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유서류(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 Received : 2010.06.25
  • Accepted : 2010.07.20
  • Published : 2010.07.30

Abstract

At first, I extract materials on folk religion from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Chosun dynasty-Lee, Ji-Bong-Ryu-Seol(『芝峯類說』) by Soo-Kwang(李晬光), San-Lim-Kyung-Jae(『山林經濟』) by Hong, Man-Sun(洪萬選), Sung-Ho-Sa-Seol(『星湖僿說』) by Lee-Ik(李瀷), O-Ju-Yeon-Moon-Jang-Ju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Kyu-Kyung(李圭景), and present these materials by tables. Second, I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se materials on folk relig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① There are common features and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these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ne of common features are that all these four are encyclopedic works, but San-Lim-Kyung-Jae is more practical than another three. ②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regard folk religion as a negative culture, because these literatures based on Confucianism.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folk religion. ③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give us many informations on gods and spirits of Korean folk religion, i.e. city gods(城隍神)·Yup-Sin(업신)·spirits of disease, god Kim-Bu(金傅大王神)·god Jung-Duk-Yang(鄭得揚)·god of King Kuan-u(關王神)·god Bu-keun(付根神) etc. So I review these gods and spirits referenced in encyclopedic literatures. ④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show much interest in ghost in common. The reason of interest is that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 was concern about ghost. The Sung Confucianism denied the ghost as personal being whom Korean folk religion regards to a kind of spirits. Instead of beliefs in ghost of folk religion, they insist on the ghost as Ki(氣), a kind of cosmic principle. Bu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cknowledge some parts of folk religion's beliefs in ghost, because they admit the miraculous virtues of these parts. ⑤ There are many items on divination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But they show dual attitude on divinations. The one is nega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individual destiny and the other one is posi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agriculture. ⑥ There are also many items on witchcrafts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hrough these items, I assumed pervasiveness of beliefs on witchcraft at that time. ⑦ Shamans, as religious specialist, are stand on a central position of Korean folk religion. So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concerned on Korean shaman. As Confucians,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did not regards shamans as positive one.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shamans. In spit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have negative view points to, and include false informations Korean folk religion, I would like to emphasis on importanc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o understand Korean folk religions, especially Korean folk religions of late Yi Dynasty.

이 글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유서인 이수광(李晬光)의 『지봉유설(芝峯類說)』·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수록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을 살펴본 것으로, 먼저 4종의 유서에서 민속종교 관련 항목들을 추출하여, 그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유서류에서 언급된 민속종교 관련 자료들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① 이들 유서들은 전대의 것이 후대의 것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저술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지봉유설』·『성호사설』·『오주연문장전산고』는 백과전서식 저술답게 민속종교의 다양한 측면을 전하는데 비해 『산림경제(山林經濟)』는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이란 실천적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② 이들 유서는 민속종교를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그것은 이들 유서가 기본적으로 유교적 관념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전한 부정에는 이르지 못하고, 영험성의 일부를 인정하기도 했다. ③ 조선시대 민속종교의 신앙대상들, 즉 성황신·업신·질병신·금부대왕신(金傅大王神)·정득양(鄭得揚)·관왕신(關王神)·부근신(付根神) 등에 대한 유서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④ 이들 유서류들은 귀신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였는데, 그들의 귀신론은 기본적으로 성리학에 기초한 것이면서도 그 영험성으로 말미암아 민속종교의 귀신론을 일부 수용하고 있다. ⑤ 이들 유서류에서는 공통적으로 점복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운명에 관한 점복은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농사의 풍흉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⑥ 이들 유서류에는 저주와 벽사에 관한 항목들도 상당수 있어, 이를 살펴보았다. ⑦ 무격은 민속종교의 성직자로서 민속종교의 핵심에 서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들 유서류에서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들 유서에서 무격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그 영험성의 일부는 인정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들 유서류들은 비록 민속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고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조선후기 민속종교의 다양한 사실들을 전한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유서류들은 향후 민속종교 연구에서 반드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화심층연구 지원비로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