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핵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6초

외래유전자를 주입한 소 수정란에서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의 선발 (Preselection of Bovine Blastocysts Expressing Exogeneous Gene Following Microinjection)

  • 공일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7-176
    • /
    • 1997
  • 본 연구는 수정란을 수란우에 이식하기 이전에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을 선발할 수 있다면 형질전환동물의 생산에 크게 도움이 되므로 3.2 kb $\beta$-actin promoter (lacZ/n대) DNA를 미세주입하여 배반포기배에서의 발현을 확인하여 이들을 선발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엿다. 채란된 난포란은 10%FBS, 5$\mu\textrm{g}$/ml LH, 0.5$\mu\textrm{g}$/ml FSH, 100 unit/ml penicillin 및 100 $\mu\textrm{g}$/ml streptomycin이 함유된 TCM199에 22~24 시간동안 체외성숙을 유도후 5$\mu\textrm{g}$/ml heparin으로 수정능획득을 유도한 1$\times$106 sperm/ml의 정자로 체외수정을 시켰다. 체외수정후 18~20시간째에 vortexing에 의해 과립막세포를 제거하고 원심분리시켜 자/웅전핵이 확인되는 수정란의 핵에 3~4 ng/${\mu}\ell$ lacZ/neo DNA를 미세주입하였다. 모든 수정란의 배양은 3 mg/ml BSA, 20${\mu}\ell$/ml NEM AMINO acids 및 40${\mu}\ell$/ml BME amino acids가 함유되어 있는 CR1aa 배양액에 neo/DNA로 transfected 된 BRL 단층에서 실시하였다. G418에 대한 적정농도를 찾기 위하여 정상적인 수정란에 0, 50, 100 및 200 $\mu\textrm{g}$/ml G418를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8일째에 30.3%(44/145), 8.7%(13/150), 0.7%(1/151) 및 0% (0/134)의 수정란이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다. 그래서 본 실험에서는 일정하게 100$\mu\textrm{g}$/ml G418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총 1,127개의 수정란을 미세주입후 G418 없는 배양액에서 710개 (63.0%)가 분할하였다. 미세주입후 48시간째에 2-세포기이상 분할된 수정란을 대조구 및 100$\mu\textrm{g}$/ml G418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integration되지 않는 것인지 또는 다만 염색 확인이 되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는 없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주입후 G418에서 배양한 배반포기배에서는 대부분의 할구에서 주입된 gene을 발현하고 있었으나 ICM colony에서는 특히 epiblast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침묵하고 있었다. 비록 G418 처리구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주입된 gene이 발현되고 있으나 총세포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이후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ES like-cell의 설립에는 감소될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형질전환 수정란의 선발 및 형질전환동물의 생산능력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PDF

전중추신경계 조사선량을 중심으로 한 수아세포종의 방사선치료성적 (Result of Radiation Therapy of Cerebellar Medulloblastoma - with Emphasis on the Neuraxis Dose -)

