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순환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Development of Composite Sensing Technology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for LID Facility Management (LID 시설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활용 복합 센싱 적용기술 개발)

  • Lee, Seungjae;Jeon, Minsu;Lee, Jungmi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4
    • /
    • pp.312-320
    • /
    • 2020
  • Various LIDs with natural water circulation function are applied to reduc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excessive Infiltration and evaporation of LID facilities dry the LID internal soil, thus reducing plant and microbial activity and reducing environmental re duction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al-time measurement system with complex sensors to derive the management plan of LID facilities. The test of measurable sensors and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 was conducted in artificial wetlands shaped in acrylic boxes. The applied sensors were intended to be built at a low cost considering the distributed LID and were based on Arduino and Raspberry Pi, which are relatively inexpensive and commercialized. In addition, the goal was to develop complex sensor measuremen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 f LID facilities and the effects of maintenance and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ensors are required to meas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rainfall, carbon dioxide, Micro-dust, temperature and humidity, acidity, and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Data collection devices, storage server programs, and operation programs for PC and mobile devices were developed to collect, transmit and check the results of measured data from applied sensors. The measurements obtained through each sensor are passed through the Wifi modul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stored on the database server in real time. Analysis of the four-month measurement result values conducted in this study confirmed the s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ICT technology application to LID facilities. Real-time measured values are found to be able to utilize big data to evaluate the functions of LID facilities and derive maintenance measures.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8 (2018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4-348
    • /
    • 2019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시험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8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8년은 2017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은 적게,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는 크게, 평균 강우강도는 적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의 경우 지속기간 1시간까지는 2017년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나 그 이후는 많은 강우량을 보인다. 2018년의 하천유출률은 총강우량 대비 43.3%(장진교, 유역출구)와 70.3% (보막교, 중간소유역)로 2017년의 장진교(53.1%)와 보막교(60.4%)와는 차이를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연간 총강우량의 증가로 산지가 발달한 보막교는 9.9%의 증가가 있었지만 장진교는 오히려 9.8%의 감소가 있었다. 동일한 유역에서의 하천유출량의 차이는 2개 유역간 강우량 차이(96.1mm)와 토지이용(중 하류부농경지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8년의 증발산량은 총강우량 대비 장진교(유역출구)는 32.3%로 2017년 장진교의 38.4%보다는 감소한 값을 보이나 2018년의 증발산량은 424.8mm, 2017년은 427.4mm로 양적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와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A Systematic Approach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eum River Estuary in Korea (하구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적 접근: 금강하구해역 사례)

  • Lee, Chang-Hee;Kim, Tae In;Cho, Honglae;Ryu, J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18
    • /
    • 2020
  • 금강하구와 같이 막힌 대형 하구는 근본적으로 복잡한 물리화학적 프로세스와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갈등 때문에 단편적인 접근으로는 관리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더욱이 하굿둑의 갑문을 열어 하구순환을 복원하는 해수유통 사업은 그 자체가 가지는 환경적 효용성의 확인과 기존 용수이용 체계의 전면적 변화와 관련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된다는 면에서 특별한 논란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해수유통으로 인한 금강 하구해역의 수리, 수질, 퇴적 및 생태 등 다양한 환경적 변화를 집중적인 현장 조사 및 통합 모델링을 통해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지역 이해당사자 논의 체계인 금강하구해역정책협의회에 제공함으로써 해수유통과 연관된 이해당사자 간 갈등을 완화하고 과학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과학-정책의 통합). 조사연구는 하굿둑 갑문 개방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해수유통으로 인한 영향을 하구해역(하굿둑의 바다 쪽 해역)과 하구호(하굿둑의 하천 쪽 담수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하천-하구호-연안해역의 공간적 통합). 시나리오는 하구해역정책협의회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고, 시나리오별 영향파악은 수리(조석 및 파랑 포함), 퇴적물 이동 및 수질은 Delft3D모델을, 유역으로부터의 유량 및 오염물질 부하량은 분포형 비점모델인 STREAM을, 김양식과 이매패류 생산량을 추정하는 생태모델은 통계기반의 포인트 모델을 통해 이루어졌다(수리-퇴적-수질-생태계 모델의 통합). 시나리오 분석결과, 상시 해수유통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굿둑 부분 개방 시나리오에서는 하구해역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하굿둑 부분 개방에 따른 담수방류량 및 이에 대응하는 해수의 유동패턴이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음을 반영한다. 반면 하구호에 대한 영향은 하구해역에 비해 하굿둑 갑문 운영시나리오에 따라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갑문의 부분 개방을 통해 하구호의 수위를 현재 대비 5cm~50cm 변화시켰을 때 1psu 염분의 저층에서의 침투거리는 하굿둑 상류 6km~18km 정도로 예측되었고 갑문 개방에 의해 염분 침투 거리의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용된 통합모델은 수년간의 검보정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였지만, 모델운영 자체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실제 해수유통을 위해서는 시범개방을 통해 모델 예측의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PDF

