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기성분(無機成分)

검색결과 1,696건 처리시간 0.032초

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shroom Extracts)

  • 최유진;양희선;허창기;오현희;박태영;김민경;진성우;서경순;정후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87-194
    • /
    • 2013
  • 노년층에 특화된 기능성 발효유를 개발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발효유 3종(상황, 영지, 표고)을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버섯 추출물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 적정산도와 유산균수 변화는 증가하였다. 일반성분 중에서 조단백질, 탄수화물 및 당류의 함량이 높았으며, 무기질 함량에서는 칼륨, 칼슘, 나트륨, 니켈, 망간 함량이 버섯 추출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대체적으로 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얻었지만, 표고 추출물 1% 첨가구의 경우 색, 향, 맛, 조직감,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버섯 추출물 첨가구에서 항산화 활성이 매우 증가하였으며, 특히 영지 추출물이 첨가된 발효유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버섯 발효유의 품질평가 결과, pH, 적정산도, 유산균수는 품질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학적 및 기능적으로 우수한 새로운 기능성 발효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lostridium ljungdahlii 배양에서 배지 조성에 따른 균주 성장과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대한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Cell Growth and Bioethanol Production in Clostridium ljungdahlii Culture)

  • 안보혜;박소은;김영기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19-424
    • /
    • 2018
  • 무기탄소원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acetogenic 박테리아인 Clostridium ljungdahlii 발효공정에서 배양 배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 향상을 시도하였다. 균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지 구성성분으로 yeast extract, fructose, $NH_4Cl$, $K_2HPO_4$를 선정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으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 기본 배지 농도보다 낮은 0.05 g/L에서 가장 높았다. Fruct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은 증가하였지만 5 g/L을 초과하는 fructose 투입은 에탄올 생산을 감소시켰다. Yeast extract 5 g/L인 조건에서 fructose 5 g/L와 넣었을 때 에탄올 생산농도가 0.297 g/L로 가장 높았으나, fructose를 넣지 않았을 때 매우 낮은 균주 농도로 인해 에탄올 비생산성은 0.281 g/g DCW로 높았다. $NH_4Cl$은 균주 성장이나 에탄올 생산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30 g/L 이상 과다 투입하면 성장저해가 나타났다. $K_2HPO_4$에 대해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모두 증가하였다. $NH_4Cl$$K_2HPO_4$를 사용한 경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를 적게 사용한 경우 크게 나타났다.

한국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I. 생물량과 생산력 (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 Biomass and Productivity)

  • 심재형;여환구;박종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100
    • /
    • 1992
  • 한국 동해 남부해역 일차생산계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기 위해 엽록소량, 식물플랑 크톤 현존량, 영양염 및 수리적 성분들을 C-14 방법에 의한 일차생산력 측정과 병행하 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는 구해역 일차생산력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다 높 은 284 - 4.574 mgC·m/SUP -2/·day/SUP -1/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평균값은 2,000 mgC·m/SUP -2/·day/SUP -1/로 계산되었다. 진광대 내의 일차생산자 현존량은 비교적 컸으나 해수중 무기 질소태 영양염은 높은 일차생산을 유지시키기는 어려운 낮은 농도 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질소태 영양염은 종속영양 생물과정과 수층의 수직혼합에 의한 상층으로의 유입에 의해 빠른 순환 공급이 예상된다. 표층하 엽록소량 최대 현상은 진 광대의 기저부에서 계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깊이는 등밀도 표면대 보다는 영양염 약층과 더 밀접한 관계를 보여 엽록소량 분포와 일차생산이 일차적으로 영양염 공급에 영향받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해역은 낮은 영양염 농도에서 불구하고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과 생산량은 비교적 크고 자가영양 미소 및 초미소플랑크톤의 생산량 이 중요하였다.

  • PDF

상대(相對) 습도(濕度)가 토마토의 Ca흡수(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Calcium Uptake of Tomato Plant)