  • 김주영;김일한;하성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69-77
    • /
    • 1993
  • 후두와에서 발생하는 수아세포종은 육안적 전 종양적출술후 전 중추신경계와 원발부위에 적절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 함으로써 $50{\~}60{\%}$의 장기생존율을 보이는 종양이다. 일반적으로 후두와에 5,000 cGy 이상의 고선량을, 그리고 전중추신경계에는 $3,600{\~}4,000cGy$의 방사선 조사량을 사용하므로써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최근 장기무병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방사선치료로 인한 신경학적 합병증 및 성장, 지능장애의 문제들이 대두되어 많은 저자들이 예전보다 적은량의 방사선을 사용하여 그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1981년부터 1990년도 까지의 5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여 전중추신경계의 조사선량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해 보았다. 50명 환자중 분석 당시 NED 상태였던 21명에서의 관찰기간은 12개월에서 134개월이었고 그 중앙값은 71개월이었다. 한명을 제외한 모든환자에서 예방적 중추신경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척추조사선량은 7명에서 3,600 cGy, 14명에서 3,000 cGy, 그리고 29명에서 2,400 cGy가 조사되었다. 2,400cGy 조사군을 다시 fraction size로 세분하여 보았을 때 네 치료군 사이에서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Neuraxis control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항상을 보여주었다(p=0.003). 치료중 휴식기간과 fraction size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척추조사선량을 TDF 값으로 환산하였을 때 진단당시 neuraxis disease가 없었던 환자에서는 TDF 30이 통계학 적으로 의미있게 (p=0.004) neuraxis control을 좌우하는 값으로 보였다. 진단당시 neuraxis disease가 있었던 군에서는 neuraxis control을 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는 정확한 TDF 값을 발견할 수 없었다.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X>$r^2=0.996,\;x^2=7.6834$, p=0.11 였다. 이를 linear-quadratic model로 분석하면, 가장 적합한 선은 감마선인 경우에는 y= ($0.31{\pm}0.049)\;D+(0.0022{\pm}0.0002)\;D^2+(13.19{\pm}1.854$) 였으며, 중성자선인 경우에는 y=($0.99{\pm}0.528)\;D+(0.0093{\pm}0.0047)\;D^2+(13.31{\pm}7.309$) 였었다. 감마선에 대한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RBE)는 y=aD+$bD^2$+c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시켜 계산하였다. $$\frac{[-a{pm}\sqrt{a^2-4b\;(c-y}}]}{2{\times}6}$$ 미세핵 발생빈도가 세포당 0.05와 0.8사이에서의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는 $2.37{\pm}0.17$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선량에 따른 미세핵 발생빈도는 기존의 방사선 감수성 test의 결과와 대동소이하여, 앞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실험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며 짧은 시간에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생물학적 선량측정 도구로써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성징을 나타내는 rudimental processes에 의해 가능하였다. 수컷은 성적 성숙이 후기 유생기로부터 7개월 후에 이루어지며, 이때의 크기는 체장 5.

  • PDF

인체임파양세포에서 저선량의 감마선에 의해서 유도되는 적응 반응 (Adaptive Response to ionizing Radiation Induced by Low Doses of Gamma Rays in Human Lymphoblastoid Cell Lines)

  • 성진실;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94
  • 미량의 변이 유발소에 노출된 세포는 그 다음에 투여되는 다량의 변이 유발소에 대하여 내성을 갖게 된다. 이같은 적응 반응(adaptive response)은 대장균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이후 주로 인체 말초 혈액 임파구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적응 반응이 세포 종류를 막론하고 존재하는 일반적인 현상인지에 대하여, 또한 세포의 고유한 방사선 감수성과의 관계나 그 기전 등에 대하여도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같은 의문에 보다 접근하기 위하여 방사선에 매우 민감한 ataxia telangiectasia hemozygote, ataxia telangiectasia heterozygote, 그리고 정상인에서 유래한 인체 임파양세포주를 대상으로 1 c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50 c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감마선에 의해 유도되는 염색체 손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cGy 전처치시 그 다음 50 cGy에 의한 염색체 손상이 50 cGy 단독 대조군에 비하여 의의 있게 감소하여 적응 반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세가지 세포주의 방사선 감수성이 각기 달랐으나 적응 반응의 표현 양상은 이와 무관하게 유사하였다. 또한 염색체 손상의 복구에 필수적인 poly(ADP-ribose) polymerase를 억제하는 3-aminobenzamide를 50 cGy 직후에 투여한 실험에서는 적응 반응이 완전히 소실됨을 관찰하여 적응 반응이 어떤 종류의 방사선 손상의 복구 기전과 관계 있음을 추측케하였다. 따라서 임파양세포에서도 적응 반응이 존재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최초로 알 수 있었다. 이는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기전에 있어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손상 복구 기전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반림프절 비대가 국소치유율, 무병생존율,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었고 이들 세가지 인자와 전산화단층촬영상의 대동맥림프절 비대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었다. 조사선량이 많았으나 치료실패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이들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단순히 치료선량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다른 보조적치료, 즉 약물치료와의 병용치료 등이 절실히 요구되며, 또한 국소재발의 억제가 원격전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외부조사와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나 강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에 대해서는 적극적 수술방법의 도입을 고려해야하겠다. 합병증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 혈색소 수치 (p<0.0001), 강내 조사(p<0.0004)였고, 조직학적 소견(p<0.29), 유도 화학요법과의 병행치료(p<0.87)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093{\pm}0.0047)\;D^2+(13.31{\pm}7.309$) 였었다. 감마선에 대한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RBE)는 y=aD+$bD^2$+c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시켜 계산하였다. $$\frac{[-a{pm}\sqrt{a^2-4b\;(c-y}}]}{2{\times}6}$$ 미세핵 발생빈도가 세포당 0.05와 0.8사이에서의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는 $2.37{\pm}0.17$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선량에 따른 미세핵 발생빈도는 기존의 방사선 감수성 test의 결과와 대동소이하여, 앞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 PDF

