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icit Validation of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개념에 대한 암시적 타당화

  • 주민경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송선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1.12.27
  • Accepted : 2012.01.11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basic factors of aging for korean elderly(above 65years old). First of all, 9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from 551 questionnaires. In addition, some practices of the composition factors were carried out from another 552 seniors and additional tests were tried for composition validity, certified validity and successful aging standards from other 399 elders. The survey showed that the standard of the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which was composed of 47 questions, displayed satisfaction of everyday life, off-spring's success, psychological support, positive activity. sense of self effectiveness, mental stability, satisfaction of spousal relationship and family support. The reliability of the Validation of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of 0.932.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questions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노후 개념의 원형적 요인들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원형의 개념 추출을 위해 511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90문항의 2차 예비척도 문항 개발하였고, 2차552명을 대상으로 구성요인 확인, 3차 399명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 그리고 공인타당도, 성공적 노후척도와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는 총 47문항으로 '일상적 삶의 순조로움', '자녀성공', '경제적 안정', '심리적 지지', '적극적 활동', '부부관계만족', '가족지지'와 같은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의 신뢰도는 .932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여 요인구조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지은, 최혜경,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 노화의 인식차이", 한국가정학회지, 제23권, 제3 호, pp.1-16, 2005.
  2. 최혜경, "한국노인들이기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노년학, 제13 권, 제3호, pp.145-168, 2008.
  3. R. Schulz, and J. Heckhausen, "A life Span Model of Successful Ag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1, No.7, pp.702-714, 1996. https://doi.org/10.1037/0003-066X.51.7.702
  4. 안정신, 강인, 김윤정,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25-245, 2009.
  5. C. D. Ryff, In the eye of the beholder: View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6, pp.286-295, 1989. https://doi.org/10.1037/0882-7974.6.2.286
  6. A. B. Ford, M. R. Haug, K. C. Stange, A. D. Gaines, L. S. Noelker, and P. K. Jones, "Sustained personal autonomy: A measure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2, No.4, pp.470-489, 2000. https://doi.org/10.1177/089826430001200402
  7. P. B. Baltes and M. M. Baltes, "Successful aging-perspective form 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8.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9.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1호, pp.211-231, 2008.
  10.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 노인들의 성인 학습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11. 김경호, 김지훈, "삶의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유배우자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 가족 복지학, 제13권, 제2호, pp.87-106, 2009.
  12. 박선영, 홍현방, 2005.
  13. 김경연, 정여진, "건강 및 경제수준에 따른 집단별 성공적노화의 요소 탐색", 노인복지연구, 제34 권, pp.31-54, 2006.
  14. 김재중,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5.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33-48, 2008.
  16. 송혜자, "노인의 역할 수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SOC 대체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17. 윤영애,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8. 주용국, '노인다움' 노화지원을 위한 상담.교육모형의 개발, 상담학 연구, 제10권, 제1호, pp.17-42, 2009.
  19. 한수정, 문진숙, 문영숙,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23-434, 2009.
  20. 전은희,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1. 최혜경, "한국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개념형성과 중재 방안의 탐구", 한국노년학, 제13권, 제3호, pp.145-168, 2008.
  22. P. B. Baltes, M. M. Baltes, A. M. Freund, and F. R. Lang, "The measure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OC) by self-report. Berlin,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kipment and Education. 1999.
  23. 하정연, 오윤자,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선택, 적정화, 보상책략 관련 변인 연구: 중산층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31-144, 2003.
  24. 엄한주, "스포츠 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1995.
  25. 김미혜, 신경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35-52, 2005.
  26. 안정신, 강인, 김윤정,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25-245, 2009.
  27. L. L. Carstensen, "A life-span approach to social motivation. In J. Hrdkhsudrn & C. Dweck (Eds.)," Motivation and across the life spa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