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예술 분야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7초

코로나 시대의 국내외 문화예술산업 현황과 정책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in the COVID-19 Era)

  • 이성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67-573
    • /
    • 2020
  • 코로나19 발발은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은 특히 문화예술산업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에 대한 공포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많은 문화예술 행사가 취소되고 있는 반면, 많은 아티스트들과 단체는 ICT기술과 라이브 스트리밍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그들의 예술을 전달하려 시도하고 있다. 또한 정부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티스트와 제작자, 회사등에 재정적 지원을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

취미에서 직업으로 - 하비프러너(hobby-preneur)의 출현과 문화예술 생태계 구조 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From Hobby to Profession: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mergence of Hobby-preneurs and its Impact on Arts and Cultural Ecology)

  • 송남은;류유희;장웅조
    • 예술경영연구
    • /
    • 제55호
    • /
    • pp.5-38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예술생태계에 출현한 새로운 종(種, species)으로서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에 새로운 역동을 만들어내고 있는 '하비프러너'라는 존재에 주목하고, 그들의 활동이 함의하는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와 문화예술생태계 구조에 끼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하비프러너는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를 전문적인 일로 기획하여 사업으로 확장, 발전시켜 나가는 사람으로서, 취미나 여가 활동이 지속적 노력을 통해 전문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업적 경력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취미나 여가 활동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화예술교육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문화예술 관련 취미 활동이 전문성을 획득하며 직업화되는 현상을 5인의 하비프러너를 통해 탐색하고, 그들의 활동이 문화예술 생태계 구조에 끼치는 영향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하비프러너의 활동은 공공 생활의 질을 향상하고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사회적 자본으로 기능하며, 문화예술계의 새로운 동력이 되어 문화예술 시장(marketplace) 속의 수요와 공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아울러, 하비프러너는 전문 예술가가 예술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없는 다양한 가치들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면서, 문화예술생태계의 선순환 구조에 주요한 매개체로 기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예술 지식 콘텐츠 현황과 전망

  • 이상연
    • 디지털콘텐츠
    • /
    • 2호통권141호
    • /
    • pp.58-61
    • /
    • 2005
  • 최근 수년 전부터 국내 언론매체들에서는 우리나라가‘IT 강국’, ‘인터넷 선진국’이란 말이 가끔씩 나오곤 한다.그것은 무엇보다도 전국적으로 세계 최고의 고속 케이블망을 설치했고, 디지털 기술이 발전돼 있다는 데에 기인하고,그 케이블망으로써 전국 어디서나 인터넷을 접하고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그러면 그렇게 발달된 기술로써 항시 접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을 무엇을 하고 있을까? 각자의 취향과 관심사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는 분야가 다르겠지만, ‘문화의 시대’라는 21세기에 특히 대중문화 산업이 각광받고 있는 요즈음 문화예술에 관한 지식정보 콘텐츠들을 찾아보자.

  • PDF

진화하는 사운드 아트 (2부): 탈경계적 현대예술의 발전에 대한 궁리(窮理) (The Evolving Sound Art (Part 2): A Deliberation about Advancement of Contemporary Genre-Disruptive Art Practices)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69-176
    • /
    • 2020
  • 사운드 아트 분야의 성장과 확장이 활발해질수록 우리는 다양한 예술적 작품들과 활동들을 현명하게 향유하고 적합하게 감상하기 위해 예술사회학적(sociology of the arts) 그리고 인지과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현 시대에서 창작되는 새로운 예술의 가치평가는 오늘날의 복잡한 환경, 예술 생산, 그리고 소비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바탕으로 평가와 비평을 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평론이 신예술의 중흥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음악계과 미술계의 관점을 넘어서 사회학적으로 사운드 아트를 분석하고 비평하여야 하는 이유, 그리고 그동안 국내 사운드 아트 실천의 유일한 활동 무대였던 다원예술분야의 지원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간략히 짚어서 앞으로 이러한 탈경계적(borderless)이거나 실험적인(experimental) 예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Corporate Practices of Sustainable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with Culture)

