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항내적 일치도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형 아유르베다(Āyurveda) 체질유형 검사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titutions in Ayurveda Questionnaire)

  • 정미숙;임애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2-70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형 아유르베다 체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검사지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각 대상자는 63문항에 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아유르베다 체질을 7체질로 개념화하고 우선 2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체질 검사의 신체 특성인 41문항에 대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alpha}$)는 0.757로, 심리에 대한 질문 22문항에 대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0.616으로, 그리고 전체 63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0.840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신체에 대한 질문 4번과 심리 9번 문항의 경우 문항 총점과의 상관(item-total correlation)이 음의 값으로 응답의 일관성(신뢰도)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순수 바따, 삣따, 까파 유형 대상으로 신체 4번, 심리 9번을 삭제 한 나머지 61문항의 신뢰도는 0.864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복합체질을 제외한 순수체질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응답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타당도에서는 아유르베다 전문가의 판단과 검사지 응답의 문항점수 간의 일치도 카파(kappa) 계수는 0.619로 유의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 아유르베다 체질 검사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절단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의지평가 설문지의 신뢰도 (The Reliability of the K-PEQ(Korean Prosthesis Evaluation Questionnaire) in Lower Extremity Amputees)

  • 성우성;김장환;정동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405-1412
    • /
    • 2018
  • 한국어 의지평가 설문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가 연구되었으나, 다리 절단장애인을 대상으로 의지평가 설문지를 적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리 절단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어-PEQ를 적용하여 그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PEQ의 모든 항목에서 천장효과와 바닥효과가 15%이하로 나타나 응답의 난이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PEQ 영역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의 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efficient, ICC)는 .719(95%CI .600~.811)~.920(95%CI .890~.945)로 나타났고, 영역간 신뢰도는 .958로 높게 나타났다. 문항 내적 일치도 Cronbach's ${\alpha}$값은 .910으로 높게 나타나 한국어-PEQ는 높은 신뢰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채점 방식 및 척도의 수에 따른 신뢰도 분석 (An Analysis on Reliabilities of Scoring Methods and Rubric Ratings Number for Performance Assess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vestigation Activities)

  • 김형준;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5-290
    • /
    • 2010
  • 중학생의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의 신뢰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적 채점을 하는 경우에는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채점척도의 수준을 어느 정도로 분석적으로 해야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중학생들이 작성한 4개의 과학탐구과제에 대한 활동지를 두 명의 채점자가 총체적 채점 방식, 분석적 채점 방식, 분석적 채점 중 채점척도를 2, 3, 4~7수준으로 다르게 하여 채점하였다. 총체적 채점 방식은 과제 간 내적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분석적 채점 방식은 채점자간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점척도 3수준의 경우는 4~7수준의 경우와 활동간 내적 일치도와 채점자간의 신뢰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능력추정치별 학생의 분포, 문항곤란도 및 문항특성곡선의 경우 채점척도 3수준의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과제 간 내적일치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분석적 채점 방식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채점자 간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채점자간 협의등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적 채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채점척도 3수준으로 충분히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25-238
    • /
    • 2022
  •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검사 도구의 요인과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 적합성 검토,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6개의 하위 영역과 30개의 문항을 가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검사 도구의 하위 영역은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8문항), 인공지능의 이해(6문항), 인공지능 실행 계획(5문항), 인공지능 문제 해결(5문항), 데이터 리터러시(4문항), 인공지능 윤리(2문항)가 있다. 검사 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개발되었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전체가 .970이며, 하위 영역은 .861~.939이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발달 과정 분석, 교수-학습, 교육과정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섬망 환자의 지각된 낙인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ceived Stigma of Delirium Scale)

  • 김선영;김성완;김재민;신일선;윤진상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21-128
    • /
    • 2015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섬망환자의 지각된 낙인 척도(Perceived Stigma of Delirium Scale, PSD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섬망을 경험한 환자의 지각된 낙인을 측정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기존 문헌과 낙인 관련 척도를 고찰 및 참고하여 7문항의 PSDS 예비 척도를 구성하고, 섬망에서 회복된 1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SDS와 디스트레스 온도계(Distress Thermometer, DT)를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낙인 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공시타당도는 PSDS 총점과 DT의 상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 과 예비 척도의 요인 분석을 시행한 결과 단일 요인이 추출되었다. 예비 척도 7문항 중 1개 문항은 낮은 요인 부하량을 가져 제외하였다. PSDS의 내적 일치도의 분석을 위해 시행한 Cronbach's ${\alpha}$ 값은 0.85였다. PSDS 총점의 검사-재검사간 상관 계수는 0.71이었으며, 각 문항별 상관 계수는 0.58에서 0.83사이었다. PSDS의 총점과 DT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PSDS가 섬망에서 회복된 환자의 지각된 낙인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뢰할만한 도구임을 확인하 였다. 본 척도 연구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와 다기관 연구를 통해 임상적 유용성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글판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의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 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 주유미;조선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4호
    • /
    • pp.77-92
    • /
    • 2019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인 HOME FAST의 국내사용을 위해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한국어로 번안하여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한글로 번역된 HOME FAST의 내용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작업치료사 총 21명에게 한글번역본의 이해도 평가하게 하였다. 이후 한글번역본을 역번역 하여 원문과 비교하고 문장구조 및 의미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신뢰도 검증을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낙상 고위험군 노인 75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고 내적 일치도를 검증하였다. 그중 9명의 대상자의 경우 2명의 작업치료사가 방문하여 각각 평가한 뒤 검사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내용이해도 검증 결과에서 11개 문장이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도 검증 결과의 의견을 바탕으로 검증위원회를 통해 구문을 수정하고 한글번역본을 완성하였다. 한글판을 역번역하여 유사성 검증을 한 결과 문장구조에서는 3문항이 유사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고, 의미적 측면에서는 총 6문항이 유사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다. 최종적으로 반복적 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글판 HOME FAST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한글번역본의 내적일치도는 .62(p<.01)로 나타났고, 검사자 간의 신뢰도는 .97 (p<.01)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체계적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HOME FAST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아울러 한글판의 내용이해도를 검증하였고, 내적일치도 및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교사 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 Rating Scale for Teachers)