  • 조일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8-183
    • /
    • 1997
  • 본 실험는 토마토 촉성재배시(促成栽培時) 시설내(施設內) 고습환경(高濕環境)에서 높은 배꼽썩음과(果) 발생(發生)과 근권부의 Ca흡수와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遂行)하였다. 1) 가습처리(加濕處理)의 시설내(施設內) 기온(氣溫)은 제습(除濕) 하우스보다 $3.1^{\circ}C$ 낮았고, 상대습도(相對濕度)는 12시경(時傾)에 약(約) 70%로 제습(除濕) 하우스보다 20% 높았다. 2) 근건물중당(根乾物重當) 도관(導管)을 통한 수분유출속도(水分流出速度)는 배꼽썩음과가 23%발생된 가습처리(加濕處理)가 배꼽썩음과(果)가 발생(發生)되지 않은 제습처리(除濕處理)보다 $0.24g{\cdot}g^{-1}{\cdot}h^{-1}$ 빨랐고, Ca, Mg, K, Mn, Zn의 도관유출속도(導管流出速度)도 빨랐다. 3) 도관(導管)의 유출액(流出液)과 수경액(水耕液)의 무기성분농도(無機成分濃度)는 유출액(流出液)의 Ca, Mg, K가 수경액(水耕液)보다 2~4배높고, Mn, Zn은 양액(養液)이 다소높았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토마토 촉성재배시(促成栽培時) 고습(高濕)에의해 배꼽썩음과(果) 발생(發生)이 많은 것은 근권부(根圈部)의 Ca흡수 저해(沮害)보다는 흡수된 Ca의 식물체내(植物體內) 분배(分配)의 장해(障害)라고 생각된다.

  • PDF

홍삼꿀을 첨가한 흑염소 육골액 음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Black Goat Meat and Bone Beverage Containing Honey with Red Ginseng)

  • 양희태;김미원;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5-139
    • /
    • 2005
  • 현대에는 식생활 양상의 변화와 가공식품의 이용증가, 그리고 외식산업의 발달로 비만인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성인병 발병률 증가시켰으며, 암과 같은 질병의 서구화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흑염소고기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낮고 단백질이 풍부한 영양식품으로서 성인병이나 몸매관리에 적합한 식품이다. 현재 흑염소의 섭취는 주로 육골즙이나 흑염소 소주 등으로 특수한 상황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영양 성분 분석과 관능 검사 결과 기능성 음료로서의 가능성도 있는 식품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흑염소 음료의 섭취는 성인병의 예방 효과와 체중 조절에도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며, 흑염소 농가에도 높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의 조단백질량은 쇠고기, 돼지고기보다도 높았지만 조지방 함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무기질 분석 결과 나트륨 함량이 쇠고기와 돼지고기보다도 낮게 나타난 반면 칼슘과 철분의 함량은 높았다. 성인병과 비만을 예방할 수 있고 중년 여성의 질병인 골다공증과 청소년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철분 결핍성 빈혈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홍삼꿀을 첨가한 흑염소 육골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홍삼꿀을 7.5mL와 8.0mL 첨가한 육골액이 아주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숙기에 따른 대추잎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Jujuba Leaf during Growth)

  • 김청;박정륭;김종배;차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05-510
    • /
    • 1999
  • 대추잎의 유용식물자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확시기별 대추잎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추잎의 단백질 함량은 4.42~6.31%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지면서 단백질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지방 함량은 4.31~5.71%로서 점차 증가하였다. 대추잎의 아미노산 조성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utamic acid, leucine순이었으며 methionine이 제한 아미노산이였다. 대추잎에 존재하는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4종류로 나타났으며 sucrose의 함량은 성장후기로 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가 40% 정도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다음으로 linolen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순으로 함유되어 이들 4종의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 함량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대추잎의 무기질 함량은 K, Na, Ca의 함량이 특히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고, Fe, Mn, Cu의 함량은 아주 낮게 나타났다. 잎의 수확시기가 늦어지면서 Ca, Na 함량은 현저히 증가한 반면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K, Mn, Fe, Zn, Cu의 함량은 변화가 없었다.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0.83~0.89%, 축합형 탄닌함량은 0.40~0.45%로서 축합형 탄닌이 총페놀 화합물의 약 50%를 차지하였고 수확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추잎에는 rutin과 isoquercitrin 2종의 flavonoid 성분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함량은 103.8~125.2mg/kg, 26.2~40.0 mg/kg으로서 수확시기에 따라 rutin의 함량이 isoquercitrin보다 약 3~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 PDF