  • 손예령
    • 예술경영연구
    • /
    • 제56호
    • /
    • pp.119-144
    • /
    • 2020
  • 그동안 문화분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기업에서는 주로 자선적이거나 시혜적인 메세나(mecenat) 활동을 펼쳐왔고, 기업의 업(業)과 분리되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일방적이고, 업과 분리된 방식은 오랫동안 지속되기 어렵다. - 문화 분야를 지원하는 기업의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지속가능한 동반자 관계(partnership)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니즈(needs)를 파악하여 상호 호혜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기업의 업과 연계된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방향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하여 언급한 글로벌 어젠다를 살펴 보았으며, 아울러 국내·외의 문화분야에 대한 기업시민 실천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을 위하여, 기업은 지역문화에 대한 지원은 물론, 그 지역만이 가진 차별적인 문화와 매력을 활용하여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 주도할 시장에서 문화는 혁신과 창의성을 이끄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며 이러한 문화를 적극 활용한다면, 내부적으로는 조직 내 창의성 개발 및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이 되며, 대외적으로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기업이 공유된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예술단체(또는 예술가)와 파트너십을 맺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문화계에서도 기업의 경영 목적에 부합되는 매력있는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지원과 소비를 지속적으로 끌어냄은 물론, 기업-문화예술계-지역사회 간의 지속가능한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금융권에서의 문화마케팅에 대한 연구 (Study on culture marketing in financial sector)

  • 정은진;최광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2-186
    • /
    • 2008
  • 문화-마케팅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산업분야에서 문화, 예술 컨텐츠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금융권에서 그러한 움직임이 증가되고 있는데, 그 원인과 효과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기업과, 문화, 예술의 활용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해 볼 수 있다.

  • PDF

문화예술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연구 (A Study on Bigdata Utiliza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 김현영;김재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84-392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폭발적인 정보의 양을 다루는 빅데이터 관련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빅데이터는 머신러닝, 즉 딥러닝의 학습데이터가 되는 광범위한 데이터로 인공지능의 발달을 촉진하는 필수 요소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은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특히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활용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영상콘텐츠를 중심으로 문화예술 산업에서 빅데이터의 활용 사례를 알아보았다. 주목한 점은 문화예술 콘텐츠의 유통뿐만 아니라 제작단계까지 빅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는 점이다. 특히 미국의 Netflix가 OTT사업으로 어떤 성과와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먼저 알아보고 국내의 OTT 사업체의 현황도 함께 분석하였다. 그 후 Netflix가 축적된 고객의 데이터를 통해 딥러닝 방식의 '시네매치', 즉 흥행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제작/유통한 'House of Cards'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후 문화예술 콘텐츠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문화예술 산업에서 빅테이터의 향후 활용 전망을 기술적인 측면, 창의적인 측면, 윤리적인 측면으로 나눠서 고찰하였다.

시각예술 창작과 인공지능 협업의 상호작용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Visual Art Cre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llaboration)

  • 김현진;김영조;윤동현;이한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17-524
    • /
    • 2024
  •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21세기의 인간과 기계 간 상호작용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다양한 분야에 빠르게 퍼져나가면서, AI와 꽤 멀리 떨어져 있다고 생각되었던 예술 분야에서도 AI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시각예술 교육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경북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진행된 실증연구는 창의적 융합모듈 수업에 참여한 70명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AI와 시각예술 분야에서 협업의 영향, 그 중에서도 전공, 학년,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AI와 함께하는 시각예술 창작 활동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며, 이를 기반으로 더욱 효과적인 교육 전략과 방향 모색에 관해 제언한다.

제주문화예술도시 발전을 위한 "관용" 인식수준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of "Toleran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 city in Jeju)

  • 현미경;황경수;김경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791-4798
    • /
    • 2013
  • 본 논문은 제주가 문화예술도시로의 발전을 위하여 지역의 가치를 "관용"에 두고 문화예술분야에 적용함으로써 문화예술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양함을 받아들이는 근거가 되는 '관용'을 문화예술분야에 적용하여 제주지역주민의 관용 수준을 확인하고자 제주지역 15세 이상의 주민을 대상으로 44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주지역주민의 관용성 수준은 성(sex)과 연령, 학력, 문화활동 여부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각기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예술의 사회적 편익을 강조하는 것은 사회적 배제를 개선하는 잠재력을 가지며 관용의 도시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사회통합의 공간으로 제시된다. 행정의 책임성에 "관용"이 가지는 공공선을 통해 사회적 가치에 비중을 두어 문화예술도시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지역의 발전과 더불어 주민 삶의 질도 높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