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환경관리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nstruction Schemes of GIS-based Integrated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nked with Korean Reach File (KRF를 연계한 GIS기반의 통합 물환경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 Lee, Chol Young;Kim, Kye Hyun;Park, Yong Gil;Lee, Hy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0 no.2
    • /
    • pp.226-241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schemes of GIS-based system development for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in water environment linked with Korean Reach File (KRF). For this purpose, precedent studies and systems of the U.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induce optimal methodology for Korean circumstances. Thereafter, data linkage methods of KRF and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system configuration plans, application development plans, and KRF improvement and maintenance plans were considered. For data linkage and system configuration, three methods were suggested: an overlay operation-based data linkage method, entering spatial addresses into the existing DB, and creating link information between KRF and the existing DB. The first method was predict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system implementation, the second method is advantageous for search tasks, and the third method is advantageous for system security and maintenanc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should be develop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the users and their usages. Moreover,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regular renewal of KRF, standard development, expansion of construction areas, etc.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research on actual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also should be conducted for supporting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Applic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in Flooding Areas (침수위험지역의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 Woo, Won Hee;Lee, hanyong;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9-189
    • /
    • 2019
  •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변화로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빗물의 침투량이 감소하고, 유출량은 증가하는 등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오염원의 증가로 수질오염과 지하수고갈에 따른 건천화 등 부정적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물순환 체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의 홍수 및 가뭄이 극심해지고 시민의 삶의 질도 위협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으로 도시화 및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집중호우의 발생빈도 또한 높아 심각한 수자원 물재와 홍수피해위험이 높다. 이에 도시의 물환경 변화 및 왜곡된 물순환 체계를 지속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환경부 및 국토부 등 정부기관에서는 물환경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저영향개발 기술요소를 도입하고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역의 저영향개발기법을 도입하여 유출저감 효과를 모의하고,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지구이며, 면적 364.2ha, 투수층면적 160.7ha, 불투수층면적 203.5ha로 불투수율은 55.90%로 산정되었다. 대상지역인 안동지구 우수관로현황 조사결과 (30년빈도 강우강도 적용) 관로의 통수능 검토시 전체관로 26.97km 중 통수능 부족관로는 15.60km로 전체대비 약 57.8%로 나타났다. 안동지구 내 우수관거는 간선관로의 경우 10년빈도, 지선관로의 경우 5년빈도로 설계, 시공되어 있으므로 각종 공단이 입지한 시가지인 안동지구는 도로포장등으로 인해 불투수층이 대부분을 차지해, 강우시 도로표면 유출수의 증대로 침수피해가 가중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여 맨홀로 유입되는 직접유출(DCIA,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를 줄이고,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 경제성을 평가하여 향후 침수위험지구 관거개량시 저영향개발기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Flood Mitigation Policy in Urban Watershed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홍수 대응 정책 평가)

  • Hee Won Jee;Seung Beom Seo;Jiheun Kim;Jaepil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8-498
    • /
    • 2023
  • 정부와 지자체는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자 내수배제 용량 증대, 건전한 물환경 조성 등 다양한 방향의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각 지자체 별로 다양한 홍수 대응 정책들을 반영하고 있지만, 2022년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역 침수 피해 사례와 같이 기후변화로 인하여 증가된 홍수량에 대한 적절한 대비를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는 현재의 홍수 대응 정책들과 더불어 추가적인 홍수 대응 정책을 시행하여야 하며, 지속가능한 개발을 고려한 유역의 건전한 물순환을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등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행 가능한 홍수 정책들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미래 빈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적의 홍수 대응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선정한 홍수 대응 정책은 우수관거 용량을 증대시키는 관거 교체 정책, 지속가능한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한 투수성 포장과 옥상녹화 정책을 선정하였다. 미래 강우 시나리오는 3개의 CMIP6 GCM모형(ACCESS-CM2, CanESM5, GFDL-ESM4)과 2개의 SSP-RCP 시나리오(SSP1-26, SSP5-85)를 사용하였다. 홍수 저감 효과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인 SWMM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정책 이행에 발생하는 공사와 운영 비용을 산정하여 경제적 편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투수성 포장과 우수관거 용량 확대 정책을 반영하는 정책 시나리오가 가장 경제적인 홍수 저감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정책별 경제적 비용과 홍수 저감 효과 분석은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유역의 홍수 대응 정책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for the Year 2021 (2021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8-408
    • /
    • 2022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면적 88.17km2, 유로연장 18.69km, 유로경사 1.62%,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2021년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표수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기존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와 유역인근 3개 관측소(동두천, 파주, 철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21년의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의 총강우량은 1,149.8mm이며, 하천유출량은 701.2mm(총강우량 대비 61.0%), 실제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 추정값)은 381.3mm(33.2%)이며, 그 외는 유역 손실량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2019 Year (2019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4-274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유역(유역면적 8.48㎢, 유로경사 2.15%,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지하수함양량은 유역내에 관측된 지하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설마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1,024.1mm이며, 하천유출량은 608.6mm(총강우량 대비 59.4%), 실제증발산량은 385.1mm(37.6%), 지하수함양량은 30.4mm(3.0%)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은 1개 지점에서 산정값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된 결과이다. 향후 유역 전체를 대표하는 기법의 개발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2019 Year (2019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3-273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 상·하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차탄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975.9mm이며, 하천유출량은 507.9mm(총강우량 대비 52.0%), 실제증발산량은 366.4mm(37.5%), 지하수함양량은 101.6mm(10.4%)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은 유역내 1개 지점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며,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을 위한 지하수위 관측정이 부재한 상황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ing Evaluation Index and Item for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of Gyeongin ARA Waterway (경인 아라뱃길의 물환경 개선을 위한 오염원인 평가항목 및 지표 개발)