  • 이영자;이종숙;신은수;곽향림;이정욱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5-275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실시할 수 있는 1, 2세 학급 영아를 위한 교사 평정용 발달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평가도구는 영아프로그램의 일과를 중심으로 대소근육운동, 자조기술, 사회의사소통, 사회정서, 인지영역의 발달을 평가할 수 있도록 총 20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국적으로 어린이집에서 표집된 1245명의 1, 2세 학급 영아를 대상으로 평가문항의 양호도,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전문가 집단의 검토결과 타당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내적 일치도, 평정시간 일치도, 검사-재검사간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Bayley와의 공인 타당도도 양호하였다. 구인 타당도 분석결과 영아의 발달은 영역별로 뚜렷이 구분되기보다는 통합적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평가도구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국 규준이 원점수와 표준점수로 제시되었다.

  • PDF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 (A Short form of the Gray-Wheelwright Test)

  • 이주갑;김성현;신용욱
    • 심성연구
    • /
    • 제33권1호
    • /
    • pp.61-80
    • /
    • 2018
  • 본 연구는 그레이-휠라이트 검사의 문항들이 융의 유형론의 개념을 잘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된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를 만든 것이다. 총 431명의 사람들이 연구에 참여하여 그레이-휠라이트 검사를 실시하였고 최우도법(Maximum likelihood)과 Varimax 회전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레이-휠라이트의 81개 문항들을 요인분석에서 추출한 요인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요인들이 융의 유형 척도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인들과 일치하지 않거나 주요 요인에 포함되지 않은 문항들을 제외하고 남은 45개의 문항들로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를 제작하였다. 급내상관계수로 평가한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Cronbach's α 계수로 평가한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의 내적일치도는 원 그레이-휠라이트 검사의 결과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급내상관계수와 Cohen's weighted kappa로 각각 평가한 단축형 검사와 원 검사의 일치도 역시 매우 높았다.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는 적은 수의 문항으로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면서도 융의 유형론에 기반한 성격 유형을 잘 측정하고 있어 향후 임상에서 단축형 그레이-휠라이트 검사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개념에 대한 암시적 타당화 (Implicit Validation of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 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05-5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노후 개념의 원형적 요인들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원형의 개념 추출을 위해 511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90문항의 2차 예비척도 문항 개발하였고, 2차552명을 대상으로 구성요인 확인, 3차 399명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 그리고 공인타당도, 성공적 노후척도와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는 총 47문항으로 '일상적 삶의 순조로움', '자녀성공', '경제적 안정', '심리적 지지', '적극적 활동', '부부관계만족', '가족지지'와 같은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의 신뢰도는 .932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여 요인구조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아주 연민사랑척도 개발: Sprecher와 Fehr의 Compassionate Love Scale의 한국판 단축형 (The Development of the Ajou Compassionate Love Scale: A Korean Abbreviation of Sprecher and Fehr's Compassionate Love Scale)

  • 김완석;신강현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9권1호
    • /
    • pp.407-4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1문항짜리 연민적 사랑척도(CLS: Compassionate Love Scale, Sprecher & Fehr, 2005)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두 개의 연구를 통해 12문항으로 단축한 한국판 척도를 친지판과 일반인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1에서는 CLS의 일반인판 21문항을 번안하여 207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한 자료를 통해 각 문항의 변별력, 내적합치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토대로 21문항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거의 손상시키지 않는 12문항을 선별하였다. 연구2에서는 269명의 대학생 자료를 수집하여, 12문항 척도의 요인구조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재검토하였고, 관련된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계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판 아주 연민사랑척도(ACLS; Ajou Compassionate Love Scale)는 원척도에 비해 문항수가 12개로 훨씬 짧으면서도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신뢰도가 .90을 넘으며,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계수도 이론적 예상과 일치하는 효율적이며 타당한 척도로 나타났다. 연구의 한계와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