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해결을 통한 교육

Search Result 6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Robot Curriculum by analyzing Foreign Cases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한 로봇교육과정의 발전방향 모색)

  • Ryu, Yeong-C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157-164
    • /
    • 2007
  • 로봇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요구하는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학습을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로봇교육은 공학적으로 여러 기술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통합적인 기초 교육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학습 내용, 학습 방법 및 학습 교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결과 로봇을 통해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로봇의 특성과 관련된 과학, 수학, 기술, 공학의 내용 요소들을 추출하며 로봇소양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로봇활용에 대한 내용으로도 구성해야 하며 로봇 창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순한 로봇 조립보다는 창작 및 프로그래밍의 과정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학습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Cultivating Creativity through Variou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다양한 확산적 사고활동을 통한 창조성 육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

  • Lim Mun-Kyu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0 no.1
    • /
    • pp.1-19
    • /
    • 2006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fostering creative thinking is a cor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accumulating research products on that topic is really needed. In this study, I hoped to investigate and verify that in mathematics education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through various and divergen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 delat with some illustrations, in which students learned mathematics through the operational activities using teaching tools,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activities, and finally they seemed to foster creative mathematical thinking. In conclusion of this paper, I have suggested that in math education those activities should be us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e thinking in kindergarten or early elementary school. Also I asserted that it is urgently need to store up research products about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os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PDF

The Effect of Anchored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solving in Algorithm Learning (앵커드 수업을 통한 알고리즘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Choi, Seo-Kyung;Kim, Yu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3
    • /
    • pp.1-10
    • /
    • 2012
  • The flow of computer education in mod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ontains the computer science courses to cultivate the higher-level thinking abilities such as logical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to promote the algorithmic thinking power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learners, to design the algorithm class based on the anchored instruction strateg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chored instruction model and cases are added to the cla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bjects and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in which the traditional algorithm teaching method was conducted and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algorithm class was conducted applying anchored instruction. As results, an experimental group has shown improvements on problem solving compared to a control group.

  • PDF

The Development of the Problem-based EEG Feedback Training Design Model for the Learning of the Gifted Child (뇌파훈련을 통한 문제기반 영재학습 모형 개발)

  • Kwon, Hyung-Kyu;Lee, Kil-J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45-254
    • /
    • 2007
  • 본연구는 문제중심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를 활용한 뉴로피드백 훈련방법으로 자신의 의지에 의해 적절한 뇌파를 구성하여 문제기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양한 영재학습 유형 및 영재아를 뇌파분석에 따른 영역화를 통하여 객관적인 문제기반접근을 통한 표준화된 학습모형을 설계한 것이다. 뇌파는 뇌의 활동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자신의 뇌에 다양한 훈련으로 피드백을 받게 되면 특정파에 대한 조절능력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조절을 통한 영재학습모형을 개발하여 영재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영재프로그램의 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What is Shared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과학영재들은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가?)

  • Lee, Ji Won;Kim, Jung Bo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6
    • /
    • pp.1099-1115
    • /
    • 2013
  • Collective intelligence has been focused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creating knowledg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collaborative works sharing information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at informations are shared while 4 science gifted students are asked for scientific explanation to the problem which is cognitive conflict. They have shared presupposition and problem in stage of problem finding, aims and means of problem solving in stage of setting up hypotheses, and constraints for evaluation and results of evaluation in stage of hypotheses evaluation. Our research tells that group can create knowledge through sharing information and make a change of their concepts. Our foundation of these spontaneous conceptual change gives an implication for gifted education.

