experience through their own practice. It should be developed and integrated with mordern medic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