Integrated Approach for Watershed Management in an Urban Area (도시 유역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방법)

  • Lee, Kil-Seong;Chung, Eun-Sung;Kim, Young-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2 s.163
    • /
    • pp.161-178
    • /
    • 2006
  • Heathcote (1998) identified a systematic, seven-step approach to general watershed planning and management. It consists of 1) understanding watershed components and processes, 2) identifying and ranking problems to be solved, 3) setting clear and specific goals, 4) developing a list of management options, 5) eliminating infeasible options 6)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remaining feasible options, and 7) developing the final options. In this study the first five steps of that process were applied to the Anyangcheon watershed in Korea, which experiences streamflow depletion, frequent flood damages, and poor water quality typical of highly urbanized watersheds. This study employed four indices: Potential Flood Damage(PFD), Potential Streamflow Depletion(PSD), Potential Water Quality Deterioration(PWQD) and Watershed Evaluation Index(WEI) to identify and quantify problems within the watershed. WEI is the integration index of the others. Composite programming which is a method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s applied for the calculation of PSD, PWQD and WEI (Step 2). The primary goal of the study is to secure instreamflow in the Anyangcheon during dry seasons. The second management goal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are also set (Step 3). Management options include not only structural measures that can alter the existing conditions, but also nonstructural measures that rely on changes in human behavior or management practices (Step 4). Certain management options which are not technically,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feasible, are eliminated (Step S).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a Pre-feasibility study, which established a master plan using Steps 1 through 5.

Assessment and merging technique for GPM satellite precipitation product using ground based measurement (GPM 위성 강우자료의 검증과 지상관측 자료를 통한 강우 보정 기법)

  • Baik, Jongjin;Park, Jongmin;Kim, Kiyoung;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2
    • /
    • pp.131-140
    • /
    • 2018
  • Precipitation is a key variabl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water cycle system and secure and manage the water resources efficientl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GPM precipitation dataset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92 ASOS sites in South Korea during 2015. Additionally, three merging techniques (i.e., Geographical Differential Analysis, Geographical Ratio Analysis, Conditional Merging) were applied to improve accuracy of precipitation by fusing the advantages from point and satellite-based datas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PM dataset indicated slightly overestimation with compared ASOS dataset, especially high uncertainties in summer season. 2) Validation of three merging techniques through jackniffe cross-validation showed that uncertainty were decreased as the spatial resolution increased. Especially, conditional merging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ree methods.

A Study on the Building Self-Publishing Repository for the Personal Digital Records (개인기록 전자출판 리포지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Chu, Ki Sook;Nam, Young J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8 no.4
    • /
    • pp.351-374
    • /
    • 2017
  •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for constructing a producer-centered self-publishing repository for the personal digital records and three operational proces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operational model. 1) As essential requirements for constructing a DSpace-based self-publishing repository, we propose producer-centered service provision, management subject, operation and management plan, how to activate the repository of digital personal records producers, copyright issue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process. 2) The repository model constructs a producer-centered circular structure considering these requirements. 3) Through a repository model with multiple agencies, it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content distribution, keyword search, usage statistics, recommendation system, and open access to portal users and electronic publishers as well as individual users.

Development of Automatic Flood Protection Wall to Prevent Inundation of Inland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에 관한 연구)

  • Kim, Ji Ho;Lee, Gyu Won;Park, Young Jin;Chang, J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3-373
    • /
    • 2019
  • 도시화로 인해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불투수층이 증가되어 유출율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기후변화에 의하여 홍수 및 침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도시에서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내수침수 해결방안은 배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수관거 용량을 키우고, 펌프장을 증설하였으나, 국지적이고 기습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지하방수로와 도시물순환 등 중장기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지하철 출입구, 지하 주차장 출입구, 건물 외부 출입구 등 평상시에는 출입구로 사용하다가 홍수시에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결과 국외의 경우 자동 수동 반자동의 다양한 차수벽이 제시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제야 제품개발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침수 피해가 큰 영국이나 미국의 뉴욕시의 경우 건축법에 의해 내수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으며, 실증실험도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자동차수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수치모의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적정 자동차수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ICT와 연계를 통해 원격제어 및 관리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이 제시된다면,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대응하는 재난대응기술이 되어 내수침수가 빈번한 도시의 홍수복원력을 확보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기술연구를 통해 상용화된다면 국내 및 국외시장에 진출이 가능하리라 본다.