대규모 공개 온라인수업 MOOC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활성화 방안 고찰 및 제언

  • Han, Min-J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27-30
    • /
    • 2017
  • 2010년 이후 대학을 중심으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그동안 창업과 기업가정신 관련 프로그램이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왔다. 또한, 부처들이 모여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며 그 확산은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현실은, 앙트러프러너십 전문교수자의 부족, 창업인프라 편중현상으로 인한 교육혜택의 지역편차 심화, 천편일률적이고 파편적인 교육커리큘럼, 그리고 빠른 변화의 스타트업 환경과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대학 내부체계 등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전반적인 문제점이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온라인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는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질적향상과 양적확산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대중을 대상으로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대규모공개수업 MOOC(이하 '무크')가 확산되고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온라인플랫폼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또한 비즈니스 범주에서 주요한 위치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효과성에도 좋은 결과를 내며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규모 개방 온라인교육 수업과정인 무크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구조적 배경의 이해를 통해, 무크 현상의 본질적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고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에의 적용방법과 기대효과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목적한 연구의 진행을 위해 질적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최신문헌 검토 및 참여관찰, 심층면담, 이해당사자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핵심키워드를 도출하여 연구의 전체적인 맥락을 구성하였다.

  • PDF

The Analysis of the 5th Graders' Responses on Problem Posing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 Lee, Kyong Mi;Lee, Kwang Ho;Lee, Keun Cheol
    • School Mathematics
    • /
    • v.14 no.4
    • /
    • pp.431-443
    • /
    • 2012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offering an implication about problem pos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on problem posing.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implemented to 281 students at Busan urban area.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completeness in terms of problem posing types. They tended to make more simple problems linguistically rather than complicated problems and made problems for the equation easily. At first for the problem posing, students need to be taught to learn for making appropriate problems about an equation.

  • PDF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Teaching Program for Creative Thinking Exten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학습 프로그램 개발)

  • Kim, Hyang-Hee;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95-299
    • /
    • 2010
  •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일은 우리 교육의 핵심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지도 영역 중 알고리즘은 프로그래밍의 근간이 되며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역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에 현행 학교 컴퓨터 교육도 응용프로그램 활용이나 기능 습득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 원리, 알고리즘, 프로그래밍과 같은 컴퓨터 자체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알고리즘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학습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효과를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북한이탈주민에게 창업교육이 미치는 영향 분석 예상: 창업교육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교육효과성과 심리분석을 통한 정부지원정책 모색

  • Lee, Jon-Ho;Nam, Jeo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18-122
    • /
    • 2016
  • 북한이탈주민의 입국자가 곧 3만 명에 육박할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사회에서의 안정된 정착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에, 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창업교육을 실시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고립을 막고, 한국사회에서 올바른 진로를 선택하여 미래 통일 역군을 만들고자 한다. 본 논문은 창업교육 전, 후 창업동기 및 의지, 기업가정신, 진로장벽, 진로성숙도, 진로미결정 요인을 분석하여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장지적으로는 국내 입국 후 북한이탈주민들이 느끼는 심리를 분석하여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진로와 정부지원정책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 PDF

The Government's Supporting Strategies to the Productive Prosumer Economy for the Successful Transi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s for Solving Job problems (4차 산업혁명시대, 생산적인 프로슈머 이코노미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제언: 일자리문제 해결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 Lim, Ji-S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4 no.2
    • /
    • pp.87-104
    • /
    • 2017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expected to replace human knowledge work, which will cause problems of mass unemployment and wide income gap from job polarization. Furthermore, the change is expected to be rapid and wide, demanding proactive measures to respond to such abrupt social changes. However, previous literatures assume that the traditional form of employment will continue and provide limited solutions only. On the other h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enable transition to the Prosumer Economy, which will ultimately lead consumers to become producers through increased job flexibility. If the prosumer economy arrives and the consumers become producers, it will no longer be the matter of finding workplace but rather, the matter of finding the work itself. In this regard, the new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the fundamental solution to such job issues. This paper suggests stable transition to the Prosumer Economy in order to solve the job issue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the process, this paper suggests first, ensuring the amount of education by shortening labor time; second, facilitating life-time education through free online education service; and third, closing the digital divide through mandatory use of the e-govern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