조직내 Cryptococcus neoformans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Ultrastructure of Cryptococcus neoformans in the Skin Tissue)

  • 서영훈;권태정;김정숙
    • Applied Microscopy
    • /
    • 제12권1호
    • /
    • pp.49-56
    • /
    • 1982
  • 전신성 Cryptococcosis로 판명된 4세 남아의 피부 생검조직에서 발견된C. neoformans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 관찰과 함께 보고 하였다. 광학현미경 관찰에서는 각종 만성 염증 세포의 침윤과 함께 다수의 구형의 organism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적으로도 난원형의 세포가 gelatinous 또는 filamentous한 capsular material에 둘러 싸여 단세포 혹은 여러개의 세포가 모여 있는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budding중인 상태의 것도 관찰되었다. 세포막은 고전사 밀도의 여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한개의 핵과 핵인이 관찰되었고 세포질내에는 mitochondria, ribosome, lipid bodies, vacuole등과 함께 plasma membrane의 infolding으로 형성된 mesosome-like structure도 관찰되었다.

  • PDF

그래핀 결정입계의 이동 및 결함과의 상호작용 (Movement of graphene grain boundary and its interaction with defects during graphene growth)

  • 황석승;최병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73-278
    • /
    • 2014
  • 다결정 및 단결정 Cu 시편에 CVD를 이용하여 그래핀을 합성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조직사진을 이미지 조절 및 분석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광학현미경 조직사진 상에서는 구분이 어려운 그래핀 합성에 따른 미세한 특성들을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구현하였다. 그래핀이 Cu 시편의 결정입계에서 핵 생성하여 Cu 입내로 성장하는 거동을 보이고, 그래핀 성장 시 그래핀 입계의 이동이 Cu 입계 및 기공과 상호작용하는 현상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결과적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의 원인과 결과를 논하였다.

Co첨가에 의한 WC의 비정상입성장 (Effect of Co additive on the Abnormal Grain Growth of WC)

  • 이동범;채기웅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1-135
    • /
    • 2004
  • WC에 소량의 Co를 첨가하여 그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순수한 WC를 성형하여 그 윗부분에 Co를 올려놓고 195$0^{\circ}C$에서 소결을 행한 결과, WC시편에서는 Co상이 놓여 액상을 형성한 영역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모양이 다른 활발한 비정상입성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Co상이 놓인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시편 아래 영역에서는 낮은 치밀화와 함께 비정상입성장은 일어나지 않았다. 즉, Co 액상량은 WC의 비정상입성장 현상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비정장입정장 현상은 2차원 핵생성 기구와 그에 따른 입성장기구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BaTiO3 분말의 수열합성 해석 (Interpretation of Hydrothermal Synthesis of BaTiO3 Powder)

  • 오정강;서경원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09-514
    • /
    • 1999
  •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BaTiO_3$ 미세분말제조시 반응시간, 출발물질농도와 교반속도 등이 입자의 결정성, 평균입경과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핵생성-입자성장 모델과는 상이하게도 반응시간과 교반속도가 증가할수록 또는, 출발물질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입자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입도분포도 좁았다. 이로부터 $BaTiO_3$ 결정입자는 수열합성시 용해, 가수분해-축합반응, 침전, 응집, 확산, 전이 등의 복합적인 반응경로를 거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메틸수은(水銀)으로 손상(損傷)된 생쥐 간장(肝臟)에 대한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의 해독효과에 관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Detoxication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Mouse Liver Injury induced by Methyl Mercury)