  • Lee, Kyung-Su;Kim, Tae-Hy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469-482
    • /
    • 2018
  • This research has developed the criteria and index for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assessing the quality of river water by fixing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Gyeongin ARA waterway's water quality through analysis with the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gram (AHP) Method. Based on the results, the highest criteria are, in order of importance,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28%, administrative factors 26%, natural fixed factors 26% and finally, cultural and social factors 20%. The three dimensions of the criteria show that for the intern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most important are the loss of self-purification capacity, and the external factors are Gulpocheon and the sludge deposit due to Gyulhweon-weir the bridge. The facility factor in management was affected by the coagulation and waste water disposal facilities. The problem for the policy and institutional factors was seen in the regulatory area. The aquatic ecology/ point pollution source for the natural fixed factors show that it is due to the polluted water of Gulpo-cheon and the living environment/ non-point pollution source is shown through the inflow water from other rivers. Cultural and social factors show that the economical causes were due to the cargo and passenger flight operations and the external factors of having a lack of sewage treatment equipment have an importance effect. In order to estimate the order of priority through logical evidence and objectivity, future research must be continued on the evaluation indexes to measure the specific methodology and technique needed to improve the Gyeongin ARA Waterway.

A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Using Water Environment Network Data in Nakdong River (낙동강수계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비모수적 수질 경향 비교 및 분석)

  • Kim, Jungmin;Jeong, Hyungi;Kim, Hyeran;Kim, Yongseok;Yang, Deuks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1
    • /
    • pp.61-77
    • /
    • 2020
  • In South Korea, major public waters have been systematic management under national level. Water environment network has been continuous monitoring for change of aquatic ecosystem, river and reservoir. I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the data have been generally monitored Per eight days or month, while in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 data have been monitored at daily intervals. Therefore, w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ater quality data between the networks using statistic method for same water quality item. Mann-kendall test results confirm that all points in Water Temperature (WT) and DO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is significant variation of TOC in the four different sites, TN in two different sites, TP in three different sites, WT in seven different sites, pH in two different sites betwee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s a result firm LOWESS, TOC and pH clearly shows different trend. Among different sites, the water quality show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t Sinam-Sangju2 and Namgang-Namgang4.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appeared in TP (ADD_Lower-AD1 site), TOC (DG-SG site), pH (GR-GR site), TP (JP-CN) and TN, TP, pH, EC, DO (GC-GC2-1 site).

Water security assessment of Asian countries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아시아 국가별 물 안보 평가)

  • Park, Seo-Yeon;Lee, Seungho;Lee, Hyun-Ju;Lee, Joo-H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spc1
    • /
    • pp.719-730
    • /
    • 2020
  • Recognizing a complexity of global water challenges, such as water shortage, water pollution, water-related disasters, and degradation of water environments, this study introduces the newly established concept and definition of water security and water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works on water security. In order to critically assess the situations of water security of each country, an water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is employed highlighting the four core areas: 1) social equity; 2) economic efficiency; 3)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4) resilience to water-related disasters. 28 Asian countries have been selected and evaluated for the level of water security, and as a consequence, Japan, Malaysia and South Korea demonstrate a high degree of water security whereas India, Pakistan and the Philippines show a relatively low level of water secur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larifying weak areas in water security as well as suggesting the areas that should be improved for achieving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ies of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한반도 환경협력을 위한 국제사회 동향과 미래 협력방안)

  • Chul-Hee Lim;Hyun-Ah Cho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2
    • /
    • pp.224-238
    • /
    • 2022
  • North Korea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lated to environmental agreements. It has proposed various environmental policies internally since the Kim Jong-un regime. In particular, it emphasizes activ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respons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conservation of ecosystems including forests and wetlands. In this study, a new security cooperation plan was proposed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regime as a starting point. To this end, trends and recent activities for climate-environment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In addition, North Korea's conditions for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echnology demand, and the projected future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dealt with. Ultimately, through advice of experts, we were able to discover cooperation agendas by sector and propose short-term and long-term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ies fo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m. In this study, conditions and directions for cooperation in fields of climate technology, biological resources, air/weather, water environment, biodiversity, renewable energy, bioenergy, and so on were considered comprehensively. Among 21 cooperation agendas discovered in this study, energy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areas. Renewable energy,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al an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tood out as agendas that could be cooperated in the short term. As representative initiatives, joint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that could contribute to North Korea's energy demand and carbon neutrality and 'forest cooperation' that could be recognized as a source of disaster reduction and greenhouse gas sink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