  • PDF

Estimation of Natural Flow in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자연유량 산정)

  • Kim, Nam-Won;Lee, Jeong-Eun;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99-803
    • /
    • 2006
  • 국내 유량자료는 아직 장기간의 유출량 자료가 확보되어 있지 못하며,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출량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 수자원 계획이나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한 장기유출해석을 위해 유출모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팔당댐 지점을 최종출구점으로 하는 한강유역의 자연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유역내 인위적인 저류시설물인 댐이 없는 상태를 자연유량이 가정하고 팔당댐 지점에서의 자연유량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으로 선정된 한강유역(팔당댐 상류유역)의 경우, 유역내 다목적댐, 용수전용댐, 발전전용댐 등 다수의 댐이 위치하고 있다. 기존 사용되어 오고 있는 집중형 모형으로는 대상유역 내의 댐을 고려할 수 없으며, 유역출구점에서의 유출량만을 모의할 수 있다. 그러나, SWAT-K 모형은 유역내 댐고려가 가능한 저수지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역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서의 유출량을 모의할 수 있다. 먼저 자연유량을 산정하기 앞서, 댐이 위치하고 있는 대상유역에 대하여 모형에서 고려할 수 있는 댐운영 방법별로 모의유량과 관측유량을 이용하여 댐운영 모의능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의 최종출구점인 팔당댐 지점과 유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댐지점에 대하여 각각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을 비교 검토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댐이 없는 상태의 한강유역에 대하여 자연유량을 산정하여, 팔당댐 지점을 중심으로 댐의 유무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시범수행에서는 10개의 트렌치를 설치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9번 소유역 145번 지점의 유황을 분석한 결과 저수량$(Q_{275})$$0.0177m^3/s$에서 $0.0190m^3/s$로, 갈수량$(Q_{355})$$0.0176m^3/s$에서 $0.0189m^3/s$로 약 7%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로부터 침투 트렌치는 저수량 및 갈수량을 증가시키는 보조수단이 될 수 있다.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 PDF

The Effects of pH and Alkalinity Adjustment on Internal Corrosion Control and Water Quality in Drinking Water Pipelines (정수의 pH 및 알칼리도 동시 조절이 상수도관의 내부부식 제어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Dong;Jung, Hae-Ryong;Kwak, Phill-Jae;Chung, Won-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4
    • /
    • pp.661-669
    • /
    • 2000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effect of metallic release and change of water corrosive indices by the pH and alkalinity adjustment using the SDLS (Simulated Distribution Loop System) which consist of six types of pipe loop with DCIP, PVC, PE, STS304, CP, GSP, respectively, and its effects on water quality changes which were microbes quality(SPC), residual chlorine. THMs and other parameters. And it was to propose optimal criteria of water quality control for the fiel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ater control system by pH and alkalinity adjustment showed the changing of corrosive water and reducing of metallic release rate and it was not affects of THMs formation, microbes regrowth and variation of other parameters. Water quality stability and corrosion control were due to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film formation of pipe inner by water quality control. Therefore, corrosive water control system by pH and alkalinity adjustment can be attributed to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water quality stability of pH and TIC(Total Inorganic Carbonate concentration) that affect the precipitation and dissolution of solids.

  • PDF

Development of BIM based LID Facilities Supply Auto-checking Module (BIM 기반 LID 시설 물량 자동 검토 모듈 개발)

  • Choi, Junwoo;Jung, Jongsuk;Lim, Seokhwa;Choi, Joungjoo;Kim, Shin;Hyun, Kyoungha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3
    • /
    • pp.195-206
    • /
    • 2017
  • Recently, Discussion about BIM based LID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is activated because interest of LID technique for urban water cycle restoration is increasing. For this reason, this paper developed the auto-checking module of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based supply output table. This module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BIM based LID facilities total management system. The research order is composed like next follows: (1) Select target area, (2) Make BIM model of LID facilities and extract supply output table, (3) Develop comparison module, (4)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the authors made 27 LID facilities and developed the supply output table comparison automation module. So, the authors could find differences of 2D design documents based supply output table and BIm based supply output table. So, the authors made an improvement suggestion of the design plan and could construct foundation of the BIM based LID facilities total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