  • 정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1호
    • /
    • pp.76-82
    • /
    • 1987
  • 생쥐 간세포(肝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에 미치는 메틸수은(水銀)의 독성적(毒性的) 영향(影響)과 이에 대한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의 해독효과를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연구하였다. 대조군(對照群)의 간세포(肝細胞)에 비하여 메틸수은(水銀)만을 투여(投與)한 군(群)에서는 핵(核)의 일부가 붕괴(崩壞)되고, mitochondria의 팽대(膨大), cristae의 수축(收縮) 내지 손실(損失) 및 다수의 대형 강포(腔胞)의 출현(出現)이 일어나고 glycogen의 양(量)이 감소되었다. 메틸수은(水銀)과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을 병행(倂行) 투여(投與)한 군(群)에서는 메틸수은(水銀)만을 투여(投與)한 군(群)에서보다 mitochondria의 팽대(膨大) 정도(程度)가 적고 강포(腔胞)의 크기와 수가 감소되었으며 정상(正常) 세포(細胞)와 비슷한 상태로 나타났다.

  • PDF

두 종류(種類)의 소의 Herpes Virus에 대한 미세구조변화(微細構造變化)의 비교연구(比較硏究) (소의 전염성비기관염 바이러스와 악성카탈열 바이러스) (A Comparative Study of Ultrastructural Changes due to Two Bovine Herpes Viruses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Virus and Malignant Catarrhal Fever Virus))

  • 서익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44
    • /
    • 1979
  • Herpes virus인 소의 전염성 비기관염 바이러스와 악성 카탈열 바이러스의 형태(形態)와 그 형성과정(形成過程)(형태발생(形態發生))을 조직배양(組織培養)에서 각기 시험(試驗)하였다. 이 두 종류(種類)의 바이러스는 herpes virus의 특징적(特徵的)인 구조(構造)를 가지나 그 형태발생(形態發生)이 상이(相異)함을 밝혔다. 1. 소의 전염성비기관염(傳染性鼻氣管炎) 바이러스 (IBRV/CT3) 배양에서 그 바이러스의 envelope는 세포질막(細胞質膜)으로부터 유래(由來)됨을 밝혔다. 2. IBRV/CT3 배양에서 envelope는 가진 바이러스는 세포핵내(細胞核內)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3. 소의 악성(惡性)카탈열(熱) 바이러스(MCFV/C500)의 배양에서 그 바이러스의 envelope는 세포핵막(細胞核膜)으로부터 유래(由來)됨을 밝혔다. 4. 소의 악성(惡性)카탈열(熱) 바이러스(MCFV/C500)에 감염(感染)된 토끼의 폐장(肺臟)에서 얻은 macrophage에 대해 바이러스의 소재(所在)를 추구(追究)한바, 이 바이러스는 macrophage의 세포질내(細胞質內)에만 존재(存在)함을 밝혔다. 그리고 이 바이러스는 탐식(貪食)된 바이러스임을 알았다.

  • PDF

구리 박막의 선택적 화학기상 증착에 대한 운반 기체의 영향과 기판 표면 처리에 의한 선택성 증진 효과 (The Carrier Gas Effects on Selectivity and the Enhancement of Selectivity by Surface Passivation in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Copper Films)

  • 김석;박종만;최두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9호
    • /
    • pp.811-823
    • /
    • 1997
  • 차세대 반도체 배선분야에서, Cu박막은 현재의 AI을 대체할 물질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CVD에 의한 선택적 증착은 Cu의 patterning과 관련하여 상당한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fac)Cu(VTMS)의 유기원료를 사용하여, CVD공정변수, 운반기체, 표면 처리 공정에 따른 SiO$_{2}$, TiN, AI기판에 대한 선택성을조사하였다. 선택성은 저온(15$0^{\circ}C$), 저합(0.3Torr)에서 향상될 수 있었으며, 특히, HMDS in-situ-predosing공정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대해, H$_{2}$운반기체가 Ar 보다 짧은 incubation time과 높은 증착 속도가 얻어졌으며, Cu입자들의 크기가 작고 연결상태가 보다 양호하였다. 이는 H$_{2}$경우에 기판표면에 원료가 흡착되어 핵을 형성시키는 위치 (-OH)가 보다 많이 제공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미세구조의 차이는 H$_{2}$경우에 보다 낮은 비저항을 얻게 했다. HMDS in-situ predosing공정에 의한 Cu박막내 불순물 차이는 없었으며 뚜렷한 비저항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