양액종류(養液種類)에 따른 신선초(神仙草)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Growth and Yield in different Hydroponic Solutions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 한승호;최병준;한광섭;신철우;문창식;서상덕;장기운;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8-295
    • /
    • 1999
  • 신선초의 시설양액재배시 적정양액의 종류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선초의 초장은 시설양액재배의 화란액이 59.8cm로 가장 컸으며, 엽장은 화란액이 37.4 cm로 가장 길었고, 엽폭도 화란액이 35.8cm로 가장 넓었으며, 수량도 4,542kg/10a로 노지재배 (1,904kg/10a)에 비하여 139% 증수되어, 신선초 시설양액재배시 적정양액은 화란액으로 판단되었다. 2. 신선초의 엽록소함량은 노지재배가 $3.60mg/100cm^2$으로 가장 많았다. 3. 신선초의 물추출 엑스수율은 화란액이 25.97%로서 야마자끼액 (21.93%), 한국원시액 (20.56%) 및 노지재배 (19.71)%)보다 높았으며, 50% 에탄올추출 엑스수율은 각 처리별 $26.59{\sim}29.31%$로서 별 차이가 없었다. 4. 신선초의 무기성분함량 분석결과 주성분은 Na이였으며, 한국원시액은 Mg와 Zn, 야마자끼액은 Na와 Fe, 화란액은 K, Cu, P가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시설양액계배와 노지재배간에는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5. 신선초의 게르마늄함량은 한국원시액이 0.35ppm으로 야마자끼액 (0. 22ppm), 화란액 (0.18ppm) 및 노지재배 (0. 25ppm)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 PDF

삼림토양(森林土壤)의 질소(窒素)의 존재형태(存在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Nitrogen Forms in Forest Soils)

  • 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46-253
    • /
    • 1993
  • 삼림토양(森林土壤)의 비옥도(肥沃度)를 질소성분(窒素成分)의 면에서 해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서로 다른 8개(個) 토양형(土壤型)에 대하여 질소(窒素)의 형태(形態)를 검토하였다. 유기물층(有機物層) 및 광질토양층(鑛質土壤層)의 무기능질소(無機態窒素)($NH_4-N+NO_3-N$)는 전질소(全窒素)에 대한 비율이 O층(層), 표층토(表層土) 및 하층토(下層土)에서 각각 약 2%, 3.7% 및 4.1% 이었다. O층(層)에 있어서의 유기능(有機能) 질소(窒素)의 형태(形態)는 분해(分解)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aminoacid-N의 감소와 amide-N 및 hexosamine-N의 증가(增加)경향이 있었다. 공시(供試)한 O층(層)의 각층위에 있어서 가수분해성질소(可水分解性窒素)는 약 80-90%로 수종간(樹種間) 또는 층위별간(層位別間)의 큰 차이는 없었다. L층(層)에 있어서는 aminoacid-N가 가장 많아 약 40-50%에 달했으며, 가수분해성질소(可水分解性窒素)의 반(半)이상을 점하였다. Amide-N은 적었으며 약 10-23% 이었다. 이들 유기능질소(有機態窒素)의 각(各) 획분조성(劃分助成)에 있어서 수종(樹種)에 따른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인자(環境因子)의 영향(影響)을 가장 크게 반영하는 O층(層) 및 표층토(表層土)에 있어서 건성형(乾性型) 토양(土壤)과 습성형(濕性型) 토양(土壤)간의 명료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종실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 권오천;신정혜;강민정;이수정;최선영;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4-300
    • /
    • 2006
  • 폐자원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자종실의 일반성분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하였다. 유자종실의 조지방의 함량은 $35.29{\pm}0.18%$이었으며, 총 무기질함량은 1171.64 mg/100g으로 칼륨의 함량은 $637.99{\pm}5.38mg/100g$으로 가장 높았다. 총 페놀함량은 $24.44{\pm}1.10mg/100g$,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2.27{\pm}0.18mg/100g$으로 정량되었다. 전자공여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및 SOD유사활성은 유자종실 에탄올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효과가 상승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실험구에서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승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적었으며 , 전반적으로 pH 4.2보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두유 기질에서 과산화물가 및 산가는 유자종실추출물의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 16일에 시료 무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넙치 프레임을 이용한 스낵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nack Using Flatfish-Frame)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51-656
    • /
    • 2007
  • 싱싱회 부산물인 어류 프레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넙치 frame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낵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성분특성도 검토하였다. 넙치 프레임은 중금속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으로 미루어 보아 스낵의 원료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스낵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수분활성 및 관능검사 결과 등으로 미루어 보아 넙치 프레임 분말의 최적 대체비율은 3%로 판단되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프레임 첨가 스낵이 무첨가 스낵보다 높았으며, 두 스낵 모두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proline 및 leucine 등이었다. 또한 프레임 첨가 스낵의 칼슘 및 인의 함량은 각각 492.3 mg/100 g 및 270.3 mg/100 g으로 무첨가 스낵의 이들 함량에 비하여 높아 의미가 있었고, 칼슘/인의 비율도 1.82로 칼슘 흡수가 기대되는 비율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프레임 스낵은 구성아미노산의 및 무기질 강화면에서 의미 있는 수산가공품으로 판단되었다.